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스페이스=윤슬 기자] 6월 22일(현지시간), 일론 머스크가 이끄는 테슬라가 미국 텍사스 오스틴에서 자율주행 택시 ‘로보택시’의 첫 운행을 공식 개시했다. 하지만 머스크가 수년간 공언해온 ‘혁신’과는 달리, 이번 시범 서비스는 제한적 운영과 안전성 논란, 경쟁사 대비 기술 격차 등 여러 한계가 드러났다는 평가가 지배적이다. ‘로보택시’ 첫 운행, 실제 모습은? 테슬라의 로보택시는 10대 규모로 오스틴 시내 일부 구역에서만 운영을 시작했다. 차량은 테슬라 모델Y를 기반으로 완전자율주행(FSD) 소프트웨어가 탑재됐으나, 실제로는 조수석에 안전요원이 동승하고, 서비스 대상도 일부 SNS 인플루언서 등 초청자에 한정됐다. 머스크는 SNS를 통해 “4.2달러의 정액요금”을 내세웠고, 이용자는 앱을 통해 로보택시를 호출할 수 있다. 약속과 현실의 간극…‘완전 자율’은 아직 멀다 머스크는 2016년부터 “곧 완전 무인 자율주행차 시대가 올 것”이라며, 운전대와 페달이 없는 전용 로보택시 ‘사이버캡’ 출시도 예고해왔다. 하지만 이번 오스틴 시범 서비스는 지오펜싱(Geofencing, 사전에 안전하다고 판단된 특정 구역 내에서만 운행), 안전요원 동승(실제 무인 운행이
[뉴스스페이스=조일섭 기자] 서울 재건축 시장의 ‘최대어’로 꼽히는 용산정비창1구역, 압구정2구역, 개포우성7차, 잠실우성123차 등 4대 핵심 사업지의 시공사 선정 레이스가 본격화되고 있다. 각 구역별로 참여 건설사와 선정 총회 일정, 수주전 양상에 대한 팩트 기반의 상세 분석을 정리한다. 특히 시공사 선정 조합총회가 언제인지를 알아봤다. 용산정비창1구역은 포스코이앤씨와 HDC현대산업개발의 2강이 접전중이다. 시공사 선정 총회가 6월 22일이다. 지난 4월 15일 입찰 마감 결과, 포스코이앤씨와 HDC현대산업개발이 각각 500억원의 입찰보증금을 내고 단독 참여, 유효경쟁이 성립됐다. 두 회사 모두 조합원 표심을 잡기 위해 홍보관 개설 및 합동설명회 등 총력전을 펼치고 있다. 포스코이앤씨는 ‘오티에르 용산’, HDC현대산업개발은 ‘더 라인 330’을 단지명으로 제안했다. 공사비는 포스코이앤씨(원안설계 기준 8614억원)가 HDC현대산업개발(9244억원)보다 저렴, 공사기간은 HDC현대산업개발이 더 짧다. 조합은 공사비 분쟁 방지 조항을 입찰지침에 명시해 분쟁 소지를 사전에 차단했다. 잠실우성1·2·3차는 GS건설 단독참여로 7월 12일 선정 총회를 진행한다.
[뉴스스페이스=김시민 기자] 인도네시아의 대표적 활화산인 르워토비 라키라키 화산이 6월 17일(현지시간) 오후 5시 35분경 대규모 분화를 일으키며 약 11km 상공까지 화산재를 분출했다. 로이터, AFP, AP, CNN 등 주요 외신들은 일제히 이번 르워토비 화산 폭발과 항공 대란, 대피 상황을 긴급 타전했다. 특히 버섯구름 형태의 화산재가 90~150km 떨어진 도시에서도 관측될 정도로 대규모임을 강조했다. 이로 인해 인도네시아뿐 아니라 아시아·호주 등지의 주요 국제선 항공편이 대거 결항되며 발리 하늘길이 사실상 마비됐다. 화산재 11km 치솟으며 항공편 대혼란 인도네시아 화산청은 이번 분화가 최근 6개월간 가장 강력한 폭발이라고 밝혔다. 화산재 기둥은 11km 상공까지 치솟았고, 다음날인 18일 아침에도 1km 높이의 추가 분출이 이어졌다. 이에 따라 당국은 르워토비 화산의 경보 단계를 최고 수준으로 격상하고, 분화구 반경 7km 내 출입을 전면 금지했다. 항공편 운항에도 직격탄이 날아들었다. 인도네시아 정부는 승객 안전을 위해 동누사틍가라주 프란치스쿠스 자베리우스 세다 공항을 18~19일 폐쇄했다. 발리 국제공항 웹사이트에 따르면 인도, 싱가포르, 호
