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스페이스=이종화 기자] 블라디미르 푸틴 러시아 대통령의 비밀 딸로 추정되는 엘리자베타 크리보노기흐(22)가 최근 "수백만명의 생명을 앗아가고 내 삶을 파괴한 그 남자"라는 암호 같은 텔레그램 게시글로 수년 동안 이어진 침묵을 깼다. 이는 푸틴을 직접 언급하지 않았으나, Economic Times, Meduza, TheMoscowTimes, NYPost 등의 해외 주요 매체와 독일 빌트(Bild) 등에서 푸틴을 겨냥한 첫 공개 비판으로 해석됐다. “다시 세상에 내 얼굴을 보여줄 수 있다는 것은 해방감을 준다. 내가 누구인지, 그리고 누가 내 삶을 파괴했는지를 상기시켜준다”는 그의 고백은 곧바로 파장을 일으켰다. 사치스러운 인생에서 파리 망명 아트업계까지 2003년 3월 3일 상트페테르부르크 출신인 크리보노기흐는 푸틴과 그 측근이었던 청소부 출신 스베틀라나 크리보노기흐 사이에서 태어났다는 설이 2020년 러시아 탐사보도 매체 '프로옉트(Proekt)'를 통해 널리 알려졌다. 출생증명서에 부칭이 ‘블라디미로브나’로 명시되어 있으나, 부(父) 란은 비어 있다. 스베틀라나의 자산은 딸 출생 후 단기간에 약 1억달러로 급증했으며, 이는 Bank Rossiya(뱅크
[뉴스스페이스=이은주 기자] 버크셔 해서웨이가 2025년 2분기 동안 애플 주식 2000만주를 추가 매도한 사실이 8월 15일(현지시각) 공개 규제서류를 통해 확인됐다. 그 결과 버크셔의 애플 보유량은 2억8000만주로 줄었으며 평가액은 약 640억 달러에 달한다. 이번 매각에도 불구하고 애플은 여전히 버크셔 최초의 단일 투자처이며, 전체 주식 포트폴리오의 22%를 차지한다. 버핏, 기록적인 현금 보유량 속에서 애플 주식 2000만주 추가 매각, 왜? 9to5mac, Stocktwits, Benzinga 등의 보도에 따르면, 워렌 버핏의 버크셔 해서웨이가 2025년 2분기 동안 2000만주를 매각하며 애플 지분을 다시 한번 줄였지만, 여전히 이 회사의 가장 열렬한 지지자로서의 입지를 유지하고 있다. 이번 조치는 버핏이 애플 CEO 팀 쿡의 리더십을 계속 칭찬하면서도 현금 축적을 향한 버크셔의 전략적 전환의 최신 장을 의미한다. 전략적 현금 축적, 사상 최대치 경신 버핏 회장의 최근 행보는 단순한 포트폴리오 조정 그 이상이다. 버크셔는 2025년 2분기 말, 사상 최대인 3440억 달러(약 460조원)의 현금을 보유해 고점 현금 축적 시대를 맞고 있다. 202
[뉴스스페이스=최동현 기자] 코인베이스의 브라이언 암스트롱 CEO가 비트코인이 2030년까지 100만 달러에 이를 것이라는 강력한 낙관론을 내놨다. 그는 암호화폐 시장의 폭발적 성장 가능성에 대해 솔직하게 밝히며, 기관 투자자들이 암호화폐 포트폴리오 비중을 현재 1% 수준에서 5~10%까지 대폭 확대해야 한다고 촉구했다. CoinDesk, Yahoo Finance, CoinTelegraph, UTXO Management 등의 보도와 자료에 따르면, 암스트롱 CEO는 8월 20일(현지시간) 스트라이프 공동 창업자 존 콜리슨과의 팟캐스트 ‘체키 파인트’에서 “내 머릿속에 있는 대략적인 아이디어는 2030년까지 비트코인이 100만 달러에 이를 것”이라고 말했다. 다만 “이 예측에는 큰 오차 범위가 존재한다”고 덧붙였다. 현재 비트코인 가격이 약 11만4000달러임을 고려하면, 이는 약 8배 가까운 상승을 의미한다. 규제 명확성, 기관 투자 신뢰 급증의 핵심 동력 암스트롱의 강한 낙관론은 미묘했던 미국 내 암호화폐 규제 환경이 점차 명확해지고 있다는 데서 비롯된다. 그는 “미국은 G20 국가 중에서 규제 명확성의 기준점(bellwether)이 될 것”이라며, 스테이
