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스페이스=이종화 기자] 국제 과학연구팀이 감자의 진화적 기원을 900만 년 전 고대 토마토와의 '우연한 만남'에서 찾으면서, 인류 식량사의 미스터리가 마침내 풀렸다. 2025년 7월 31일 Cell의 발표와 Science Daily, Live Science, CBS News 등의 보도에 따르면, 오늘날 전 세계에서 연 3억5000만톤 이상 생산되는 세계 3대 필수 식량작물 감자는 고대 남미 안데스 산맥의 드라마틱한 자연환경 변화와 함께, 토마토와 에투베로섬(Etuberosum)이란 감자 유사 식물 간 자연교잡의 산물로 탄생했다는 사실이 유전체 분석으로 입증됐다. 450개 감자 게놈‧56개 야생종 대규모 분석…‘마스터스위치’ SP6A 유전자, 토마토가 선물 중국 농업과학원, 영국 자연사박물관 등 국제 공동연구진은 재배감자 450개체와 야생종 56개를 포함해, 총 500개 이상의 게놈 시퀀스를 분석했다. 연구 결과, 모든 현대 감자 종은 약 60%는 에투베로섬, 40%는 토마토 혈통의 유전자를 균형 있게 보유하고 있음이 밝혀졌다. 특히, "괴경(감자의 덩이줄기) 생성을 개시하는 마스터스위치 유전자(SP6A)는 토마토 혈통에서, 괴경이 되는 지하줄기(unde
[뉴스스페이스=최동현 기자] 국세청이 인공지능(AI)을 핵심 축으로 한 세무행정 대전환에 본격 착수했다. 임광현 국세청장 취임 직후 출범한 ‘미래혁신 추진단’은 2025년 8월 14일 첫 전체회의를 개최하고, 납세자 맞춤형 AI 세무컨설팅 서비스부터 체납 대응 자동화, 생성형 AI 기반 세법 해석 시스템까지 포함한 혁신 로드맵을 공개했다. 추진단은 AI 전문가를 포함한 민간위원 16명과 실무진으로 구성된 민·관 합동 조직으로, 연말까지 ‘국세청 미래혁신 종합방안’을 마련할 예정이다. 네이버클라우드 CTO 곽용재, KT AI퓨처랩장 배순민, 한양대 박혜진 교수 등 AI 기술과 법·제도 전문가들이 참여해 기술 혁신과 세정 제도 개선을 함께 추진한다. 미래혁신 추진단은 다섯 개 분과(▲AI 전환 ▲제도개선 ▲조세정의 ▲민생지원 ▲국세정보)에서 총 16개 혁신 과제를 중점 추진한다. AI 전환 분과는 납세자 편의 대폭 강화에 초점을 맞춰 ‘AI 세무컨설팅 서비스’를 핵심 과제로 선정했다. AI 에이전트가 신고·납부 전 과정을 안내하고 맞춤형 세무조언을 제공해, 세무대리인이나 전문가 도움 없이도 최적의 절세 전략을 찾을 수 있도록 한다. 체납 대응 분야에서는 AI 기
[뉴스스페이스=이종화 기자] 신축 아파트에서 비둘기가 들어와 둥지를 틀고, 심지어 새끼까지 낳는 ‘도시 생태계 이상 신호’가 현실이 됐다. 최근 온라인 커뮤니티에는 “진짜 새 아파트”란 제목의 게시글과 사진이 화제다. 사진에는 욕실 천장에 들어온 비둘기와, 스프링클러 배관 틈에 둥지 서식지로 삼은 어린 새끼 비둘기가 포착됐다. 댓글 창엔 “샷시 달기 전 들어와서 둥지 틀고 새끼 낳은 듯 하다”, “새들도 집값 비싸서 무허가 입주했나 보다” 등 도시민의 씁쓸한 농담과 함께, “아파트 건립 과정의 틈새가 새들의 새로운 서식지로 변모한다”는 지적이 이어지고 있다. 도심 속 비둘기, 어디까지 적응했나? 비둘기는 대표적인 도시 적응종으로 꼽힌다. 2025년 기준 서울과 같은 대도시에서 비둘기 밀도는 1제곱킬로미터 당 최대 500마리에 달하는 것으로 한국조류학회 조사에서 파악됐다. 유럽, 북미 주요 도시 역시 비둘기가 에어컨 실외기, 빌딩 틈새, 아파트 베란다 등 다양한 틈을 활용해 둥지를 트는 사례가 해마다 늘고 있다. 비둘기의 번식 습성은 도심 적응에 최적화되어 있다. 한 쌍이 1년에 평균 6~8회의 번식을 한다는 해외 학계 발표도 있다. 알에서 깨어난 새끼는 처음