[뉴스스페이스=김희선 기자] 다가오는 10월, 개천절(3일)부터 추석 연휴(5~7일), 대체공휴일(8일), 한글날(9일)에 이어 10일이 임시공휴일로 지정될 경우 주말(11~12일)까지 최장 10일간의 ‘역대급 황금연휴’가 현실화될 수 있다는 기대감이 커지고 있다. 하지만 임시공휴일 지정의 실질적 효과와 지정 가능성에는 의문부호가 따라붙는다. ‘10월 10일 임시공휴일’ 지정 시나리오, 직장인 기대감 고조 올해 10월 달력은 연휴가 연이어 배치되어 있다. 3일 개천절부터 4일 토요일, 5~7일 추석 연휴, 8일 대체공휴일, 9일 한글날이 이어진다. 여기에 10일(금요일)이 임시공휴일로 지정된다면 11~12일 주말까지 더해져 총 10일간의 연휴가 가능해진다. 직장인들 사이에서는 “연차 없이 10일을 쉴 수 있다”는 기대감이 번지고 있다. 기업 경영자·경제단체·중소기업·자영업자, 지정 반대 "소는 누가 키우나?" 임시공휴일 지정에 반대하는 부류도 있다. 대표적인 집단은 기업 경영자, 대표이사 등 기업 경영계와 경제단체, 그리고 중소기업·소상공인·자영업자들이다. 여기에 일부 정치권과 학부모, 그리고 일각의 네티즌들도 반대 목소리를 내고 있다. 한국경영자총협회(경총
[뉴스스페이스=이종화 기자] 세계적인 재벌과 유명 인사들의 이혼은 단순한 개인사에 그치지 않는다. 이들의 이혼은 천문학적 재산 분할, 기업 지배구조 변화, 사회적 파장까지 불러오며 글로벌 미디어의 주목을 받는다. 우리 인생은 어떤 선택을 하든 가격표가 따라붙게 되어 있다. 이혼도 마찬가지. 초고액 재산 분할로 기록된 글로벌 슈퍼리치의 이별에 드는 비용을 알아봤다. 최근 10년간 이뤄진 세계 최고가 이혼 사례를 다양한 매체와 공식 기록을 종합해 순위별로 정리했다. 1위 빌 게이츠 & 멀린다 프렌치 게이츠 27년의 결혼생활을 마치고 2021년 이혼 당시 멀린다는 760억 달러(104조8800억원) 상당의 주식, 부동산, 미술품 등 자산을 분할받았다. 빌 게이츠 부부는 175조원 상당의 주식, 부동산, 미술품 등을 공평하게 나누는 데 합의했다. 이혼 후에도 공동 운영하던 '빌 앤드 멀린다 게이츠 재단'에서 멀린다가 공동의장직을 내려놓으며 퇴직금으로 125억 달러(약 17조원)를 추가로 받았다. 이는 공식적으로 확인된 이혼 합의금 중 세계 1위 기록이다. 이혼 당시 ‘블룸버그 억만장자 지수’에 따르면 빌 게이츠의 순자산은 약 1520억달러(약 210조원) 규
[뉴스스페이스=조일섭 기자] SK그룹과 아마존웹서비스(AWS)가 손잡고 울산에 국내 최대, 동북아시아 최대 수준의 AI 전용 데이터센터를 건립한다. 총 투자액은 7조원에 달하며, AWS는 이 중 40억 달러(약 5조4700억원)를 직접 투입한다. 이번 프로젝트는 국내 AI 인프라의 판도를 바꿀 대형 민간 주도 사업으로, 글로벌 AI 경쟁력 강화와 지역 산업구조 혁신의 기폭제가 될 전망이다. “GPU 6만장, 103MW”…울산에 들어서는 초대형 AI 허브 SK그룹과 AWS는 울산 미포 국가산업단지 내 3만6000㎡ 부지에 2027년 11월까지 1단계(41MW), 2029년 2월까지 2단계(103MW)로 나눠 AI 데이터센터를 건립한다. 핵심 인프라인 GPU는 6만 장이 투입돼, 현재 국내 최대 AI 인프라(국가 AI 컴퓨팅센터, GPU 1만5000장)의 4배 규모다. 장기적으로는 1GW(기가와트)급까지 확장, 동북아 최대 AI 데이터센터 허브로 도약한다는 청사진을 제시했다. SK텔레콤, SK브로드밴드, SK하이닉스, SK가스 등 SK 주요 계열사가 총출동하며, AWS는 단일 외국계 기업으로는 이례적으로 40억 달러를 직접 투자한다. 민간주도 AI 인프라, 국가
[뉴스스페이스=이종화 기자] <편집자주> 지금 이순간에도 강남으로의 이주를 꿈꾸며 ‘강남 환상’ 혹은 '강남의 찐가치'에 사로잡혀 있는 비강남 사람들에게 진실된 모습을 알리고자 한다. 때론 강남을 우상화하고, 때론 강남을 비화하는 것처럼 느껴질 지도 모르지만, 언젠가 강남의 가치가 급등해 비자를 받아야하는 시대가 올 수도 있겠다는 생각에서 '강남VISA'라 명명한다. 나아가 강남과 강북간의 지역디바이스를 극복하는데 일조하고 이해의 폭을 넓혀 허상도 파헤치는 계기가 되었으면 하는 바람이다. 한 개인의 사적인 의견이니 오해없이 그냥 가볍게 즐겨주길 바란다. 2025년 6월 25일 기준, 서울 강남3구(강남·서초·송파구) 아파트의 시가총액이 서울 전체 아파트 시가총액의 43%를 차지하며 역대 최고치를 기록했다. 서울시 전체구가 모두 25개구이므로 한구당 평균 시총은 4%가 평균이다. 강남3구(강남구·서초구·송파구)의 시총은 12%가 아니라, 무려 평균 보다 3.5배 이상인 43%를 차지하며 절반에 육박하고 있다. 부동산 빅데이터 전문업체 부동산R114 조사에 따르면, 강남3구 아파트 시가총액은 총 744조7264억원으로, 서울 전체(1732조4993억원
