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스페이스=이은주 기자] 미국 정부의 대규모 인공지능(AI) 활용에 심각한 보안 허점을 드러낸 충격 사건이 벌어졌다. 테크크런치와 포춘의 보도에 따르면, 정부 효율성 부서(DOGE, Department of Government Efficiency) 소속 직원 마르코 엘레즈(Marko Elez)가 2025년 7월 13일(현지시간), GitHub 퍼블릭 저장소에 실수로 xAI API 키를 노출한 것이 결정적으로 밝혀지면서 파장이 커지고 있다. "agent.py"에 담긴 금단의 열쇠…52개 LLM까지 사각지대 드러나 엘레즈는 'agent.py'라는 파이썬 스크립트를 GitHub에 커밋하면서, xAI가 개발한 그로크(Grok) 최신 버전(grok-4-0709, 2025년 7월 9일 생성 포함)을 비롯해 최소 52개의 대형 언어 모델(LLM)에 접근 가능한 비공개 API 키를 코드에 포함시켰다. 해당 유출은 공개 저장소의 비밀정보 노출 감지에 특화된 GitGuardian에 의해 실시간으로 포착되어 경고가 전해졌지만, 이미 키는 외부에 노출된 상태였다. 더욱이, 저장소 삭제 후에도 API 키는 비활성화되지 않아 수일간 접근이 가능했다. '반복되는' xAI 보안 실수
[뉴스스페이스=김정영 기자] 전 세계적으로 약 6000만명이 고통받고 있는 알츠하이머병과 파킨슨병 등 신경퇴행성 질환 치료에 새로운 전기가 마련됐다. BBC Science와 로이터 등의 보도에 따르면, 2025년 7월 16일(현지시간), ‘글로벌 신경퇴행성 단백질체학 컨소시엄(GNPC)’이 전 세계에서 가장 방대한 신경퇴행성 질환 단백질체 데이터세트를 전격 공개한 것이다. 이번 성과는 존슨앤드존슨(J&J)과 게이츠재단이 2023년 설립한 GNPC가 미국, 영국, 호주 등 23개 연구기관에서 수집한 혈액·뇌척수액 등 샘플 약 3만5000개, 총 2억5000만건 이상의 단백질 데이터를 인공지능 AI 플랫폼에서 집대성해 얻은 것이다. 관련 논문 4편은 세계 최고 수준 의학 학술지 ‘네이처 메디신(Nature Medicine)’과 ‘네이처 에이징(Nature Aging)’ 7월 15일자 온라인판에 동시에 게재됐다. “APOE4 고위험군 예측 99% 정확, 신경질환 맞춤 조기진단 시대 눈앞” 연구진은 이 데이터를 통해 알츠하이머·파킨슨·전측두엽 치매·ALS(루게릭병) 등 주요 질환별로 발병 위험, 진행 정도, 예후 예측에 활용할 고유 단백질 바이오마커 수백 종
[뉴스스페이스=이종화 기자] 엔비디아의 최고경영자(CEO) 젠슨 황이 7월 16일 제3회 중국국제공급망촉진박람회(CISCE) 개막식에서 특유의 검은 가죽재킷 대신 중국 전통의상 ‘당복(唐裝)’을 입고 등장해 중국 현지와 글로벌 미디어의 뜨거운 관심을 받았다. 황 CEO가 중국 전통 의상을 공식 석상에서 착용한 것은 이번이 처음으로, 시장에서는 그가 미국과 중국 사이에서 상징적인 메시지를 던졌다는 해석이 나온다. 세계 AI 시장 '빅바이어'에 파격 메시지…현장 반응 '후끈' 황 CEO는 이날 연설에서 “나는 중국인이다. 미국에서 성장했지만 나의 모국어(first language)는 중국어”라며 자신의 뿌리를 강조했다. 실제로 연설 서두와 마무리에서 중국어로 인사를 전했고, "엔비디아는 중국에서 계속 사업할 것"이라며 중국 시장에 대한 애정을 드러냈다. 현장에서는 젠슨 황의 갑작스러운 변화에 큰 반향이 일었다. 중국 국영통신 신화통신(Xinhua), 글로벌타임스(Global Times) 등 현지 주요 미디어들은 “중국 문화에 대한 존중이자, 중국 시장의 전략적 중요성에 대한 선명한 메시지”라고 평가했다. 엔비디아, H20칩 '재상륙'으로 4조달러 기업의 존재감