[뉴스스페이스=이종화 기자] 일론 머스크가 이끄는 인공지능(AI) 기업 xAI가 2025년 7월 중순, 미시시피주 사우스헤이븐 소재 114에이커(약 46만㎡) 규모의 전 듀크 에너지 천연가스 발전소를 공식 인수했다. CNBC, Magnolia State Live, Futureteknow, Tom's Hardware 등의 매체들의 보도에 따르면, 이 부지는 와이오밍 소재 MZX Tech LLC(주소지는 xAI의 팔로알토 본사와 동일)를 통해 소유권이 이전됐으며, 등기부상의 매입가는 단 10달러, 그러나 이 거래는 AI 인프라 확장이라는 전략적 가치와 지역 경제에 미치는 파급효과가 막대하다는 평가라고 전했다. 현장에는 xAI·테슬라 관계자들 ‘상주’…“공사- 설비 반입 활발, 후방 데이터센터와 1마일 거리” 멤피스 지역 언론은 해당 부지에서 xAI 로고가 새겨진 장비 및 테슬라 사이버트럭(캘리포니아 번호판)이 다수 목격됐으며, 건설·설치 인력과 장비가 빈번하게 출입 중임을 확인했다. 익명의 xAI 고위 임원 브렌트 메이요는 “구체적 계획 공개는 어렵지만, 회사가 부지에서 활동 중임을 인정한다”고 언급했다. 이 발전소는 xAI가 멤피스에서 추진 중인 ‘콜로서스 슈
[뉴스스페이스=김정영 기자] 일론 머스크 xAI 창업자가 애플이 자사의 AI 앱과 소셜미디어 플랫폼을 앱스토어 추천 순위에서 부당하게 배제하고, 오직 오픈AI의 챗GPT에만 유리한 편집권을 행사해 독점금지법을 위반했다고 법적 조치를 예고했다. CNN, CNBC, Euronews, Business Insider, 9to5Mac 등의 보도에 따르면, 머스크는 2025년 8월 11일(현지시간) 자신의 소셜네트워크 X(구 트위터)를 통해 “애플이 오픈AI 이외 AI 기업이 앱스토어 1위를 차지하는 것을 불가능하게 하는 방식으로 행동하고 있다”며 즉각적인 소송을 진행할 뜻을 밝혔다. 머스크의 주장에 따르면 그의 AI 챗봇 ‘그록(Grok)’은 미국 아이폰 앱스토어 ‘Top Free Apps’ 순위에서 5위, 소셜미디어 플랫폼 X는 “세계 1위 뉴스 앱”임에도 불구하고 애플이 엄선하는 ‘Must Have’ 추천 리스트에는 모두 포함되지 않았다. 반면 오픈AI의 챗GPT는 상위권을 유지하며 애플과의 긴밀한 파트너십 하에 iOS, iPadOS, macOS에서 Siri와 통합되는 Apple Intelligence의 핵심 AI 서비스로 자리 잡고 있다. 이같은 편집권 행사는
[뉴스스페이스=이종화 기자] 국제 과학자들이 플라스틱 오염이 전 세계 인류 건강에 미치는 심각한 영향을 경고하는 획기적 보고서를 내놓았다. 8월 4일(현지시간) 발표된 의학 저널 ‘The Lancet’ 보고서와 CBS News, Yale Environment 360, Imperial College London 등의 자료에 따르면, 플라스틱은 유아기부터 노년기까지 모든 생애 단계에서 각종 질병을 유발해 연간 최소 1조5000억 달러(2085조1500억원)에 달하는 건강 관련 경제적 손실을 초래하고 있어, 국제사회의 강력한 대응이 시급하다고 촉구했다. 전 생애 건강 영향…미세플라스틱은 이미 인체 장기 속 깊숙이 보스턴대 필립 랜드리건 박사(주저자)를 포함한 국제 연구진은 플라스틱에 포함된 1만6000여 가지 화학물질 중 66% 이상이 아직 안전성 검사를 받지 않은 상태라고 지적했다. 특히 영유아기 저체중 출생, 인지 능력 저하, IQ 감소, 비만 등 아동 건강에 미치는 영향이 명확하게 드러났다. 성인에서는 당뇨, 심혈관질환, 뇌졸중, 암 위험 증가가 보고되고 있다. 더욱이 최근 연구에서 미세플라스틱 입자가 인간의 혈액, 뇌, 폐 등 주요 장기에서 발견됐지만 장기
[뉴스스페이스=이종화 기자] 2025년 8월 영국 에든버러 대학교 연구진이 발표한 혁신적 연구 결과는 고양이가 인간 알츠하이머병과 매우 유사한 방식으로 치매를 겪는다는 사실을 밝힘으로써, 정밀한 자연 발생 동물 모델로서 고양이가 알츠하이머 연구 및 신약 개발의 핵심 역할을 할 가능성을 제시했다. 이 연구는 2025년 8월 12일 European Journal of Neuroscience에 공식 게재됐다. University of Edinburgh의 발표와 BBC News, Sky News, Euronews, News Medical 등의 보도에 따르면, 연구진은 인지 기능 장애 증후군, 즉 일명 ‘고양이 치매’를 앓은 25마리 고양이의 뇌를 부검했으며, 고해상도 현미경 분석을 통해 알츠하이머병의 핵심 독성 단백질인 아밀로이드-베타가 고양이 뇌에서도 인간과 유사하게 뇌세포 시냅스 사이에 축적되어 있음을 확인했다. 이 독성 단백질은 신경 세포 간 신호 전달을 저해하고 기억력 저하를 유발하는 주요 원인으로 알려져 있다. 또한 고양이의 행동 변화도 인간 알츠하이머 환자와 닮아 혼란, 수면 주기 파괴, 과도한 발성, 익숙한 장소에서의 방향 감각 상실 등이 관찰됐다. 이