[뉴스스페이스=김정영 기자] 오픈AI가 6월 10~11일 전 세계적으로 발생한 챗GPT 서비스 장애에 대해 국내 유료 사용자에게 공식 사과와 함께 보상을 제공한다고 공식 발표했다. 이번 장애는 시스템 업데이트 과정에서 서버 연결이 끊기며 처리 용량이 부족해진 것이 원인으로 밝혀졌다. 오픈AI는 13일 국내 유료 이용자들에게 이메일을 통해 “서비스 이용에 불편을 드려 진심으로 사과드린다”며, 보상 방침과 함께 구체적 내용은 7월 초까지 공개하겠다고 밝혔다. 14시간 이어진 장애…챗GPT·소라·API 등 전반적 영향 장애는 6월 10일 오후 3시 30분부터 11일 오전 7시까지 약 14시간 동안 지속됐다. 이 기간 동안 챗GPT 유료·무료 서비스는 물론, AI 영상 생성 모델 ‘소라(SORA)’, API 등 오픈AI의 핵심 서비스 전반에 걸쳐 오류가 발생했다. 유료 사용자들은 ‘메시지 스트림에 오류 발생’, ‘동시 요청이 너무 많다’ 등 안내 메시지와 함께 서비스 이용에 큰 불편을 겪었다. 무료 사용자 역시 답변 대기 시간이 길어지거나 답변 자체를 받지 못하는 사례가 잇따랐다. 장애 원인은 “시스템 업데이트 중 서버 연결 문제” 오픈AI는 장애의 원인이 시스템
[뉴스스페이스=김정영 기자] 테슬라가 텍사스 기가팩토리에서 오스틴 시내 고객의 집까지 ‘완전 무인’ 자율주행으로 모델Y를 배송하는 데 성공했다. 6월 27일(현지시간) 비즈니스인사이더를 비롯해 해외매체들의 보도에 따르면, 이 차량은 고속도로를 포함한 도심 구간을 최대 72마일(약 116km/h) 속도로 달렸으며, 운전자나 원격 조작자 없이 목적지에 도착했다. 일론 머스크 CEO는 “차에 아무도 타지 않았고, 원격 조정도 없었다. 완전 자율주행!”이라고 X(구 트위터)에 직접 밝혔다. 테슬라 FSD, ‘레벨4’ 진입 선언…AI·센서 융합 기술력 과시 이번 배송은 테슬라의 최신 FSD(Full Self-Driving) 소프트웨어(버전 v13.2.9)가 적용된 모델Y로, 차량 내 AI 칩과 카메라 기반 센서가 복잡한 도로 상황을 실시간으로 인식·판단했다. 테슬라 측은 “이제 차량이 특정 조건에서 운전자의 개입 없이 모든 주행을 처리할 수 있는 레벨4 자율주행에 도달했다”고 평가했다. 실제로 테슬라는 최근 수개월간 공장 내 차량 이동을 자율화했고, 이번에는 도시 전체로 영역을 확장했다. 로보택시 상용화와 본격 연결…‘무인’과 ‘감독자 탑승’의 차이 이번 무인 배송은
[뉴스스페이스=김정영 기자] 일론 머스크가 이끄는 테슬라가 미국 네바다주 스파크스에 건립 중인 리튬인산철(LFP) 배터리 제조공장이 완공을 앞두고 있다. 이번 프로젝트는 북미 내 최초의 대규모 LFP 배터리 생산시설로, 전기차(EV) 및 에너지저장장치(ESS) 산업의 글로벌 공급망 지형에 중대한 변화를 예고한다. 테슬라, 북미 LFP 배터리 내재화…중국 의존도 대폭 낮춘다 CNN, Luxury Tribune, CBC News등의 외신보도에 따르면, 테슬라는 6월 28일(현지시각) 공식 SNS를 통해 네바다주 스파크스 기가팩토리 내 LFP 배터리 공장 건설이 막바지 단계임을 밝혔다. 공장 외관과 자동화 설비, 마무리 작업이 공개된 영상에는 현지 인력들이 완공을 앞두고 분주히 움직이는 모습이 담겼다. 이 공장은 연간 약 10GWh 규모의 LFP 배터리 셀 생산능력을 갖출 것으로 전망된다. 이는 테슬라가 그간 중국 CATL, BYD 등에서 대규모로 수입해온 LFP 배터리 의존도를 현저히 낮추고, 미국 인플레이션 감축법(IRA) 등 현지 생산 인센티브를 최대한 활용하기 위한 전략적 포석이다. LFP 배터리, 안전·저비용·지속가능성 ‘3박자’…테슬라 표 혁신 가속 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