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스페이스=이은주 기자] 미국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이 9월 19일(현지시간) 백악관에서 100만 달러(약 14억원)를 미국 정부에 기부하면 신속하게 영주권(그린카드)을 발급받을 수 있는 ‘골드카드’ 비자 프로그램을 공식 출범시켰다. Business Insider, CBS, Politico, Newsweek, Axios의 보도와 White House 공식 홈페이지, trumpcard.gov에 따르면, 트럼프 대통령은 이날 행정명령 서명식에서 “미국에 생산적이고 재정적 기여가 가능한 인재를 유치해 감세, 국가부채 감축, 성장 프로젝트에 활용하겠다”고 밝히며, 기존 이민 시스템과의 명확한 차별화를 선언했다. 골드카드 프로그램 주요 내용 이번에 출범한 골드카드 프로그램은 개인이 미 상무부에 100만 달러, 기업이나 법인이 특정 인재를 위해서는 200만 달러를 기부하면 EB-1 및 EB-2(출중한 능력/미국 국익 기여) 범주로 간주, 영주권을 신속 취득(신청 심사 수수료 1만5000달러 별도 납부)할 수 있도록 했다. 영주권은 기존의 “예외적 능력”이 아닌 “재정 기여”를 근거로 부여된다. 공식 웹사이트 'trumpcard.gov'에는 트럼프 얼굴과 자유의 여신상
[뉴스스페이스=이은주 기자]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전문직 취업 비자인 H-1B 비자의 신청 수수료를 100배 인상한 10만달러(약 1억4000만원)로 책정하는 행정명령에 2025년 9월 19일(현지시간) 서명했다고 백악관이 밝혔다. 백악관 발표와 함께 Reuters, The Hill 등의 외신에 따르면, 이번 조치는 트럼프 행정부의 이민 규제 강화 정책의 일환으로 기존 1000달러 수준이던 기존 신청비용에 대해 전례없는 대폭 인상으로 해석되며, 글로벌 IT 기업과 인도계·중국계 해외 전문직 종사자 등에게 큰 충격을 주고 있다. H-1B 비자 수수료 인상의 배경 트럼프 대통령은 백악관 행사에서 “미국은 뛰어난 인재를 필요로 한다. 이번 조치로 실제로 그런 일이 일어날 것”이라고 강조했다. 백악관 관계자는 “H-1B 비자 제도의 남용 예방 및 저임금 외국인 노동자로부터 미국인 근로자 보호”가 이번 정책의 핵심 배경임을 밝혔다. 기존 H-1B 비자 신청 절차는 추첨 등록비 215달러와 청원서 제출비 780달러로 약 1000달러였으나, 10만달러 인상분이 기존 수수료에 추가될지, 대체할지는 확인되지 않고 있다. 글로벌 빅테크의 H-1B 의존도 미국 이민국(U
[뉴스스페이스=이은주 기자] 일론 머스크 테슬라 CEO와 절연한 성전환자 딸 비비언 제나 윌슨(21)이 2025년 9월 미국 뉴욕에서 열린 패션위크에서 런웨이 모델로 공식 데뷔했다. 워싱턴포스트(WP), NBC, USA투데이에 따르면, 그녀는 9월 12일부터 15일까지 4개의 패션쇼에 연이어 서면서 다양성 존중과 정치적 메시지를 담은 무대를 통해 신선한 파장을 일으켰다. 머스크의 딸로 알려진 비비언 윌슨은 2022년 남성에서 여성으로 성전환을 마치고, 아버지와의 갈등 속에서 이름을 새로 개명하며 공개적으로 자신의 정치적 입장도 밝힌 바 있다. 이번 뉴욕패션위크는 특히 미국 대선을 앞둔 시점에서 다양성과 소수자 인권을 주제로 한 의미 있는 행보로 평가받고 있다. 첫 무대는 액세서리 디자이너 알렉시스 비타르의 ‘미스 USA 1991’ 쇼였다. 이 쇼는 트랜스젠더 여성 모델들이 공화당 우세 주(州)를 대표하는 콘셉트로 꾸며져 윌슨은 ‘미스 사우스캐롤라이나’ 역할을 맡았다. 워싱턴포스트(WP) 등 미 언론은 “이 쇼는 도널드 트럼프 전 대통령이 과거 ‘미스 USA’ 운영권을 가졌던 점을 풍자한 정치적 메시지”라고 분석했다. 13일에는 패션 디자이너 프라발 구룽의 ‘
