[뉴스스페이스=김시민 기자] 챗GPT 개발사 오픈AI가 동영상 생성 인공지능(AI) 모델인 '소라'(Sora)를 9일(현지시간) 본격 출시했다. 지난 2월 '소라'를 처음 공개한 이후 10개월 만에 정식 출시한 것으로 '소라'는 이용자가 원하는 장면을 텍스트나 이미지, 동영상으로 입력하면 소라가 동영상을 제공하는 AI 모델이다. 오픈AI는 "전 세계 사람들이 새로운 형태의 창의성을 탐구하고 자신의 이야기를 전하고 영상 스토리텔링으로 가능한 것의 경계를 넓힐 수 있기를 바란다"고 강조했다. 샘 올트먼 오픈AI 최고경영자(CEO)는 '소라' 시연에서 두 이미지를 결합해 동영상을 생성하는 '블렌드'(Blend) 기능 등을 선보였다. 현재 소라는 유럽과 영국 등 일부 국가를 제외하고 미국 등 대부분의 국가에서 이용할 수 있다. 유럽과 영국에서의 출시 일정은 정해지지 않았다. 이들 지역 서비스 일정이 미정인 이유는 테크 기업에 대한 규제가 강화하고 있기 때문이다. 소라는 챗GPT 플러스와 챗GPT 프로에 포함돼 기존 유료 이용자들은 이 동영상 AI 모델 이용에 대한 추가 비용을 지불할 필요 없이 이용할 수 있다. 오픈AI 소라 제품 책임자인 로한 사하이는 "우리는 소
[뉴스스페이스=김시민 기자] “저는 이 차는 머스크가 미치기 전에 샀습니다.” 최근 미국 내 테슬라 보유 차주들 사이에서 '일론(머스크)이 미치기 전에 샀음', '일론 미친 X인 거 알려지기 전에 샀음' 등 문구가 적힌 이색 스티커가 인기를 끌고 있다. 8일(현지시간) 영국 파이낸셜타임스(FT)에 따르면 이러한 스티커는 머스크가 트위터를 인수한 2022년 말부터 등장하기 시작했으며, 온라인쇼핑몰인 에치(Etsy)와 아마존 등 다양한 플랫폼에서 여러 종류로 판매되고 있다. 친환경에 관심이 많아 전기차를 구매한 테슬라 소유주들이 최근 도널드 트럼프 미 대통령 당선후 머스크가 전략적 밀월 관계를 이어 나가자 일련의 정치적 행보에 대한 실망감을 우회적으로 표현한 것이라는 분석이다. 10일(현지 시각) 파이낸셜타임스(FT)는 테슬라 차주 사이에서 벌어지고 있는 이 같은 현상을 짚었다. FT는 “머스크가 자신의 플랫폼인 엑스(X)에서 점점 더 우익적이고 음모론적인 입장을 드러내고 트럼프 대선 자금으로 2억 달러 이상을 쏟아붓자, 일부 소비자들이 테슬라라는 브랜드에 대해 냉담해지고 있다”고 보도했다. 즉 머스크의 정치 성향과 행보에 대한 불만을 표출하기 위해 테슬라의 차
[뉴스스페이스=김시민 기자] 한국항공우주산업(이하 KAI)은 방위사업청과 한국형 전투기 KF-21 최초양산 항공기에 대한 성과기반 군수지원(이하 PBL) 계약을 체결했다고 9일 밝혔다. PBL은 전력화된 무기체계의 후속 군수 지원을 전문업체가 전담하는 사업을 의미한다. 이번 PBL 계약은 올해 6월 계약을 체결한 최초 양산 물량을 대상으로 한다. 계약 금액은 1243억원으로 기간은 올해 12월부터 2027년 12월까지 3년이다. KAI는 KF-21 전력화 이후 운영에 필요한 수리 부속을 선제적으로 확보하고 효율적인 정비 지원 체계를 구축할 계획이다. KAI는 향후 1000여대 이상 운영될 국산 항공기의 PBL 사업을 지속 확대해 핵심 사업으로 육성한다는 전략이다. KAI는 2010년 한국공군의 KT/A-1을 시작으로 T-50 계열, 수리온 계열 항공기로 PBL 사업을 이어 왔다. 올해 수출 기종 최초로 필리핀 FA-50PH의 PBL 계약을 체결했다. 통상 항공기 후속지원 비용은 항공기 획득 비용의 2~5배에 이르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KF-21 PBL 사업 규모는 향후 30년간 약 5조원 이상 전망된다. 강구영 KAI 사장은 “이번 계약으로 KAI가 개발한
