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스페이스=최동현 기자] 코스피가 4년 2개월 만에 사상 최고치를 찍은 가운데 주요 그룹사들의 시가총액도 연초 대비 급증했다. 한화는 160% 넘는 증가율로 30대 그룹 가운데 1위를 차지하며 사상 처음으로 ‘시총 100조 클럽’에 들어섰다. 미래에셋과 효성, 두산도 나란히 세 자릿수 증가율을 기록하며 증시 훈풍을 이끌었다. 14일 리더스인덱스(대표 박주근)가 30대 그룹 상장사 219개의 시가총액을 분석한 결과(1월 2일과 9월 10일 종가 기준), 전체 시총은 1500조2219억원에서 2099조8306억원으로 40.0% 증가했다. 9개월 만에 무려 600조원 가까이 늘어난 것이다. 같은 기간 한국 증권 시장 전체 시총(코스피·코스닥·코넥스 포함)은 2307조3380억원에서 3139조7112억원으로 36.1% 늘었다. 30대 그룹이 차지하는 비중은 65.0%에서 66.9%로, 1.9%포인트 올랐다. 영풍(30위)을 제외한 29개 그룹의 시총이 모두 증가했고, 삼성·SK 등 5곳을 빼면 25개 그룹의 순위가 바뀌었다. 증가율 1위는 한화였다. 시총이 44조8068억원에서 118조1583억원으로 163.7% 급증했다. 전통적으로 삼성·SK·현대차·LG 4대
[뉴스스페이스=김정영 기자] 오라클이 생성형 AI 시대를 이끄는 대표 혁신기업 오픈AI(OpenAI)와 약 3000억 달러(약 400조원) 규모의 클라우드 컴퓨팅 파워 5년 장기 계약을 맺으며, 클라우드 및 AI 인프라 시장의 중심에 섰다. 월스트리트저널, 뉴욕타임스, 로이터 등 미국 주요 매체들은 9월 10일(현지시각) 오라클이 2027년부터 오픈AI에 연간 600억 달러 규모로 클라우드 인프라를 제공하는 역사상 최대 규모의 거래를 체결했다고 일제히 보도했다. 이번 계약은 오픈AI가 자체 데이터센터 프로젝트 ‘스타게이트’(Stargate)의 미국 내 확장 전략의 핵심 축이면서, 약 4.5기가와트(GW) 규모의 데이터센터 용량을 신규 확보한다. 이는 400만 가구에 전력을 공급할 수 있는 규모로, 미국 내 10GW AI 인프라 구축 목표(투자액 5000억 달러)의 약 절반을 한꺼번에 달성하는 셈이다. 오라클은 텍사스 애빌린 ‘슈퍼클러스터’ 단지를 비롯, 미시간·오하이오·위스콘신·펜실베니아·뉴멕시코·조지아·와이오밍 등 8개 주에 초대형 데이터센터를 순차적으로 구축해 총 40만개 이상의 엔비디아 GB200 AI 칩을 투입할 계획이다. 하드웨어 투자비만 400억
[뉴스스페이스=김정영 기자] 중국은 2025년 9월 3일 베이징 톈안먼 광장에서 열린 전승절 열병식에서 차세대 무인 전투 장비인 사족형 '늑대 로봇'을 공식 공개했다. 중국중앙TV(CCTV)와 남방도시일보를 비롯한 관영 매체들에 따르면, 이 로봇은 최대 20kg의 물체를 운반할 수 있으며, 약 2.5시간 연속 운행이 가능하고, 복잡한 지형에서도 뛰어난 기동성을 자랑한다. 늑대 로봇은 자율 제어가 가능한 중국 제조 칩과 전후방 레이저 라이다 및 360도 전방위 카메라 5대를 탑재해 전방위 감지가 가능하다. 최대 30cm 높이 장애물 극복과 40도 경사 오르기도 가능해 도시 근접 전투와 폐허 지형에서도 인간과 협력해 전쟁 임무를 수행할 수 있다. 로봇은 정찰, 타격, 운반 등 역할 분담이 명확한 무인 전투 소대를 구성할 수 있다. 우두머리 격인 로봇은 전방에서 정찰과 목표정보 수집을 담당하며, 사수 로봇은 소총 등 타격 장비를 장착해 정밀 사격을 수행한다. 특히 정찰 로봇의 정보에 기반해 화력을 집중하며, 지원형 로봇은 탄약과 식량 등 물자를 운반한다. 이들은 네트워크로 연결되어 실시간 정보 공유와 상대 전략에 신속히 대응하는 집단 지능 전투 시스템을 구현한다.
