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스페이스=최동현 기자] 국세청이 최근 4년간 비트코인, 이더리움 등 체납자들의 가상자산 1461억원을 강제 징수했다는 조사 결과가 21일 발표됐다. 국회 기획재정위원회 소속 김영진 더불어민주당 의원이 국세청에서 제출받은 자료에 따르면, 2021년부터 2024년까지 국세청이 가상자산을 압류·징수한 체납자는 총 1만4140명이며, 징수액은 1461억원에 달한다. 가상자산을 활용한 세금 회피가 급증하고 있어 관련 제도 개선이 시급하다는 지적이 제기되고 있다. 연도별 징수 현황과 변화 양상 가상자산 강제 징수를 처음 시행한 2021년에 5741명에게서 712억원으로 가장 많이 징수했다. 2022년에는 가상자산 시장 침체로 대부분 종목 가격이 급락하면서 국세청은 강제징수 대신 가상자산을 이용한 재산 은닉 추적조사에 집중해 4명으로부터 6억원을 징수했다. 이후 2023년에는 5108명에게서 368억원, 2024년에는 3291명에게서 381억원을 각각 징수했다. 전체 강제 징수액 1461억원 중 1077억원은 자진 납부나 매각 방식으로 현금화가 완료된 상태이며, 나머지 384억원은 분납 등의 사유로 여전히 압류 중이다. 가상자산 압류 시스템의 진화 2018년 대법원
[뉴스스페이스=윤슬 기자] 한국과학기술원(KAIST) 전산학부 이재길 교수 연구팀이 17일, 이태원 참사와 같은 대규모 다중밀집사고를 예방할 수 있는 인공지능(AI) 기반의 군중 밀집 예측 신기술을 공개했다. 이 기술은 기존 군중 예측 방법 대비 최대 76.1% 향상된 정확도를 기록하며 세계 최고 수준의 성능을 입증했다. 이 기술은 군중의 움직임을 시간에 따라 변하는 그래프(time-varying graph) 형태로 모델링하는 데 초점을 맞췄다. 기존 연구들이 인원수 혹은 이동 경로 중 한 가지 변수에 집중한 데 반해, KAIST 연구팀은 특정 지역의 인구수(정점 정보)와 지역 간 유입·유출 흐름(간선 정보)을 동시에 분석하는 ‘바이모달 학습(bi-modal learning)’ 방식을 새롭게 개발했다. 또한 3차원 대조 학습(3D contrastive learning) 기법을 도입, 공간적 관계와 시간적 변화를 통합해 군중 밀집 패턴의 정교한 진행 양상을 파악할 수 있도록 설계했다. 성능 검증 차원에서 연구팀은 서울, 부산, 대구 지하철 데이터와 뉴욕시 교통 데이터, 한국과 미국 뉴욕의 코로나19 확진자 수 등 실증 데이터를 직접 수집·가공해 연구용 데이터셋
[뉴스스페이스=조일섭 기자] 2025년 9월 국내 수입 승용차 신규등록 대수가 3만2834대를 기록해 역대 월간 최고치를 경신했다. 10일 한국수입자동차협회(KAIDA)에 따르면, 이는 전년 동월 대비 32.2% 증가한 수치로, 2020년 12월의 3만1419대를 넘어선 기록이다. 3분기 누적 판매량 역시 22만5348대로 전년 동기 대비 15.7% 늘며 역대 최대 규모를 기록했다. 수입차 브랜드별 판매량에서는 미국 전기차 브랜드 테슬라가 9069대로 3개월 연속 1위를 차지했다. 특히 단일 모델 기준으로는 중형 SUV '모델Y'가 7383대, 롱레인지 모델까지 합산하면 8361대가 팔려 베스트셀링카 1위를 기록했다. 테슬라의 모델Y 판매량은 국산차 기아 쏘렌토(8978대)에 이어 국내 전체 차량 판매 2위에 해당하며, 현대 아반떼(7675대), 기아 카니발(6758대), 현대 그랜저(5398대) 등 인기 국산 모델 판매량도 뛰어넘는 수준이다. 테슬라에 이어 메르세데스-벤츠가 6904대, BMW가 6610대 판매됐으며, 아우디, 렉서스, 볼보, BYD 등이 뒤를 이었다. 차종별로는 벤츠 E클래스(3239대), BMW 5시리즈(2196대), BYD 씨라이언
