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스페이스=이종화 기자] 미국 최대 투자은행 JP모건이 2025년 3분기 역대 최고의 실적을 올린 전기차 제조업체 테슬라(TSLA)에 대해 목표주가를 기존 115달러에서 150달러로 상향 조정했다. 그러나 JP모건은 테슬라의 주가가 여전히 과대평가돼 있다며 투자의견은 ‘비중축소(Underweight)’를 유지한다고 밝혔다. Teslarati, Techi.com, Stocktwits, Electrek, MarketBeat, FactSet에 따르면, 이는 테슬라의 주가가 현 시세(약 430~440달러) 대비 66% 가까이 하락할 가능성을 내포한다는 점에서, 여타 월가 주요 증권사의 긍정적 전망과는 극명하게 대조된다. 10월 3일 429.83달러로 마감했다. 3분기 차량 인도 50만대 육박, “세액공제 종료 전 몰린 수요 덕” 테슬라는 2025년 3분기에 49만7099대의 차량을 인도하며 시장 컨센서스(약 44만3000대)를 12%나 상회했다. 전체 인도량 중 모델3와 모델Y가 48만1166대, 프리미엄 모델군(사이버트럭·모델S·모델X)이 1만5933대를 차지했다. 이는 지난해 같은 기간 대비 7% 성장한 수치다. 이러한 기록적 실적의 주 요인으로는 미국 연방
[뉴스스페이스=김문균 기자] 2025년 10월 10일(현지시간), 글로벌 암호화폐 시장은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의 '중국산 전 제품 100% 관세 부과'라는 깜짝 발표에 직격탄을 맞으며 코로나19 팬데믹 이후 최악의 일일 급락장을 기록했다. 백악관은 관세가 11월 1일부터 전격 시행될 예정이라고 발표했으며, 이는 중국의 희토류 수출 통제 조치에 대한 정면 보복이라는 분석이 지배적이다. Coindesk, Yahoo Finance, TheStreet, CoinGape, CoinCentral, CryptoRank, CoinGlass에 따르면, 당일 비트코인은 12만2000달러 선에서 한때 10만2000달러 선 아래까지 20% 이상 급락했고, 이후 11만2000달러 수준으로 일부 반등했다. 이더리움 역시 15% 가까운 폭락을 겪으며 3400달러 선이 붕괴됐다. 총 시가총액은 약 4조3000억 달러에서 3조8500억 달러로 빠르게 증발해, 단 몇 시간 만에 9%를 넘는 손실을 기록했다. 전체적으로 670억 달러 이상의 투자자 자산이 증발했으며, 크로스마진 청산이 알트코인 시장의 추가 붕괴를 촉진시켰다. 압도적인 매도세와 극심한 변동성은 암호화폐 역사상 최대 규
[뉴스스페이스=윤슬 기자] 테슬라가 9초 길이의 터빈처럼 회전하는 금속성 물체를 담은 수수께끼 티저 영상을 지난 10월 5일(현지시간) X(구 트위터)에 공개하며, 화요일인 10월 7일에 신제품 발표를 예고했다. eletric-vehicles.com, Electrek, Carscoops, Business Insider, TopElectricSUV.com, carbuzz, EVXL.co, TESLARATI에 따르면, 이번 공개를 앞두고 업계 내에서는 두 가지 주요 제품에 대한 기대가 크다. 첫 번째는 저렴한 가격대의 모델 Y 스탠다드 모델로, 최근 회사 웹사이트 백엔드 코드에서는 'Model Y Standard'가 39,990달러부터 시작하는 것으로 유출됐다. 이 버전은 라이트 바가 없는 전면 재설계, 유리 지붕 없음, 직물 인테리어, 수동 조절식 스티어링 휠과 에어벤트를 특징으로 한다. 특히 9월 30일 만료된 연방 전기차 세액공제 정책 이후 출시되는 점에서 시장 접근성을 넓힐 것으로 분석된다. 두 번째 주목받는 것은 테슬라와 스페이스X의 협력을 통해 개발 중인 차세대 로드스터다. 일론 머스크 CEO는 이 로드스터가 0→60마일 가속을 1초 미만에 달성할 것