[뉴스스페이스=김시민 기자] 미국 47대 대통령으로 트럼프를 당선시킨 1등 공신으로 정부효율부(DOGE) 수장에 지명된 일론 머스크 테슬라 최고경영자(CEO)가 트럼프의 대선 승리를 위해 최소 2억5900만달러(약 3688억원)를 쓴 것으로 나타났다. 6일(현지시각) 로이터통신 등 외신보도에 따르면, 미 연방선거관리위원회의 최근 집계치를 인용해 머스크가 트럼프의 당선을 지원하기 위해 직접 설립한 슈퍼팩(super PAC·정치자금 모금 단체) ‘아메리카 팩’에 2억3900만달러를 기부했고, 트럼프가 전국적인 낙태 금지법에 서명하지 않을 것이라고 홍보한 단체 ‘RGB 팩’에 2000만달러를 추가로 지원했다고 보도했다. 특히 머스크 CEO는 대선 직전인 10월 마지막 2주 동안만 7500만 달러(약 1068억 원)를 쏟아부었다. 머스크 CEO 다음으로 많은 금액을 기부한 투자가 티머시 멜론의 기부액은 1억5000만 달러(약 2136억원), 카지노 거물 마리암 아델슨의 기부액은 1억600만 달러(약 1509억원)로 나타났다. 로이터는 “막대한 기부금으로 머스크는 미국 역사상 대선 캠페인의 가장 큰 후원자 중 한 명이 됐고, 트럼프의 강력한 정치적 동맹이 됐으며, 이
[뉴스스페이스=김시민 기자] 대한항공은 세계적인 여행전문지 ‘글로벌 트래블러(Global Traveler)’가 주관하는 ‘2024 글로벌 트래블러 테스티드 어워즈(2024 GT Tested Reader Survey Awards)’에서 2관왕에 올랐다고 6일 밝혔다. 대한항공은 ▲최고의 기내 서비스(Best Airline for Onboard Service) ▲최고의 상용고객 우대 공제 제도(Best Frequent-Flyer Award Redemption) 등 2개 부문 1위에 선정됐다. 특히 상용고객 우대 공제 제도는 2년 연속 1위에 이름을 올렸다. 대한항공의 기내 서비스는 친절하고 전문적인 서비스는 물론 다양한 기내식 옵션 등 고객들에게 편안하고 만족도 높은 여행을 제공했다는 점에서 높은 평가를 받았다. 대한항공은 최근 샌드위치와 콘덕(핫도그), 핫포켓 등 간식 메뉴를 보강했다. 채식 인구가 늘어나는 추세를 반영해 전통 한식에 기반한 비건 메뉴를 선보였고, 사전 주문 서비스로 채식과 글루텐 제한식, 유아식 등 세심하게 구분된 특별 기내식을 제공하고 있다. 승객들의 취향을 고려해 영화와 텔레비전 프로그램, 음악 등 기내 엔터테인먼트 프로그램을 다양화한 것
[뉴스스페이스=김시민 기자] 도널드 트럼프 미 대통령 당선인의 ‘절친(퍼스트 버디)’으로 부상한 일론 머스크 테슬라 최고경영자(CEO)가 막강해진 정치적 영향력을 이용해 경쟁사에 압박할 수 있다는 우려가 제기되는 가운데 샘 올트먼 오픈AI CEO는 이를 일축했다. 4일(현지시간) 올트먼 CEO는 뉴욕타임스(NYT)의 딜북 콘퍼런스에서 한때 협력자였던 머스크 CEO와의 관계에 긴장이 고조되는 것에 대해 “엄청나게 슬프다”면서 “나는 일론과 함께 자랐고, 그에게 나는 ‘엄청난 영웅(mega hero)’”이라고 세간의 우려를 일축했다. 그러면서도 “나는 일론이 옳은 일을 할 것이라고 강하게 믿는다”면서 “일론이 자신의 사익을 추구하기 위해 경쟁자들을 압박하기 위한 수단으로 정치적 영향력을 사용하는 것은 매우 ‘미국적이지 않은(un-American) 일’이다”고 뼈있는 한마디를 던졌다. 머스크는 오픈AI에 대해 “시장을 마비시키는 괴물”이라고 하는 등 여러 차례 적개심을 드러내 왔다. 머스크는 오픈AI의 공동 설립자였지만 오픈AI가 비영리 법인으로서 기술을 오픈소스로 공개한다는 설립 초기 약속을 어겼다며 2018년 오픈AI 이사직에서 물러나고 투자 지분도 모두 처분
[뉴스스페이스=김시민 기자] ㈜보령(이하 보령)이 미국 휴스턴에 본사를 둔 민간 기업 최초로 달 착륙에 성공한 인튜이티브 머신스(Intuitive Machines, Inc.)에 1000만 달러(한화 약 140억원)의 전략적 투자를 결정했다고 밝혔다. 보령은 인튜이티브 머신스가 진행한 6,500만 달러 규모의 공모 유상 증자 절차(Underwritten Public Offering)와 연동된 사모 발행(Private Placement) 형태로 신주발행 절차에 참여해 Class A 보통주 95만2381주를 취득하게 된다. 인튜이티브 머신스의 공모 유상 증자 절차에는 보령과 동일한 조건으로 미국의 주요 기금, 글로벌 기관투자자들이 참여할 예정으로 알려졌다. 보령은 인튜이티브 머신스와 2023년 12월 전략적 파트너십을 체결하여 달과 그 주변 환경에서 생명과학 연구에 필요한 핵심 인프라를 구축하는 방안을 검토하기로 했다. 이어 올해 10월 이탈리아 밀라노에서 열린 국제우주대회 ‘IAC (International Astronautical Congress)’에서 인튜이티브 머신스가 미 항공우주국(NASA)의 유인 달 탐사 프로젝트 아르테미스를 위해 제작 중인 달 착륙선
