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스페이스=김정영 기자] KAI(한국항공우주산업㈜)가 3일(현지시간) 페루 리마에 위치한 공군 스포츠컴플렉스에서 페루 국영 항공정비회사인 SEMAN과 FA-50 부품 공동생산을 위한 업무협약(MOU)을 체결했다. 이번 체결식에는 디나 볼루아르테(Dina Boluarte) 페루 대통령을 비롯해 국방장관 및 육/해/공군 총장 등 페루 최고위급 인사와 방사청 강환석 차장, 주페루 최종욱 대사 등 대한민국 정부 주요 인사가 참석했으며, 양사의 대표인 KAI 강구영 사장과 SEMAN 하이메 로드리게스(Jaime Rodriguez) 사장(공군소장)이 협약서에 서명했다. SEMAN(Servicio de Mantenimiento)은 페루 항공산업 진흥을 목적으로 설립된 국방부 산하 국영 기업으로 창정비 및 성능개량 등 업무를 담당하고 있다. 2012년 KAI가 페루와 수출 계약한 KT-1P 20대 중 16대를 SEMAN이 현지 조립했다. 업무협약은 지난해 5월 페루 방산전시회 ‘SITDEF 2023’ 기간 중 페루 정부, 공군 및 SEMAN과 논의한 산업 협력방안에 대한 후속 조치로 진행됐다. KAI는 지난 1년간 페루에서 현지 실사 활동을 진행했으며 이번 MOU 체결
[뉴스스페이스=김정영 기자] 테슬라의 2분기 자동차 생산량과 인도량이 예상을 크게 넘어선 것으로 나타났다. 2일(현지시간) 이 소식에 힘입어 시장이 곧바로 반응하면서 테슬라 주가는 뉴욕증시에서 전일 대비 약 10% 폭등한 231.26달러를 기록했다. 테슬라 주가가 230달러 대를 돌파한 것은 지난 1월 10일 이후 처음이다. 테슬라 주가가 10% 뛰어올랐다. 이날 테슬라는 2분기에 총 44만3956대의 차량을 인도했다고 밝혔다. 이는 시장조사업체 팩트셋이 집계한 분석가들의 전망치 43만9000대를 뛰어넘은 수준이다. 또 전분기인 1분기에 비해서도 14.8% 증가한 수치다. 전년 동기 46만6140대에 비해서는 약 4.8% 감소했다. 같은 기간 자동차 생산량은 41만831대를 기록했다. 웨드부시의 애널리스트 댄 아이브스는 "2분기는 테슬라에 엄청난 실적 회복"이라며 "테슬라는 비용을 절감하고 수익성을 유지하기 위해 인력을 10∼15% 감축했다. 성장 이야기가 다시 나오면서 앞으로 더 좋은 날들이 올 것 같다"고 썼다. 앞서 중국 최대 자동차 제조업체 비야디는 공개한 보고서에서 2분기에 순수전기차 42만6039대를 판매했다고 밝혔다. 전년 동기 대비 21% 증가
사자성어는 언제 들어도 있어 보이고 또 그 의미를 새겨보면 참으로 주옥같다는 느낌이 들곤 합니다. 네 글자의 미학이라고나 할까요. 절치부심은 이를 갈고 마음을 썩이다란 뜻으로 대단히 분하게 여기고 마음을 썩임을 일컫는 말입니다. 비슷한 의미로 ‘와신상담’도 있습니다. 그렇지만 그런 분노를 다스리며 훗날을 도모하는 것도 사실 중요하지만, 그 화를 스스로 못이기고 그 열에 스스로 불탈 수도 있습니다. 부심 대신 무심을 강조하는 까닭이기도 합니다. 그래서인지 매일 운동하고, 남의 것에 욕심 내지 않고, 상대와 비교하지 않은 채 나의 길을 묵묵히 걸어가야 할 이유가 이 때문일 것입니다. 오늘 하루도 ‘무심’을 깨닫고 터득하기 위해 애쓰는 당신! 여러 제안도 드렸고 말씀도 올렸지만, 무심은 명의가 특효약을 처방해 주는 것도 아니고, 별도의 비법이 있어 전수되는 것도 아니며, 오로지 트레이닝과 마인드셋 다지기로 일궈지는 것입니다. of the 나, by the 나, for the 나…바로 ’나나나‘ 입니다. 그래서 이타주의와는 거리가 있고, 개인주의에 가깝지만 그래도 이기주의는 아니라고 말씀드린 바 있습니다. 무심과 가장 어울리는 말이 제법 있는데 ’시간이 약이다‘와