[뉴스스페이스=김시민 기자] 애플이 오는 2025년 9월 정식 출시 예정인 최신 모바일 운영체제 iOS 26에서 ‘다이내믹 월페이퍼’ 기능을 전면에 내세우며 사용자 경험의 혁신을 예고했다. 애플은 7월 24일(현지시간), 차세대 모바일 운영체제 ‘iOS 26’의 첫 번째 퍼블릭 베타 버전을 전 세계 사용자들에게 공식 공개했다. CNBC, CNET, the verge, TechCrunch의 보도와 Apple 공식 자료에 따르면 이번 베타는 올해 6월 WWDC에서 발표된 뒤 약 한 달여 만에 일반 테스트 버전으로 선보인 것으로, 주요 미디어들은 “2013년 iOS 7의 플랫 디자인 도입 이후 최대 UI 변화”라고 평가한다. ‘리퀴드 글라스’ 디자인 — 실리콘 혁신이 만든 인터페이스 혁명 iOS 26의 가장 큰 변화는 새롭게 도입된 ‘리퀴드 글라스(Liquid Glass)’ 디자인 언어다. 리퀴드 글라스는 아이폰과 iOS 전반에 걸쳐 더욱 투명하고 유리처럼 생동감 넘치는 인터페이스를 구현한다. 과거 macOS의 Aqua, iOS 7의 가우시안 블러, visionOS의 글라스 UI에서 발전한 이번 디자인은, 실제로 애플 디자인팀이 다양한 불투명도와 렌즈 효과를 지닌
[뉴스스페이스=최동현 기자] 포스코이앤씨(POSCO E&C)가 올해 들어 5건의 사망 사고가 잇따라 발생하면서, 국내 건설업계가 사상 초유의 '면허취소' 위기에 직면했다. 이재명 대통령은 직접 “건설면허 취소, 공공입찰 금지 등 법률상 가능한 모든 방안을 검토하라”고 관계부처에 강경 조치를 지시했다. 1994년 성수대교 붕괴 이후 대형 건설사의 면허취소가 현실화된다면, 28년 만에 처음 있는 일이다. 면허취소, 건설업계 최대 징계…단 한 번의 전례 “성수대교 붕괴 동아건설” 현행 건설산업기본법 83조에 따르면, ‘고의나 중대한 과실로 부실시공 등으로 공중에 위험을 끼쳤을 경우’에만 건설업 면허 취소가 가능하다. 산업재해로 인한 인명사고는 역대 한 차례도 면허취소 사유로 적용된 적이 없다. 실제로 32명이 사망한 1994년 성수대교 붕괴 사고의 책임을 물어 1997년 동아건설산업의 면허가 취소된 것이 유일한 사례다. 2022년 광주 화정아이파크 붕괴, 2023년 인천 검단 지하주차장 붕괴 등 최근 대형 참사 역시 영업정지나 공공입찰 제한에 그쳤다. “포스코이앤씨, 전국 103곳 공사 무기한 중단…5조원 규모 현장도 멈췄다” 올해 7월말까지 포스코이앤씨
[뉴스스페이스=김정영 기자] 미국 전기차 기업 테슬라의 성장 신화가 흔들리고 있다. 파격적 미래 비전의 핵심 ‘로보택시’와 자율주행 계획을 재차 강조하는 일론 머스크 CEO의 발표에도 불구, 글로벌 투자자들은 테슬라의 실적과 중·장기 성장동력에 대해 점차 회의적 시각을 드러내고 있다고 CNBC, CNN, Business Insider 등의 매체들이 보도했다. 투자자들, “비전만으론 안 된다”…현실적 수익성 요구 거세져 지난 7월 23일(현지시간) 발표된 테슬라의 2분기 실적은 회복의 신호를 찾기 어렵다. 테슬라의 Q2 2025 총 매출은 전년 동기 대비 12% 감소한 224억9600만달러로 집계됐으며, 순이익은 16% 하락해 11억7000만달러에 머물렀다. 차량 인도량 역시 38만4122대로 전년동기대비 13.5% 감소했다. 자동차 부문만 보면 매출은 16% 줄어든 166억달러에 그쳤으며, 조정 EBITDA도 7% 감소한 34억달러로 하락세가 뚜렷하다. 투자자들이 요구하는 ‘눈앞의 성장’은 뚜렷한 반등없이 답보 상태다. 2분기 캘리포니아·유럽 등 핵심 시장에서의 부진과 중국발 저가 전기차 공세, 미국 EV 보조금 축소 및 트럼프발 관세 리스크 등 악재가 겹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