[뉴스스페이스=김시민 기자] 트럼프 2기 행정부에서 정부효율부(DOGE) 수장으로 지명된 일론 머스크 테슬라 최고경영자(CEO)가 3일(현지 시간) 한국의 비상계엄 소식을 접한 후 여러 차례 놀라움을 표했다. 머스크는 이날 오전 엑스(X·옛 트위터)에서 한 사용자가 ‘한국의 윤석열 대통령이 비상계엄을 선포했다’고 작성한 글에 댓글 게시물로 느낌표 2개를 올리며 놀라움을 표시했다. 이후 엑스에는 한국 국회가 재석의원 190명 전원 찬성으로 비상계엄 해제 요구 결의안을 통과시켰다는 내용의 글과 국회 사진이 포함된 글이 올라왔다. 그러자 머스크는 게시글을 공유하면서 “와우(Wow)”라는 댓글을 작성했다. 해당 글은 19만회 가까운 조회 수를 달성했으며 635회 리트윗되고 200개가 넘는 댓글이 달렸다. 또한 머스크는 다른 사용자가 작성한 “한국에서 지금 무슨 일이 일어나고 있는 건가?”라는 댓글에 “그렇다. 이것은 충격적이다(Yeah, this is shocking)”라고 답했다. 머스크의 이런 댓글은 수백 차례 리트윗됐고 엑스에는 한국의 비상계엄 사태가 발생한 배경과 이후의 상황 등을 궁금해하는 이용자들의 댓글이 이어졌다. 다만 머스크는 이번 사태와 관련해 그
[뉴스스페이스=김시민 기자, 이종화 기자] <편집자주> 유튜브, 인스타 등에서 활동하는 인플루언서들이 '협찬을 받지 않았다', '광고가 아니다'라는 사실을 보이기 위해 "내 돈 주고 내가 샀다"라는 뜻의 '내돈내산'이라는 말이 생겼다. 비슷한 말로 "내가 궁금해서 결국 내가 정리했다"는 의미의 '내궁내정'이라고 이 기획코너를 명명한다. 우리 일상속에서 자주 접하고 소소한 얘기거리, 궁금증, 호기심, 용어 등에 대해 정리해보는 코너를 기획했다. 겨울이 찾아와 기온이 내려가고 특히 눈이 오면 도로와 하늘, 바다를 누비는 모든 교통수단과 인프라가 숨겨진 적과 맞서야 한다. 얼음과 추위는 단순히 계절적인 불편을 넘어 사고와 피해를 유발하는 주요 원인이다. 도로 위의 블랙아이스, 항공기의 디아이싱, 전력선의 라인 아이싱 등 겨울철 특정 환경에서 발생하는 위험들은 기술과 사전 대비 없이는 치명적인 결과를 초래할 수 있다. 1. 도로 위의 보이지 않는 적 : 블랙아이스(Black Ice) 블랙아이스는 도로 표면에 얇게 형성된 투명한 얼음층으로, 운전자들에게는 치명적인 함정이 될 수 있다. 도로 표면이 검게 보이기 때문에 붙여진 이름이다. 주로 다리 위나 터널
[뉴스스페이스=김시민 기자] 일론 머스크의 우주탐사기업 스페이스X의 기업가치가 1년도 안돼 1000억 달러(140조원) 뛸 전망이다. 거래가 성사되면 스페이스X의 가치는 3500억 달러(491조원)으로 평가받게 된다. 블룸버그 통신은 2일(현지시간) 소식통을 인용해, 스페이스X의 회사가치를 3500억 달러로 끌어올릴 수 있는 내부자 주식 매각이 논의되고 있다고 전했다. 이 관계자는 “스페이스X와 현재 이야기가 진행 중이며 잠재적인 거래의 세부사항은 내부 판매자와 구매자의 관심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고 말했다. 이는 스페이스X의 기업가치가 2500억 달러로 평가받았다는 소식이 나온지 약 한 달여만이다. 앞서 파이낸셜타임스(FT)를 비롯해 주요 매체는 스페이스X가 오는 12월 기존 주식을 1주당 135달러에 매각하는 공개매수를 진행할 예정이라고 전했다. 스페이스X는 지난 6월에는 기업가치를 2100억 달러 수준으로 평가받았다. 2023년 12월 거래에서는 1800억달러였다. 만약 3500억달러 기업가치가 인정된다면 1년만에 기업가치가 2배 가까이 뛰는 셈이다. 만일 스페이스X의 기업가치가 3500억 달러로 평가받으면 이는 전 세계 상장기업 중 넷플릭스(383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