[뉴스스페이스=조일섭 기자] 삼성전자에 대한 증권가 기대감이 최고조에 달했다. 국내 유수 증권사들이 31일 일제히 삼성전자의 올해 3분기 역대 최대 실적 발표에 힘입어 내년(2026년) 목표주가를 15만원으로 상향 조정하며, 82조원이 넘는 사상 최대 영업이익 달성을 전망했다. 3분기 역대 최대 실적…반도체 부문 수익성 급증 삼성전자는 2025년 3분기 연결 기준 매출 86조1000억원, 영업이익 12조2000억원을 기록, 전년 동기 대비 각각 8.8%, 32.5% 증가하며 분기 기준 역대 최대 매출을 달성했다. 반도체 사업을 담당하는 디바이스솔루션(DS) 부문은 영업이익 7조원으로 전 분기 4000억원 대비 17배 급증했다. HBM3E(고대역폭 메모리) 제품을 전 고객 대상으로 양산 판매에 들어간 점이 수익성 개선을 견인했다. 서버 SSD 판매도 확대되며 메모리 매출은 분기 최대 기록을 세웠다. 폴더블 신모델과 플래그십 스마트폰 출시로 인한 모바일 경험(DX) 부문 매출도 전 분기 대비 11% 증가했다. 연구개발비도 3분기 누계 기준 역대 최대인 26조9000억원을 집행하며 미래 경쟁력 강화에 집중하고 있다. 증권가, 15만원 목표주가 상향…"내년 영업이
[뉴스스페이스=조일섭 기자] 삼성전자가 또 한 번 폴더블 스마트폰 시장의 판을 흔든다. Economic Times, GSM Arena, MK, Kbench, Counterpoint Research에 따르면 삼성의 첫 3단 폴더블폰 ‘갤럭시 Z 트라이폴드’는 한국 및 중국 내수 시장에 국한하지 않고, 아랍에미리트(UAE)와 미국 등 전략적 시장으로 출시를 확대한다는 전략이다. 기존 갤럭시 Z 폴드 시리즈의 한정적 출시 기조를 깨고, 글로벌 하이엔드 시장에서의 입지 확보를 명확히 하겠다는 의도로 해석된다. 특히 삼성은 오는 10월 31일부터 11월 1일까지 경주에서 개최되는 아시아태평양경제협력체(APEC) 정상회의에서 갤럭시 Z 트라이폴드를 첫 공개할 예정이며, 출시 초기에 전 세계 5만대 한정 생산이라는 희소성 전략을 채택한다. 이는 기존 갤럭시 Z 폴드 7의 2025년 월간 생산량(26만대)에 비해 5분의 1에 불과한 수치로, 초프리미엄 시장을 겨냥한 ‘리미티드 런(Limited Run)’ 콘셉트가 뚜렷하다. 이 제품의 가장 큰 혁신은 바로 3개로 분할된 전지 시스템이다. 최근 KIPRIS(특허정보원)에 공개된 특허 자료에 따르면, 트라이폴드는 본체 각
[뉴스스페이스=이종화 기자] <편집자주> 유튜브, 인스타 등에서 활동하는 인플루언서들이 '협찬을 받지 않았다', '광고가 아니다'라는 사실을 보이기 위해 "내 돈 주고 내가 샀다"라는 뜻의 '내돈내산'이라는 말이 생겼다. 비슷한 말로 "내가 궁금해서 결국 내가 정리했다"는 의미의 '내궁내정'이라고 이 기획코너를 명명한다. 우리 일상속에서 자주 접하는 소소한 얘기거리, 궁금증, 호기심, 용어 등에 대해 정리해보는 코너를 기획했다. 국내 주요 대기업명을 한글 자판이 아닌 영문자판(영타) 상태로 치면 전혀 의도치 않은 단어들—때로는 유머러스하거나 난감한 단어—로 변환된다. 예컨대 ‘SK’를 영타로 입력하면 ‘나’, ‘CJ’는 ‘처’, ‘Hanwha’는 ‘무좀’이 되는 등, 이러한 현상은 의외의 재미와 더불어 디지털 환경에서 발생하는 언어유희와 오타문화의 단면을 보여준다. 국내외 기업명 오타 사례 및 그에 대한 흥미로운 해석을 알아봤다. 영타로 만나는 기이한 기업명 세계 국내외 기업들은 영어 혹은 한글로 브랜드명을 만들지만, 한/영 키보드 변환 상태에서 실수로 입력할 때 예상치 못한 단어가 탄생하는 경우가 많다. 실제로 ‘SK’를 영문 자판 상태(쿼티)에
[뉴스스페이스=김정영 기자] 엔비디아가 최신 AI 가속기인 GB300에 삼성전자의 5세대 고대역폭메모리(HBM3E) 12단 제품을 탑재하기로 최종 확정했다. 9일 뉴스1 보도에 따르면, 젠슨 황 엔비디아 CEO가 최근 이재용 삼성전자 회장에게 서한을 보내면서 삼성의 HBM3E 퀄리피케이션 테스트를 통과한 사실과 함께 공식적으로 납품 의사를 전달했다고 알려졌다. 이로써 삼성은 1년 7개월여 만에 엔비디아 공급망에 본격 진입하며 글로벌 HBM 시장에 큰 변화를 예고하고 있다. 지난 2024년 3월 미국 반도체 콘퍼런스 GTC 2024에서 젠슨 황 CEO가 삼성 HBM3E 12단 제품에 ‘젠슨 승인(Jensen Approved)’ 서명을 했으나 이후 질적 문제로 납품이 지연됐다. 올해 초 CES 2025에서는 HBM 설계와 품질 재검토를 언급하는 등 재도약을 위한 고난의 과정이 이어졌다. 이에 이재용 회장은 대법원 무죄 확정 판결 직후인 8월 미국 출장 중 현지에서 황 CEO와 만나 집중적인 비즈니스 미팅을 갖고 세일즈를 주도했다. 이 회장이 이뤄낸 ‘독한 삼성’의 결실이 퀄리티 통과와 공급 확정으로 나타난 셈이다. 삼성전자의 HBM3E 12단 제품은 AI 반도체