[뉴스스페이스=김문균 기자] 국내 4대 시중은행에서 평균 연봉이 1억원을 웃도는 '신의 직장' 임에도 불구하고, 최근 1년 사이 1300여명의 대규모 퇴사가 발생해 금융권이 격변하고 있다. 금융감독원 전자공시시스템에 따르면, 올해 상반기 기준 KB국민·신한·하나·우리 등 4대 시중은행의 총 임직원 수는 5만3794명으로, 지난해 상반기(5만5066명)보다 1272명 줄어든 것으로 나타났다. 신한은행이 532명으로 가장 큰 감소폭을 나타냈으며, 국민은행 473명, 우리은행 180명, 하나은행 87명 순이다. 이는 빠르게 진전되는 비대면 금융 확대와 디지털 전환이 인력 구조 조정의 핵심 동력이 되고 있음을 시사한다. 실제로 은행들은 수년째 매년 2000명 안팎의 직원들에게 희망퇴직을 권하며 인원을 줄여왔다. 2022년 2357명, 2023년 2392명, 2024년 1987명에 달하는 희망퇴직자가 발생했는데, 최근 희망퇴직 신청자에는 30대까지 포함되는 등 연령대가 낮아지는 추세다. 퇴직 직원들은 평균 3억5000만원 규모의 특별 퇴직금과 법정 퇴직금을 포함해 평균 5억원 이상을 퇴직보상으로 챙기고 있다. 특히 희망퇴직 시기와 근속연수에 따라 많게는 10억원, 최
[뉴스스페이스=김혜주 기자] 마이크로소프트 창업자 빌 게이츠(2025년 기준 약 115~118조원 자산 보유)의 딸 피비 게이츠(Phoebe Gates)와 비틀즈 멤버 폴 매카트니(2025년 약 1.025~1.3조원)의 손자 아서 도널드(Arthur Donald and)가 2년간의 교제 끝에 공식 결별했다. PEOPLE, Hindustan Times, Hello Magazine, Forbes, Sunday Times에 따르면, 피비는 자신의 팟캐스트 ‘The Burnouts’에서 “새로운 연인이 있다. 지금까지 경험해본 적 없는 완전히 새로운 사람이다”라고 밝혔다. 또한 “그는 인스타그램조차 하지 않는 소셜 미디어 비활성 사용자이며, 내가 운영하는 쇼핑 브랜드 ‘Phia’ 관련 영상을 보며 유대감을 쌓고 있다”고 직접 언급했다. 이에 따라 피비와 아서의 결별은 완전히 공식화됐다. ‘네포베이비’는 ‘족벌주의’를 뜻하는 영어 단어 ‘네포티즘(nepotism)’과 ‘아기(baby)’가 결합된 신조어로, 유명한 부모나 가족의 명성이나 영향력을 통해 쉽게 성공하거나 혜택을 받는 자녀들을 가리키는 말이다. 즉, 부모의 권력·재력·명성과 같은 특권으로 기회를 얻어 사회적
[뉴스스페이스=이종화 기자] 중국 연구진이 1980년대 카세트 테이프의 향수와 첨단 생명공학을 결합한 혁신적인 데이터 저장 시스템을 공개했다. 중국 광둥성 남방과학기술대학교의 장싱위(邢昱) 교수팀은 최근 기존 카세트 테이프의 형태에 첨단 생명공학을 결합한 ‘DNA 카세트’를 개발했다고 발표했다. 2025년 9월 10일 Science Advances 저널에 발표된 이 연구는 디지털 이미지를 DNA 형식으로 변환한 뒤 테이프로부터 성공적으로 복원함으로써 시스템의 기능성을 입증했다. TechXplore, New Scientist, Science Advances, The Register, Ainvest, SynbioBeta에 따르면, 이 시스템은 최대 36페타바이트의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는데, 이는 3억곡 이상의 음악파일(각 10MB 기준)을 한 곳에 담기 충분한 용량이다. 카세트 외형을 유지하면서도, 내부에는 폴리에스터-나일론 혼합물 플라스틱 테이프 위에 합성 DNA 가닥이 프린트된다. DNA의 네 가지 염기(A·T·C·G)는 컴퓨터 이진코드처럼 디지털 정보를 분자 수준에서 압축·저장한다는 점에서 기존 자기 저장방식과 근본적으로 다르다. 글로벌 데이터 저장 시장