[뉴스스페이스=김정영 기자] 일론 머스크가 설립한 뇌 신경과학 스타트업 뉴럴링크가 두 번째 뇌 이식 수술을 연기했다. 6월 28일(현지시간) 블룸버그 통신에 따르면 뉴럴링크는 당초 24일로 예정돼있던 두 번째 수술을 중단했다. 중단이유는 환자의 건강 상태가 원인인 것으로 전해졌다. 수술이 진행될 예정이었던 배로우 신경학 연구소의 마이클 로튼 최고경영자(CEO)는 블룸버그와의 인터뷰에서 “이런 임상시험에서는 적합한 환자를 선택하는 것이 매우 중요하다”며 "당초 수술을 받기로 예정돼 있던 환자는 이식 수술을 받기에는 건강상의 문제가 있었다"고 밝혔다. 뉴럴링크는 뇌-컴퓨터 인터페이스(BCI) 장치를 뇌에 이식하는 기술을 개발해 왔다. 2023년 5월 미국 식품의약국(FDA)의 임상 승인을 받은 뒤 근위축성측삭경화증(ALS·루게릭병) 등을 앓는 중증 환자들을 임상 시험 대상자로 선정했다. 2024년 1월에는 최초로 뇌 이식용 컴퓨터 칩 ‘텔레파시’를 실제 환자의 두개골 자리에 이식하는 수술에도 성공했다. 첫 이식 대상자였던 놀런드 아보는 2016년 다이빙 사고로 어깨 아래 신체가 마비됐지만 이식 수술 후 생각만으로 컴퓨터 화면 속 커서를 움직이거나 비디오 게임을
[뉴스스페이스=김정영 기자] KAI(한국항공우주산업㈜)는 1일 사천 본사 우주센터에 위성체 시험용 대형 열진공시설(Thermal Vacuum Chamber)을 구축했다고 밝혔다. 이는 그동안 항공우주연구원(KARI)에만 있던 대형 열진공챔버가 민간 기업에 설치된 첫 사례이며, 이번에 완공된 시설은 지름 5.7m, 길이 6m 크기로 국내 두 번째로 큰 규모이다. KAI는 이번 위성 시험용 대형 챔버 설치로 초소형 위성에서부터 정지궤도 기상위성 및 항법위성(KPS) 등 3.5~4톤급 대형위성까지 우주환경시험이 가능한 독보적인 우주사업 인프라를 보유하게 됐다. 특히, 초소형 SAR위성 대량생산을 위한 동시 시험 체계기반을 마련했다는 평가다. 대형 열진공 챔버는 오는 7월 초소형위성체계개발사업 SAR검증위성(K모델)의 궤도환경(고온·저온·진공) 시험을 시작으로 운영에 본격 착수한다. 향후, 전자파시험 시설을 추가 확보하여 명실상부 설계부터 제작 및 환경시험에 이르는 위성개발 전체 프로세스를 One Site에서 할 수 있는 우주센터를 완비한다는 계획이다. 이를 통해 국내 위성 소요확대와 위성 수출 등을 대응하기 위한 양산체계를 확보하고 개발 효율 향상과 저비용화를 기
[뉴스스페이스=김정영 기자] 워런 버핏(93) 버크셔 해서웨이(버크셔) 회장이 53억 달러(약 7조3000억원) 규모의 버크셔 주식을 자선단체 5곳에 추가로 기부한다고 버크셔 측이 28일(현지시간) 밝혔다. CNBC 방송에 따르면 이번 기부 후에도 버핏이 보유한 버크셔 지분 가치는 약 1300억 달러(약 180조원)에 달한다. 버핏 회장이 내놓은 버크셔 주식(클래스B) 1300만 주 중 약 4분의 3인 993만 주는 세계 최대 규모 자선재단인 ‘빌 앤드 멀린다 게이츠 재단’에 기부된다. 나머지는 수전 톰슨 버핏 재단과 3명의 자녀인 하워드, 수전, 피터가 운영하는 다른 3곳의 재단에 각각 기부된다. 수전 톰슨 버핏 재단은 2004년 세상을 떠난 아내 이름을 땄으며, 출산 건강 관련 지원활동을 펼치고 있다. 버핏은 앞서 자신의 재산 대부분을 기부하겠다고 공언하고 2006년부터 빌 앤드 멜린다 게이츠 재단과 가족 이름을 딴 재단에 정기적으로 재산을 기부해오고 있다.