[뉴스스페이스=이종화 기자] 2025년 7월 엔비디아가 미국 상장사 최초로 시가총액 4조 달러를 돌파하며, CEO 젠슨 황(Jensen Huang)도 글로벌 자산가 판도를 뒤흔들었다. 포브스와 블룸버그 등 주요 매체의 실시간 억만장자 지수에 따르면, 황의 순자산은 1400억~1510억 달러로, 오마하의 현인 워런 버핏을 앞질렀다는 수치가 발표됐다. 이는 2025년 한 해에만 약 280~290억 달러 이상이 늘어난 결과다. AI가 만든 부의 신흥강자…엔비디아의 질주 엔비디아의 2025년 7월 시가총액은 4조 달러를 돌파하며 사상 첫 '4조 클럽'에 입성했다. 이는 마이크로소프트(약 3.75조 달러), 애플(약 3조 달러)을 따돌린 기록적 성과다. 젠슨 황의 엔비디아 지분율은 약 3.5~3.8%(8억~9.3억 주 수준)로, 최근 1년간 700억 달러에 상당하는 주식을 매각했음에도 불구하고 주가가 급등하며 자산이 크게 증가했다. AI 반도체 시장 지배와 매출 폭증 엔비디아는 2025년 전세계 AI 반도체 시장에서 77%의 웨이퍼 점유율(Morgan Stanley 기준), 80~90%에 육박하는 AI 가속기 시장 점유율(William Blair, PatentPC 등
[뉴스스페이스=조일섭 기자] LG가 독자 개발한 하이브리드 AI 모델 ‘엑사원(EXAONE) 4.0’이 공식 공개된 가운데, 국내 최초로 의사 국가시험 등 6개 국가공인 전문가 자격증 필기 시험을 통과할 정도의 기본기와 전문성을 모두 겸비한 점이 가장 큰 화제가 됐다. 또 글로벌 오픈소스 AI 플랫폼 ‘허깅페이스(Hugging Face)’에 오픈 웨이트로 공개되어 학술·연구·교육 등 폭넓은 용도로 활용될 전망이다. 국내 첫 ‘의사 국시’ 통과…전문 AI로서 의미 엑사원 4.0은 국가의사시험, 변호사시험, 회계사, 노무사 등 6종의 국가공인 시험을 통과한 성적을 직접 공개하며 전문 AI로서의 기술력을 입증했다. 실제로 주요 국가자격증 시험에서 합격점 이상(국시 60%, 변호사시험 40% 등)을 받는 성취를 기록하여, "한국형 전문 AI의 시대"를 연 상징적인 사건으로 평가된다. 미국, 일본 등 해외 빅테크사의 주요 AI와 비교해도 높은 일상 언어 이해력(한국어·영어 등 멀티링구얼)과, 특정 직업군을 위한 문제해결 성능이 동시에 주목받았다. 글로벌 오픈소스 플랫폼 ‘허깅페이스’ 공개…개방과 협력의 AI 전략 LG는 엑사원 4.0의 오픈 웨이트 모델을 허깅페이스에
[뉴스스페이스=이종화 기자] <편집자주> 유튜브, 인스타 등에서 활동하는 인플루언서들이 '협찬을 받지 않았다', '광고가 아니다'라는 사실을 보이기 위해 "내 돈 주고 내가 샀다"라는 뜻의 '내돈내산'이라는 말이 생겼다. 비슷한 말로 "내가 궁금해서 결국 내가 정리했다"는 의미의 '내궁내정'이라고 이 기획코너를 명명한다. 우리 일상속에서 자주 접하는 소소한 얘기거리, 궁금증, 호기심, 용어 등에 대해 정리해보는 코너를 기획했다. 7. 데일리플래닛 진짜 있는 곳?…허구와 현실, 그리고 헐리우드 속 상징 데일리플래닛(Daily Planet)은 DC 코믹스의 슈퍼맨 세계관에 등장하는 ‘가상의 신문사’다. 현실 세계에 동일한 이름의 주요 언론사는 존재하지 않는다. 다만, 캐나다에 ‘Chantham Daily Planet’이라는 지역 신문이 1922년까지 존재한 적이 있으나, 슈퍼맨의 데일리플래닛과는 무관하다. 데일리플래닛은 설정상 메트로폴리스(Metropolis)라는 가상의 대도시에 위치한, 미국을 대표하는 일간지다. 편집장 페리 화이트(Perry White), 기자 클라크 켄트(슈퍼맨), 로이스 레인, 사진기자 지미 올슨 등이 직원으로 등장한다. 건물
[뉴스스페이스=이종화 기자] 트위터 공동 창립자이자 블록(Block) CEO인 잭 도시는 최근 iOS 베타 앱 ‘Sun Day’를 선보이며 디지털 헬스케어 시장에 새로운 바람을 불러일으켰다. 이 앱은 사용자의 위치, 피부색, 의류 노출 정도 및 실시간 자외선(UV) 정보를 종합해, 안전한 야외활동 시간과 일일 비타민 D 합성량까지 예측해준다. 주요 기능 및 작동 방식 사용자가 테스트플라이트(TestFlight)로 앱을 설치한 뒤 피부 타입(1~6단계)과 옷차림을 입력하면, 앱은 해당 위치의 UV 지수·구름 양·일출·일몰 정보를 자동으로 불러온다. 실시간으로 맞춤 자외선 지수와 일조 정보를 제공한다. 또 피부색과 의류 노출 정도에 따라, 피부 화상 위험 없는 야외 체류 최대 시간을 알려준다. 특히 사용자가 야외로 나갈 때 ‘노출 시작’, 실내 귀가 시 ‘노출 종료’ 버튼을 누르면, 각 세션별 및 하루 누적 비타민 D 합성 추정치(국제단위, IU)를 기록·제공한다. 이 모델은 최신 의학 논문을 기반으로 개발된 다중 요인 알고리즘에 근거한다. 개인 수동 입력방식 채택과 한계점 다만 잭 도시는 X(前 트위터)에서 “자동 조도 감지가 아니라 순수하게 사용자가 노출 시