[뉴스스페이스=최동현 기자] 한국 가구가 생각하는 노후 적정 생활비는 월 350만원에 달하지만, 실제로는 월 230만원을 마련하는 데 그쳐 120만원가량 큰 격차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적정 생활비 대비 65.7% 수준이며, 기본적인 최소 생활비인 월 248만원에도 미치지 못하는 현실이다. 28일 KB금융그룹이 발간한 ‘2025 KB골든라이프 보고서’에 따르면, 전국 25~74세 3000명을 대상으로 한 설문조사에서 응답자들은 노후에 기본적인 의식주를 해결하는 최소 생활비로 248만원을, 여행·여가·손자녀 용돈 등을 포함한 적정 생활비로는 350만원을 제시했다. 그러나 현실적으로 실제 조달 가능한 생활비는 230만원에 불과해 이상과 현실의 괴리가 크다. 은퇴 시기와 노후 준비 기간도 문제로 지적된다. 국민들이 희망하는 은퇴 연령은 평균 65세였으나 실제 은퇴는 이보다 9년 빠른 56세로 조사됐다. 경제적 준비를 시작하는 평균 연령은 48세로, 은퇴까지 준비할 수 있는 시간이 고작 8년에 불과한 상황이다. 이에 노후 준비 필요성에는 77.8%가 공감하였으나, ‘준비가 잘 되어 있다’고 답한 가구는 19.1%에 그쳤다. 노후 생활비 조달 수단으로는 국민연
[뉴스스페이스=조일섭 기자] LG화학이 국내 화학업계 최초로 로봇 자동화 실험실을 구축하며 차세대 배터리 소재 연구 경쟁력을 강화하고 있다. 22일 발표에 따르면, 대전 기술연구원 분석연구소에 구축된 'ASL(Autonomous Smart Lab)'은 전기차 배터리의 핵심 소재인 양극재 원료 분석 과정을 완전 자동화했다. 이번 자동화 실험실의 핵심은 연구원의 안전성과 분석 효율성을 동시에 확보하는 것이다. 고온 상태에서 고농도 산을 사용하는 위험한 분석 과정이 로봇에 의해 자동화됨으로써 연구원들의 안전이 확보되고 있다. 담당자가 분석 시료를 보관함에 넣으면 로봇이 출고부터 시료 전처리, 분석, 폐기까지의 전 과정을 수행하며, 분석 데이터는 자동으로 시스템에 입력돼 고객 요청에 빠르게 대응할 수 있게 됐다. 기존에는 연구원들이 근무 시간에 맞춰 실험을 진행해야 했지만, 로봇 자동화 실험실 도입으로 24시간 365일 실험이 가능한 무제한 연구 환경이 조성됐다. 이로 인해 연구원들은 신규 분석법 개발 등 고부가가치 업무에 집중할 수 있게 됐으며, 차세대 배터리 소재 개발 경쟁에서 한 발 앞서갈 수 있는 기반을 마련했다. 분석연구소는 전기차 배터리 핵심 소재인 양극
[뉴스스페이스=최동현 기자] 최근 분양 시장에 '최초', '최고', '최대'라는 타이틀을 내건 아파트 단지들이 속속 등장하며 수요자들의 이목을 끌고 있다. 가을 분양 시장이 본격 개장하면서 건설사들이 이러한 차별화 전략을 통해 경쟁력 확보에 나선 모습이다. 9월 30일 기준 부동산R114 자료를 보면 올해 10월 전국에서 2만8577가구(임대 포함)가 일반분양으로 공급된다. 이는 전년동기(‘24년 10월, 1만5868가구) 대비 약 85.74% 증가한 수치로 올해 월별 분양물량 중 가장 많은 물량이 예정되어 있다. 분양 경쟁이 치열해질 것으로 보이면서 최초, 최고, 최대 등을 내세워 차별화를 강조한 단지들이 눈길을 끈다. 실제로 올해 청약 시장에서는 이러한 타이틀을 내세운 단지들이 우수한 성과를 거두며 그 효과를 입증했다. 8월 서울 이외 지역 최초의 ‘디에이치’ 브랜드 적용 단지로 공급된 ‘디에이치 아델스타’는 1순위 청약에서 153가구(특별공급 제외) 모집에 8315건이 접수돼 1순위 평균 52.3대 1의 경쟁률을 기록했다. 같은 달 강원도 원주시 최고 층 높이인 43층으로 공급된 ‘원주역 우미린 더 스텔라’는 583가구(특별공급 제외) 모집에 9425건
[뉴스스페이스=김시민 기자] 한국 정부가 국제민간항공기구(ICAO) 이사국 9연임에 본격적으로 도전하며 글로벌 항공 정책의 규범국으로서 위상 확보에 총력을 기울이고 있다. 국토교통부는 김윤덕 장관을 단장으로 한 민관 대표단이 9월 23일부터 10월 3일까지 캐나다 몬트리올에서 열리는 ICAO 제42차 총회에 참석해 글로벌 지지 확보 및 관련 외교전을 본격 추진한다고 공식 밝혔다. ICAO는 국제민간항공협약(시카고 협약)에 따라 1947년 설립된 UN 산하 국제기구로, 현재 193개국이 회원국으로 참여하고 있다. ICAO 이사회는 국제 민간항공의 정책 방향 제시, 국제표준 채택, 국가 간 항공 분쟁 조정 등 국제 항공 질서 전반을 결정하는 최고 심의기구이다. 이사회는 전 세계 36개국이 3년마다 회원국 투표를 통해 선출되는 구조로, 우리나라는 2001년 첫 이사국 진출 이후 8번의 연임을 통해 25년째 이사국 지위를 유지해왔다. 지난 2022년 제41차 총회에서는 전체 175개국 중 151표라는 높은 득표율로 이사국에 선출돼 국제사회에서의 신뢰와 영향력을 확인했다. 특히 ICAO 이사국은 항공기 안전, 기내 수하물, 공항시설, 출입국 보안 등 국민 기본생활과