[뉴스스페이스=윤슬 기자] 세계 전기차 시장을 주도해온 테슬라가 2025년 여름, 최근 수개월간 연이어 제기된 집단소송의 거센 파장 속에서 법적·윤리적 신뢰를 동시에 시험받고 있다. aol, topclassactions, classaction.org, peoplemattersglobal.com, bryanschwartzlaw.com 등의 보도에 따르면, 주주집단의 증권사기 소송부터 전직 직원들의 인종차별 및 부정행위 고발, 그리고 소비자 개인정보 침해 논란까지 각종 소송이 동시다발적으로 불거지며 경영진과 투자자들은 시시각각 변화하는 리스크 지형을 마주하고 있다. 증권사기 혐의…자율주행 기술 ‘과장’ 논란 올해 8월 4일, 테슬라와 일론 머스크 CEO를 상대로 미 연방법원에 증권사기 혐의 집단소송이 제기됐다. 원고는 테슬라가 자율주행 기술(Full Self-Driving)의 성능과 상용화 전망을 "반복적으로 과장"해 투자자들에게 허위 신뢰를 줬고, 이로 인해 주가가 부풀려졌다고 주장했다. 해당 소송은 2025년 6월 진행된 자율주행 테스트가 시장 기대에 크게 못 미쳤던 점과, 지난 2019년 오토파일럿 모드 중이던 차량에 의한 사망사고에 대해 테슬라가 부분적
[뉴스스페이스=조일섭 기자] 2025년 2분기 국내 타이어 빅3(금호, 넥센, 한국타이어앤테크놀로지)의 경영 성적표의 명암이 극명하게 갈렸다. 금호타이어와 넥센타이어는 호실적을 기록한 반면, 한국타이어앤테크놀로지는 통합 연결 실적에서 뚜렷한 영업익 감소와 순이익 급감으로 침울한 분위기를 드러냈다. 특히 업계에서는 “한국타이어 오너 조현범 회장을 비롯한 경영진의 사법리스크와 실적 하락이 기업 안정성을 크게 흔들고 있다”는 위기론까지 대두됐다. 한국타이어앤테크놀로지는 14일 잠정공시를 통해 2분기 연결 매출 5조3697억원, 영업이익 3536억원을 기록했다고 밝혔다. 전년 동기 대비 매출은 131.7%나 증가했으나, 영업이익은 15.8% 감소했고 순이익은 무려 44.7%나 줄어든 1788억원에 그쳤다. 타이어 부문 매출은 2조5114억원(8.4% 증가), 영업이익은 3464억원(17.5% 감소)로 집계됐다. 미국의 자동차 부품 품목관세 여파와 원자재·운임 상승 등이 수익성 악화의 주요 원인으로 지목됐다. 특히 지난해 인수해 올해 1분기부터 연결 반영하기 시작한 열관리 자회사 한온시스템의 성적도 눈길을 끈다. 한온시스템은 매출 2조8581억원(11.7% 증가),
[뉴스스페이스=윤슬 기자] 로켓랩 코퍼레이션(Rocket Lab Corporation)이 2025년 8월 23일 자사의 역사적인 70번째 일렉트론(Electron) 미션을 수행할 예정이다. Marketscreener, BusinessWire, SatNews의 보도에 따르면, 이는 미국에서 두 번째로 발사 빈도가 높은 민간 우주 발사체 공급업체로서의 입지를 더욱 공고히 하는 이정표가 될 전망이다. 이번 미션은 "Live, Laugh, Launch"라는 이름으로, 5기의 위성을 655km 고도 원형 궤도에 배치할 예정이며, 발사 장소는 뉴질랜드 마히아 반도에 위치한 로켓랩 전용 발사 단지 1 이다. 이번 발사는 지난 8월 5일 일본 지구관측업체 iQPS를 위한 "Harvest Goddess Thrives" 위성 성공 발사 후 단 3주 만에 이루어지며, 로켓랩은 올해에만 11차례의 발사를 완료해 100%의 임무 성공률을 자랑하고 있다. 이는 소형 위성 전용 발사체인 일렉트론이 세계에서 가장 빈번히 발사되는 궤도 로켓으로 자리매김했음을 입증하는 수치다. 로켓랩 CEO 피터 벡 경은 “일렉트론이 반복 가능하고 신뢰할 수 있는 우주 접근의 기준을 세우며 업계 내 빠른
[뉴스스페이스=김정영 기자] 글로벌 IT 공룡 아마존이 양자컴퓨팅 분야에 대한 투자를 가속화하며, 2025년 8월 초 공개된 SEC(미국증권위원회) 신고를 통해 양자컴퓨팅 스타트업 아이온큐(IonQ)에 3670만 달러(약 510억원) 상당의 지분 투자를 단행했다. Datacenter Dynamics, MarketBeat, Yahoo Finance, Quantum Computing Report, GlobNewswire 등의 자료에 따르면, 이번 투자는 공개 거래 중인 양자 하드웨어 기업 중에서 아마존을 최대 투자자 그룹에 포함시키는 전략적 행보로 평가받는다. 투자 발표 직후 아이온큐의 주가는 9.5%까지 치솟으며 투자자들의 기대감을 높였다. 아마존은 이번 85만4207주 매입을 통해 아이온큐의 핵심 기술인 트랩 이온 기반 양자컴퓨팅에 대한 강한 신뢰를 공개적으로 표명했다. 아마존 웹 서비스(AWS)는 2023년부터 아이온큐와의 협력 하에 Braket 양자 컴퓨팅 플랫폼을 통해 아이온큐의 Forte, Aria 양자컴퓨터를 클라우드 방식으로 고객들에게 제공해왔다. 이번 지분 투자로 아마존은 클라우드 기반 양자 서비스 경쟁력 강화와 양자 기술의 상용화 가속화라는 목