[뉴스스페이스=김시민 기자] 미국 트럼프 행정부가 그동안 전면 중단했던 엔비디아(Nvidia)의 인공지능(AI) 칩 ‘H20’의 대중국 수출을 공식 재개한다. 이번 결정은 최근 중국의 희토류·영구자석 등 핵심 소재 수출 정상화에 맞춘 미국의 ‘호혜성 완화조치’로 해석되며, 글로벌 반도체 공급망 재편과 미·중 기술 패권 경쟁이 다시 중요한 전환점을 맞이했다. 美, H20 칩 대중 수출 허가 “AI 연구 위해 필수 시장” CNN, Bloomberg, Euronews 등의 매체들의 보도에 따르면, 7월 15일(현지시간) 젠슨 황 엔비디아 최고경영자(CEO)는 중국중앙TV(CCTV)와의 인터뷰에서 “미국 정부가 우리(엔비디아)의 H20 칩 대중국 수출을 승인해 이제 중국시장에 공급할 수 있다”고 밝혔다. 트럼프 행정부도 “H20 칩 수출을 위한 허가 신청시 인가를 보장받았다”고 엔비디아 측에 직접 통보했다. 지정학적 교환: “희토류 합의→AI 칩 수출 재개” 이번 허가의 배경에는 6월 미·중 간 희토류 및 영구자석 등 핵심 소재의 상호수출 정상화 합의가 있다. 실제 양국은 4월부터 이어진 무역보복 국면을 6월 제네바 및 런던 회담 등에서 완화시키며, 희토류 등 핵심
[뉴스스페이스=김정영 기자] 2025년 7월, 메타(Meta)의 CEO 마크 저커버그가 직접 발표한 ‘기가와트(GW)급 AI 데이터센터’ 건설 프로젝트가 글로벌 IT 및 에너지 업계의 핵심 화두로 부상했다. 저커버그는 SNS 플랫폼 스레드(Threads)를 통해 “수 기가와트 규모의 데이터센터(‘클러스터’) 건설이 진행 중이며, 첫 번째 ‘프로메테우스(Prometheus)’ 슈퍼클러스터가 2026년 상업 가동을 앞두고 있다”고 밝혔다. 추가로 “맨해튼 상당 면적에 필적할 만큼 거대한 두 번째 ‘하이페리온(Hyperion)’ 클러스터는 앞으로 수년 내 5GW로 확장 가능하다”고 강조했다. 메타의 데이터센터 전략, “AI 슈퍼클러스터=미래 패권의 전초기지” 메타는 이미 올해 640억~720억 달러(약 90조원 수준)의 AI 인프라 전용 설비(Capex) 투자를 확정했다. 2030년까지 누적투자액은 수천억 달러에 달할 전망이다. ‘프로메테우스’(오하이오, 2026년 상업 가동 목표)는 1GW(기가와트) 슈퍼클러스터로, 한 번에 약 75만 가구에 필요한 전기를 집약적으로 소비한다. 총면적은 “맨해튼 상당 부지”에 필적한다. ‘하이페리온’(루이지애나, 2030년 완공
[뉴스스페이스=윤슬 기자] 일론 머스크가 이끄는 xAI가 2025년 7월 14일(현지시간), AI 챗봇 ‘그록(Grok)’의 슈퍼 구독 서비스(Super Grok)를 론칭하며 AI 동반자 시장에 본격 진출했다고 TechCrunch, India Today 등의 매체들이 보도했다. ‘슈퍼 그록’ 시대 개막…머스크, AI 동반자로 인간의 미래에 도전장 이번 출시에서 이용자들은 ‘애니(Ani)’와 ‘배드 루디(Bad Rudy)’라는 3D 애니메이션 캐릭터와의 실시간 상호작용, 보다 강력한 AI 기능을 월 30달러에 경험할 수 있다. 특히 슈퍼그록은 AI와 인간 관계 발전 메커니즘(Intimacy System, ‘관계 레벨’)을 최초 도입하여, 사용량에 따라 애니·배드 루디 등 동반자와 감정‧행동의 폭을 넓히는 경험을 제공한다. AI 동반자 시장, ‘슈퍼 그록’으로 격전 예고 xAI의 슈퍼 그록은 베이직 Grok을 월 30달러, 연 300달러의 유료형 프리미엄 모델로 대체했다. X 플랫폼(구 트위터) 프리미엄+ 구독자에게는 50% 할인 혜택이 제공되어 월 15달러에 이용 가능하다. 기존 모델 대비 2배 이상 증가한 질의 한도, 무제한 이미지 생성, DeepSearch