[뉴스스페이스=이종화 기자] 10월 30일 저녁, 서울 삼성역 인근 깐부치킨에서 벌어진 ‘러브샷 치맥 회동’은 단순한 만남을 넘어 글로벌 산업 지형에 새로운 이정표를 그렸다. 엔비디아 CEO 젠슨 황, 삼성전자 회장 이재용, 현대차그룹 회장 정의선이 ‘러브샷’으로 우정과 협력의 신호탄을 쏘았고, 치킨과 맥주 사이에서 AI 반도체·자율주행·미래차 등 첨단 기술 협력을 폭넓게 논의했다. 이모저모 ① ‘깐부치킨’ 선택의 의미와 현장 분위기 만남의 장소는 엔비디아 측의 희망에 따라 ‘깐부치킨’으로 선정됐으며, 이는 2021년 넷플릭스 <오징어게임> 히트 이후 ‘깐부’라는 한국어의 글로벌 인지도를 반영한다. 황 CEO는 “치킨과 맥주를 친구들과 즐기는 게 최고의 자리”라고 밝혔으며, 회동의 친근함을 강조했다. 이날 현장에는 수백 명의 시민과 취재진이 몰려, 저녁 7시경 경찰이 통행을 통제하고 폴리스라인을 설치하는 해프닝이 벌어졌다. 이모저모 ② 패션과 팬서비스, 빅테크 거장들의 '드레스 코드' 황 CEO는 검정 가죽 재킷을 입고 10분 일찍 도착해 시민들과 셀카를 찍는 등 거리감 없는 ‘현장형 CEO’의 면모를 보였다. 정의선 회장은 하얀 티셔츠 차림으
[뉴스스페이스=윤슬 기자] 중국 스타트업 AheadForm Technology가 최근 공개한 ‘Elf V1’ 휴머노이드 로봇이 생체모방 피부와 30개의 정밀 안면 근육 액추에이터를 통해 전례 없는 초현실적 인간 표정을 구현하며 큰 주목을 받고 있다. CGTN, Interesting Engineering, Designboom, TechNode, HouseBots에 따르면, 이 로봇은 고성능 AI와 감성 인식 기술을 결합해 인간의 미묘한 감정 변화를 실시간으로 읽고 반응할 수 있어, 오랫동안 휴머노이드 로봇 분야가 직면한 ‘불쾌한 골짜기(Uncanny Valley)’ 현상을 극복하는 새로운 이정표로 평가받고 있다. Elf V1은 컬럼비아 대학 박사 출신 Yuhang Hu가 2024년에 설립한 AheadForm이 개발했으며, 초소형 브러시리스 마이크로 모터가 얼굴 전체에 분포돼 눈썹, 입술, 시선 등을 자연스럽게 조절한다. 부드럽게 늘어나고 주름지는 독자 개발 실리콘 복합 소재의 바이오닉 스킨은 사람의 피부 질감을 사실적으로 모사하며, 내장된 카메라와 마이크는 시각-청각 정보를 실시간 AI 처리 시스템에 전달해 대화와 감정 반응을 가능하게 한다. AheadForm
[뉴스스페이스=이종화 기자] 최근 시장 전문가들은 주식시장의 두 가지 핵심 밸류에이션 지표가 과거 대규모 조정과 폭락을 예고했던 역사적 최고치에 근접하면서, 2026년 증시 하락 가능성에 대한 경고를 내놓고 있다. Macromicro, Fortune, GuruFocus, CNBC, Financialcontent, Economic Times, Forbes, Bank of England, Reuters에 따르면, 이런 주장들이 2025년 10월 현재 이어지는 고강도 변동성 상황에서 더욱 주목받고 있다. 첫째 워렌 버핏이 ‘가장 신뢰하는’ 시장 평가 지표로 꼽는 버핏 지표(Buffett Indicator)는 미국 전체 주식시장 시가총액을 GDP 대비 비율로 나타내는 지표다. 2025년 10월 19일 기준 이 지표는 사상 최고치인 218.5%에 도달했다. 이는 버핏이 2001년 포춘 인터뷰에서 “200% 넘으면 불장난을 하는 것과 같다”고 경고한 임계치를 훌쩍 뛰어넘는 수치로, 닷컴 버블 시기 최고치 약 140%도 크게 상회한다. 현재 218% 수준은 2.2 표준편차 이상 역사적 추세 위에 있어, 시장이 경제 성장 대비 과도하게 부풀려졌다는 것을 의미한다. 둘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