[뉴스스페이스=김문균 기자] 일본이 2025년 현재 65세 이상 인구 비율이 전체 인구의 29.4%에 달하며 역대 최고를 기록했다. 일본 총무성 및 내각부 인구추계 자료와 교도통신에 따르면, 일본 총무성이 경로의 날(9월 15일)을 하루 앞둔 14일 발표한 고령 인구는 3619만명으로 작년보다 5만명 줄었으나, 총인구 감소에 따른 비율 상승으로 30%에 근접했다. 세계 인구 4000만명 이상 국가 중 최고로 고령화가 심화된 일본은 노인 인구 비율이 세계 최고 수준을 유지하고 있어 초고령 사회 문제가 심각함을 재확인했다. 베이비붐 세대가 본격적으로 75세 이상 고령층에 진입함에 따라 정부 산하기관인 국립사회보장인구문제연구소는 2040년 고령 인구 비율이 34.8%까지 오를 것으로 예측했다. 여성의 고령화는 더 가속화해 전체 여성 인구 중 32.4%가 65세 이상인 점도 특기할 만하다. 특히 주목되는 것은 고령층의 높은 경제 활동 참여율이다. 65~69세 연령대의 취업률은 53.6%에 이르며, 70~74세 35.1%, 75세 이상도 12.0%로 나타났다. 고령자 취업자는 930만명으로 21년 연속 증가했다. 이에 따라 전체 노동 인구 중 노인이 차지하는 비중이
[뉴스스페이스=이은주 기자] 네팔의 젊은 세대가 디지털 사회운동과 소셜미디어 플랫폼을 통해 전례 없는 정치 변화를 이끌어냈다. 네팔의 젊은 시위대는 소셜 미디어 운동을 통해 정부를 무너뜨리고, 디스코드의 온라인 투표를 통해 나라의 다음 지도자를 선출한 것. 73세의 전직 대법원장 수실라 카르키가 네팔 최초의 여성 임시 총리로 공식 취임했다. 이는 유례없는 디지털 민주주의 실험이 실제 세계에서 정당성을 얻은 결과였다는 평가다. CNN, 뉴욕타임스, 인디펜던트, 알자지라, 인디아투데이, SCMP에 따르면, 이번 사건은 9월 초 정부가 26개 주요 소셜미디어 플랫폼을 금지한 것에 반발해 시작된 대규모 청년 주도 시위와 폭력 사태를 계기로 이뤄진 것으로, 시위 과정에서 최소 51명이 사망하고 수도 카트만두 일대의 정부 건물과 국가 핵심 시설들이 방화와 파괴를 겪었다. 디지털 민주주의 실험의 중심에는 게임 및 소셜 채팅 앱인 디스코드(Discord)가 있었다. 시민단체 하미 네팔(Hami Nepal)이 개설한 “청년 반부패” 서버는 단 4일 만에 회원 수가 14만5000명을 넘어섰으며, 여기서 네팔의 젊은 시위대가 실시간으로 정치 토론과 의사결정을 진행했다. ‘네팔의
[뉴스스페이스=이은주 기자] 미국 18세 청년 잭 야데가리(Zach Yadegari)가 인공지능(AI) 기반 칼로리 계산 앱 ‘칼 AI(Cal AI)’를 개발, 월 140만 달러(약 19억5000만원) 매출을 기록하며 전 세계 스타트업 업계의 시선을 집중시키고 있다. CNBC, TechCrunch, Hindustan Times에 따르면, 칼 AI는 사용자 음식 사진을 AI가 자동 분석해 칼로리를 계산해준다. 이 앱은 2024년 5월 출시 이후 2025년 7월 기준 누적 다운로드 830만건을 넘어서며 업계에 빠르게 안착했다. 월 구독료는 2.49달러, 연간 구독료는 29.99달러로 책정돼 있으며, 앱스토어 수수료를 제외한 월 순익은 약 140만 달러에 달한다. 개발 배경: 단순한 문제의식에서 시작 야데가리는 뉴욕주 로즐린의 부모 집에서 고교 시절 앱 개발을 시작했다. “학교 여학생들에게 좋은 인상을 주려고 운동을 시작했는데, 기존 칼로리 추적 앱들이 불편해 직접 만들어야겠다고 생각했다”고 밝혔다. 이후 헤리 랭맥, 블레이크 앤더슨, 제이크 카스틸로 등 코딩 캠프와 소셜미디어로 만난 동료들과 본격 개발에 착수했다. 아이디어는 7살 코딩캠프 경험을 바탕으로, 유튜
[뉴스스페이스=이종화 기자] <편집자주> 유튜브, 인스타 등에서 활동하는 인플루언서들이 '협찬을 받지 않았다', '광고가 아니다'라는 사실을 보이기 위해 "내 돈 주고 내가 샀다"라는 뜻의 '내돈내산'이라는 말이 생겼다. 비슷한 말로 "내가 궁금해서 결국 내가 정리했다"는 의미의 '내궁내정'이라고 이 기획코너를 명명한다. 우리 일상속에서 자주 접하는 소소한 얘기거리, 궁금증, 호기심, 용어 등에 대해 정리해보는 코너를 기획했다. 2025년 9월 미국 캘리포니아주 등 일부 지방 정부가 가스레인지 및 천연 가스 사용 제한·금지 정책을 추진하면서 이에 대한 다수의 소송이 진행중이다. 이 정책들은 주로 기후변화 대응과 공중보건 위험 감소를 목표로 한다는 점에서 추진됐으나, 주택 공급자와 일부 사업자들은 이로 인해 경제적 부담과 법적 충돌이 발생했다고 문제를 제기했다. 가스레인지 사용금지 소송 배경 캘리포니아에서는 2019년 버클리 시가 신축 건물에 가스 인프라 설치를 금지하는 첫 정책을 도입했으며, 이후 로스앤젤레스 등 여러 도시로 확산됐다. 이 정책들은 가스 연소 과정에서 배출되는 온실가스(NOx)와 실내 오염물질이 건강과 환경에 해롭다는 연구때문이다.