[뉴스스페이스=김정영 기자] 우리 공군의 우주영역 인식능력을 획기적으로 높일 우주작전전대가 30일 창설된다. 공군은 28일 오산기지에서 김형수 공군작전사령관 주관으로 우주작전전대 창설식을 연다고 밝혔다. 창설식에는 국방부, 합동참모본부, 주한 미 우주군사령부, 한국천문연구원, 항공우주연구원 등 우주 관련 군내외 주요 관계자들이 참석한다. 공군은 정찰위성 운영 등 우주작전이 날로 중요성을 더해가는 가운데 우리 군의 우주작전 수행력을 강화하기 위해 부대 규모를 키운다고 설명했다. 부대장은 중령급에서 대령급으로 계급이 높아지고, 부대원 규모는 기존 50여명에서 100여명으로 늘어난다. 우리 공군의 우주작전 조직은 2019년 위성감시통제대로 시작해 2022년 전자광학 위성감시체계가 전력화되며 우주작전대대로 거듭났다. 이번에 우주작전전대가 창설되면서 그 조직과 임무가 더욱 확대될 예정이다. 우주작전전대는 향후 전력화될 우주기상 예·경보 체계와 초소형 위성체계 등 우주전력을 효율적으로 운영해 우주 위험·위협 대응능력과 킬체인 및 한국형 미사일방어(KAMD) 작전 수행 시 적 도발원점 정보식별 능력을 발전시켜 나갈 계획이다. 우주작전전대는 향후 미 우주사령부 예하 '민군
[뉴스스페이스=김정영 기자] 인도 델리 국제공항 터미널 지붕 일부가 붕괴해 1명이 사망하고 8명이 부상을 입었다. 28일(현지시간) 로이터 및 CNN 등에 따르면 이날 새벽부터 내린 폭우로 델리 국제공항 제1터미널 출국장 지붕 일부가 무너졌다. 공항 당국은 온라인에 게시된 성명에서 "이른 아침부터 내린 폭우로 인해 캐노피 일부가 오전 5시쯤 무너졌다"라고 밝혔다. 사고는 공항 제1터미널 출국장에서 발생했다. 아툴 가르그 델리 소방청장은 "지붕 지지대 두 개가 무너졌고, 기둥이 자동차 위로 쓰러지면서 차 안에 있던 1명이 사망했다"면서 "부상자 8명은 병원으로 이송됐으며 구조작업이 완료됐다"고 밝혔다. 델리 국제공항 측은 제1터미널 출국장을 사용하는 항공사 인디고와 스파이스제트의 항공편을 이날 오후 2시까지 일시 중단한다고 밝혔다. 항공편 추적 플랫폼 플라이트레이더24의 자료에 따르면 최소 10편의 항공편이 취소되고 40편이 지연됐다. 이날 델리에선 폭우로 도로가 침수되고 지붕이 무너지는 사고가 현지 언론에 잇달아 보도됐다. 인도 항공부는 정확한 붕괴 원인을 조사 중이다. 뉴델리는 몬순 우기로 최근 며칠간 많은 비가 쏟아졌다.
[뉴스스페이스=김정영 기자] AI가 탄소배출량 등 환경측면에서 실보다 득이 더 많다는 주장을 빌 게이츠 마이크로소프트(MS) 창업자가 밝혔다. 즉 AI의 친환경적 혜택이 온실가스 배출이라는 결점을 충분히 메울 수 있을 것이라는 입장이다. 빌 게이츠는 26일(현지시간) 블룸버그TV와의 인터뷰에서 "AI가 에너지 전환에 도움이 될 것이기 때문에 데이터센터 등의 확장에 따른 온실가스 배출과 관련해 그 값어치를 할 것"이라며 "AI가 데이터센터의 효율성을 높여 향후 전력 수요에서 차지하는 비중도 축소될 것"이라고 주장했다. 게이츠는 AI가 전세계 전기 사용량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현재는 2% 이상을 사용하고 있으며, 앞으로 6%까지 증가할 수 있지만, 10% 이상 사용할 것이라는 예측은 틀렸다"고 말했다. 이러한 발언은 AI가 에너지 수요를 증가시킬 것이라는 예측과 관심이 높아진 상황에서 나온 발언이라 의미가 크다. 일부 지역에서는 데이터 센터 수요가 전력 공급을 초과하고 있으며, 이는 일부 국가의 에너지 전환 계획에 영향을 줄 수 있다는 우려까지 나오고 있는 상황이다. 하지만 게이츠는 "조만간 전기차, 히트 펌프, 친환경 강철 제조로 인한 추가 수요가 데이터
[뉴스스페이스=김정영 기자] 국제민간항공기구(ICAO)가 북한의 GPS 신호교란 행위에 대해 엄중히 경고하고 나섰다. UN 전문기구인 ICAO가 GPS 교란행위의 주체로 북한을 콕 집어 명시한 것은 이번이 처음이다. ICAO는 이달 10일에서 21일까지 캐나다 몬트리올에서 열린 제232차 이사회에서 우리나라가 제기한 북한의 GPS 신호교란 행위에 대해 심각한 우려를 표명했다. 더불어 재발 방지를 촉구하는 결정을 채택하고, ICAO 이사회 의장 명의의 서한을 통해 북한에 이번 결정을 통보하기로 했다. ICAO는 국제 민간항공의 안전과 발전을 도모하기 위해 1944년 채택된 시카고 협약에 의해 설립된 유엔(UN) 전문기구다. ICAO 이사회는 총회에서 선거한 36개 주요 항공 강국으로 구성돼 있다. 이번 결정에는 ▲북한에서 발원한 GPS 신호교란 행위에 대한 심각한 우려 표명 ▲북한의 기존 이사회 결정 및 시카고 협약 등에 대한 엄격한 준수 강력 촉구 ▲재발 방지 보장 요구 등이 포함됐다. 2012년, 2016년에도 북한의 GPS 신호교란 행위가 발생하자 정부는 ICAO에 문제제기를 했었다. 당시엔 ICAO 이사회가 우려를 표시하는 결정문은 채택했으나, 행위 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