[뉴스스페이스=이종화 기자] 2025년, 구글과 스타클라우드가 우주 데이터센터 프로젝트를 본격적으로 추진하며, AI와 클라우드 인프라의 ‘차세대 혁신’을 주도하고 있다. The Information, Thales, Factories in Space, Verne Global, The Register, Capacity Media 등의 보도에 따르면, 올해 말 또는 내년 초 스타클라우드는 엔비디아 H100 GPU를 탑재한 위성을 스페이스X 로켓으로 발사해, 실증 위성에서 구글의 최신 AI 모델 ‘제미나이’를 우주 환경에서 구동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이는 AI 연산 수요 폭증에 대응해, 지구를 넘어 우주에서 데이터센터를 운영하려는 빅테크의 첫 실질적 시도다. 스타클라우드는 미국 워싱턴주 레드먼드에서 설립된 우주 데이터센터 스타트업으로, 스페이스X 수석 엔지니어와 매켄지 컨설턴트가 공동 창업했으며, Y콤비네이터와 앤드리슨호로위츠(A16Z) 등으로부터 누적 2100만달러 시드 투자를 받았다. 이 회사의 장기 프로젝트는 가로·세로 4km 크기의 초대형 태양광·냉각 패널을 장착한 5GW급 궤도 데이터센터 건립이다. 24시간 끊김 없는 태양광 발전과 진공에서의 자연 복사 냉
[뉴스스페이스=이종화 기자] 7월 29일 현재 서울 종로구와 중구는 9일 연속 열대야가 이어지고 있지만, 산지 비중이 높은 노원·은평구는 단 2일에 그쳤다. 도봉·강북구 역시 3~4일 수준으로, 같은 서울 안에서도 지역별 ‘밤더위 체감’이 극명하게 갈리고 있다. 이 현상의 핵심 배경은 바로 ‘도시 열섬 효과’(Urban Heat Island)다. 열대야는 밤사이(오후 6시~익일 오전 9시) 최저기온이 25℃ 이상을 기록하는 밤을 의미하며, 보통 아스팔트·빌딩 밀집 등 인공 열발산이 많은 도심일수록 기록이 두드러진다. 28일 밤, 서울 도심에서는 최저기온이 28.8℃에 달해 9일째 열대야가 관측됐다. 이는 2018년 7월(29.2℃) 당시와 거의 맞먹는 극한 수치다. 반면, 은평구(24.3℃)·관악구(24.6℃) 등 외곽 산지구역은 밤기온이 뚝 떨어지며 열대야 일수가 크게 줄었다. 실제로 도시 중심 영등포구의 밤 최저기온이 외곽보다 최대 4.3도 높은 것으로 집계됐다. 기후 전문가들은 “서울 도심은 낮 동안 건물이 흡수한 열이 밤에 방출돼 기온 하락이 더뎌지고, 외곽 산지구는 녹지대 효과와 환기 영향으로 상대적으로 기온이 빠르게 내려간다”고 분석한다. 행정구별
[뉴스스페이스=김문균 기자] ‘실수령액 4,826만원, 지급 total 5,689만원’. 국내 대학생이 가장 일하고 싶은 기업 1위에 오른 SK하이닉스의 한 직원이 최근 공개한 2025년 1월 급여명세서가 업계에 충격을 안겼다. 드러난 내역을 보면, 월급보다 더 큰 성과급 구조로 “월급이 사실상 연봉 수준”이라는 말이 허언이 아니다. 폭발적 영업이익, 연봉+성과급은 얼마? 2025년 2분기 SK하이닉스는 AI 메모리 수요 확대로 사상 최대 분기 영업이익 9조2,129억원, 매출 22조2,320억원을 올렸다. 이는 전년 동기 대비 68.5% 증가이자, SK하이닉스 창사 이래 최대 규모다. 성과 기반 급여체계의 시너지로 SK하이닉스 직원 평균 연봉은 이미 1억1,700만~1억2,100만원(2024~2025년 기준)으로, 동종업계 삼성전자도 앞질렀다. 월급명세서를 살펴보면: 기본급 295만7,000원 고정시간외수당 50만7,000원 업적급 233만9,000원 기본 월급 합계 약 580만원 특별성과금 1,670만7,000원 초과이익분배금(PS) 3,408만원 → 총 지급액에서 성과급 비중 89%에 달한다. SK하이닉스의 성과급 시스템은 장기적 호실적과 연동돼 매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