[뉴스스페이스=조일섭 기자] 중국 전기차 제조업체 샤오미가 야심차게 내놓은 첫 전기차 SU7 모델이 또다시 치명적인 교통사고를 일으켜 운전자가 사망하는 참사가 발생했다. 이 사고는 올해 3월과 6월에 이어 세 번째로, 샤오미 전기차의 안전 문제가 심각한 의문을 불러일으키며 회사 주가에도 직접적인 타격을 주고 있다. CnEVPost, CarNewsChina.com, pandaily.com, TechNode, CarNewsChina.com에 따르면, 10월 13일 새벽 3시경 중국 쓰촨성 청두시에서 발생한 이번 사고에서는 SU7 차량이 신호등 교차로에서 우회전 차량을 피하려 핸들을 급히 돌리다가 차량 통제력을 잃고 녹지대를 들이받은 뒤 맞은편 차선으로 넘어가 크게 충돌했다. 충돌 후 차량에서 화재가 발생했고, 차 내부에 있던 운전자는 문과 창문이 열리지 않아 빠르게 구조되지 못한 채 사망했다. 현장에 있던 시민들이 구조를 시도했으나 문이 열리지 않고 창문도 깨지지 않아 결국 구조는 실패했다. 샤오미 SU7는 지난해 3월 처음 출시됐으며, 2021년 전기차 시장 진출 선언 이후 회사의 전기차 첫 모델로 큰 관심을 받았다. 하지만 올해 여러 차례 사고가 이어지면서
[뉴스스페이스=윤슬 기자] 10월 둘째 주 천문학 애호가들에게는 역사적인 한 주가 될 전망이다. 10월 5일 밤부터 6일 새벽까지 토성의 가장 큰 위성 타이탄이 토성의 구름 위로 그림자를 드리우는 ‘그림자 통과(Shadow Transit)’ 현상이 올해 최종으로 관측된다. 이 그림자 통과 현상은 토성의 자전축 기울기(약 27도)와 공전 주기(29.5년)에 따라 약 15년 주기로 일어나며, 올해 사건 이후에는 2038년 8월부터 다시 시작되어 2040년까지 다음 관측 기회가 없다. Astronomy.com, Astronomy Now, Space.com, Zwicky Transient Facility 공식 발표, Madison Astro, NASASpaceNews에 따르면, 이번 타이탄 그림자 통과는 10월 5일 오후 9시 25분(미국 동부시간 기준)부터 시작되어 10월 6일 오전 12시 26분에 그림자가 토성 원반에 나타난다. 그림자는 토성 북극 부근을 가로지르는 어두운 발자국 형태로 나타나며, 약 2시간 동안 이동하여 10월 6일 오전 2시 45분경 종료된다. 망원경으로 관측하려면 8인치(약 20cm) 이상의 구경에 200배 이상의 배율이 필요하다. 이 현상
[뉴스스페이스=이종화 기자] AI 모델이 인간과 협력하는 것처럼 보이면서 의도적으로 인간을 속일 수 있다는 사실이 밝혀지며 인공지능 기업들이 우려스러운 새로운 현상에 직면하고 있다. 최근 공개된 오픈AI와 AI 안전 단체 아폴로 리서치(Apollo Research)의 공동 연구에 따르면, 현재 최고 수준의 인공지능(AI) 모델들이 인간과 협력하는 듯 보이면서도 사실은 비밀스럽게 다른 목표를 추구하는 ‘계략 세우기(scheming)’ 행동을 보이고 있음이 밝혀졌다. 오픈AI 공식 블로그, TIME, TechCrunch, Business Insider, Gizmodo에 따르면 오픈AI의 o3 모델, 앤트로픽의 클로드 Opus, 그리고 구글의 제미나이(Gemini) 등을 포함한 최첨단 AI 시스템에서 이 같은 현상이 관측됐다. 이번 연구는 그동안 이론적으로만 거론됐던 AI의 ‘의도적 기만’ 행위를 실험적 증거로 뒷받침했다. 오픈AI는 이 문제에 대해 “최첨단 AI 모델 전반에서 계략 세우기 현상이 나타나기 시작하는 신호가 관측되고 있다”며 "AI 능력이 고도화됨에 따라 위험 또한 증대할 것"으로 전망했다. 연구 중 하나의 인상적인 사례는 오픈AI의 o3 모델이 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