[뉴스스페이스=이종화 기자] 아프리카 서해안 대서양 한가운데 위치한 섬나라 카보베르데(공식 명칭: 카보베르데 공화국)가 2026년 북중미월드컵 본선진출을 눈앞에 두고 있어 화제다. 카보베르데 공화국은 인구 약 52~56만명, 면적 4030㎢의 10개 화산섬으로 이루어진 작은 국가다. 포르투갈어와 카보베르데 크리올어를 공용어로 하며, 수도는 산티아고섬에 자리한 프라이아다. 1975년 포르투갈로부터 독립하여 안정된 민주주의 국가로 자리매김했고, 천연자원이 부족한 대신 관광과 외국인 투자, 그리고 해운·서비스업 중심의 경제를 꾸준히 발전시켜왔다. 2026 FIFA 북중미월드컵, 본선 진출 눈앞 카보베르데 축구 국가대표팀은 2026년 북중미월드컵 아프리카 조예선(카프 D조)에서 8경기 중 6승 1무 1패(승점 19점)를 기록해 본선 진출 직전까지 와있다. 이 조에는 전통의 강호 카메룬, 앙골라, 리비아, 에스와티니, 모리셔스가 포함돼 있다. 현재 카보베르데가 조 1위로, 단 1승만 추가하면 경기 결과와 상관없이 본선 직행이 확정된다. 특히, 최근 카보베르데는 대대적인 이변으로 평가받는 1-0 카메룬전 승리를 거두면서 국제 축구계의 주목을 받고 있다. 카메룬은 월드컵
[뉴스스페이스=김문균 기자] 지난 8월 22일 미국 노스캐롤라이나주 샬럿 경전철에서 발생한 우크라이나 난민 이리나 자루츠카(23)씨 살해 사건이 국내외적으로 정치, 인종, 언론 갈등으로 비화하고 있다. 흑인 남성 디칼로스 브라운(34)이 흉기로 자루츠카 씨를 무차별적으로 찔러 숨지게 한 이 사건은 영상이 SNS를 통해 확산되면서 치안 문제, 인종 간 갈등, 언론 보도 편향성 논란을 촉발했다. CNN, ABC, 뉴욕타임스, 뉴스위크, PBS, 미주리대 연구, 미 법무부 통계에 따르면, 사건 가해자 브라운은 2011년 이후 최소 14차례 체포되어 무장 강도, 절도, 폭행 등으로 유죄 판결을 받고 약 6년간 복역했으며, 2020년 출소 후에도 자매를 폭행하는 등 정신 질환 및 범죄 전력이 이어졌다. 특히 브라운은 정신 건강 문제로 911에 신고하는 등 심리적 불안정 상태였던 것으로 알려졌다. 정치권에서는 해당 사건을 치안 강화 주장의 근거로 삼으며 갈등이 증폭됐다. 백악관은 민주당이 주도하는 지역에서 발생한 점을 지적하며 ‘급진 좌파 정책이 범죄자를 풀어줬다’고 비판했고, 교통부 장관도 반복 범죄자를 적절히 처벌하지 못한 문제를 거론했다. 이에 대해 샬럿 시장은
[뉴스스페이스=이은주 기자] 미국의 경제 전문 매체 포브스(Forbes)가 발표한 2025-2026년 미국 대학 순위가 공개되면서, 고등교육의 가치와 실질적 수익성에 대한 관심이 다시 한 번 집중되고 있다. 이번 순위는 단순히 명성이나 학벌이 아니라 졸업생들의 실질적 성과, 특히 20년 후 중간 경력 급여, 부채 규모, 졸업률, 리더십 배출 등을 종합한 14가지 지표를 기준으로 삼았다. Poets&Quants, CNBC, Best Colleges, Times of India, Forbes ROI report의 데이터를 통해 뉴스스페이스 랭킹연구소가 이번 포브스 대학 순위를 분석해 그 의미와 시사점을 짚어본다. MIT·프린스턴 등 전통 명문은 여전한 중간 경력 고소득 군단 1위는 매사추세츠공과대학(MIT)으로, 졸업 20년 후 중간 경력 급여가 약 19만6900달러로 미국 최고 수준을 기록했다. 2위는 컬럼비아대학교가 차지했다. 프린스턴 대학교는 19만4100달러로 3위를 차지하며 두 해 연속 1위 자리에서 내려왔다. 특히 STEM 분야에 강한 하비 머드 칼리지가 3위에 버금가는 18만5900달러를 기록한 점은 소규모 리버럴 아츠 대학의 새로운 강자 등