[뉴스스페이스=이종화 기자] 테슬라가 일론 머스크 최고경영자(CEO)의 리더십을 장기적으로 확보하고자 세계 기업 역사상 최대 규모의 보상안을 공식 제안했다. 이번 보상 패키지는 테슬라의 미래 성장가능성과 혁신기술 도입을 전제로, 머스크에게 최대 1조 달러(약 1386조원)까지 돌아가는 조건부 인센티브가 포함돼 있어 전 세계 금융·산업계의 이목을 집중시키고 있다. 10년간 시총 8.5조 달러 목표 달성시 ‘주식 12%’ 보상 테슬라 이사회가 2025년 9월 5일(현지시간) 미국 증권거래위원회(SEC)에 제출한 서류에 따르면, 이번 보상안은 향후 10년간 테슬라의 시가총액을 8.5조 달러까지 끌어올리는 등 초대형 목표를 달성할 경우, 머스크에게 테슬라 전체 주식의 최대 12%(약 4억2374만주)를 순차적으로 지급하도록 설계됐다. 이외에도 차량 20000만대 인도, 자율주행(FSD) 소프트웨어 구독자 1000만명, AI 로봇 100만대 인도, 상업용 로보택시 100만대 운행, EBITDA(상각전 영업이익) 4000억 달러도 함께 목표로 제시됐다. 현재 테슬라의 시가총액은 약 1조~1.1조 달러 수준이며, 향후 단계별 성과 목표를 넘을 때마다 주식이 지급되는 구조
[뉴스스페이스=조일섭 기자] 미국 보수 경제매체인 월스트리트저널(WSJ)이 조지아주 현대차-LG에너지솔루션 합작 배터리 공장에서 벌어진 이민 단속 사건을 강하게 비판하며, 이러한 조치가 미국의 외국인 투자 유치를 저해할 수 있다고 12일(현지시간) 경고했다. 미국 조지아주에서 현대차와 LG에너지솔루션이 공동 건설 중인 배터리 공장에서 발생한 대규모 이민단속 사태가 미 현지 공장 건설에 2~3개월 지연을 초래하는 가운데, 미국 경제매체 월스트리트저널(WSJ)은 이번 단속이 미국의 외국인 투자 유치에 부정적 영향을 미칠 수 있다고 강하게 경고하고 있다. 현대자동차의 호세 무뇨스 CEO는 지난 9월 11일 “공장 건설 단계에는 전문 인력이 필수적이며, 미국 내에서 구하기 어려운 기술과 장비가 많아 최소 2~3개월의 공사 차질이 불가피하다”고 밝혔다. 이번 합작 공장은 43억 달러 규모로, 연간 전기차 30만대 생산에 필요한 배터리를 공급하는 전략적 사업이다. 당초 내년 상반기 완공 예정이었으나, 이번 단속으로 완공 시점이 내년 하반기로 늦춰질 것이란 업계 전망이 나온다. WSJ은 9월 12일자 사설 ‘한국에서의 추방 역풍’에서 “미국이 더 많은 외국인 투자를 받으
[뉴스스페이스=이종화 기자] 일본 정부 지진조사위원회가 추석 연휴를 앞둔 9월 26일, 난카이 해곡 대지진의 30년 내 발생 확률을 기존 '80% 정도'에서 최대 '60∼90% 정도 이상'으로 상향 조정했다고 발표했다. 이번 계산법 재검토로 한국인들의 최대 여행지인 일본에 대한 불안감이 확산되고 있다. Japan Times, NHK World, The Mainichi, Asia Economy, Sankei Shimbun에 따르면, 이번 발표는 12년 만에 계산 방법을 재검토한 결과로, 과거 고치현 무로쓰 지역의 지각 융기 데이터 불확실성과 판 내부 응력 누적의 비정상성 등이 반영됐다. 지진조사위원회는 또한 20~50%라는 이례적인 두 번째 확률도 함께 제시했는데, 이는 지각 변동을 무시하고 지진 간격만 활용한 통상적인 계산법에서 도출된 수치다. 전문가들은 두 확률 간 과학적 우위 판단이 어렵다고 설명하면서도 방재 차원에서는 높은 확률에 주목할 필요가 있다고 강조한다. 도쿄대 명예교수이자 위원회장 히라타 나오시는 "지진 발생 확률은 해마다 높아져 언제든 발생할 수 있는 상태"라며 "30년 이상 멀리 있을 수도, 1년 이내에 발생할 수도 있다"고 경고했다. 난카
[뉴스스페이스=윤슬 기자] 일본 홋카이도에 거주하는 80대 여성이 SNS에서 만난 가짜 ‘우주인’에게 속아 100만엔(약 941만원)을 송금한 사건이 세간의 주목을 받고 있다. 퓨쳐리즘 등의 외신 보도와 미국 FTC 2023년 로맨스 스캠 피해 보고서, 2025년 AI 딥페이크 및 사이버 사기 통계에 따르면, 이 ‘우주인’은 우주선에서 지구로 귀환 도중 산소 부족 상황이라며 돈을 요구했고, 여성은 연인 관계로 발전한 사이에 안타깝게도 속은 것으로 밝혀졌다. 사건이 경찰에 신고되면서 사회적 경각심이 확산되고 있다. 일본은 세계은행 기준으로 고령화율 2위 국가로 노인층이 조직적인 사기의 주요 표적이 되고 있다. 특히 인터넷과 SNS를 기반으로 하는 ‘로맨스 스캠’이 진화해 AI 기술을 활용한 딥페이크 얼굴과 음성 모방, AI 챗봇을 통한 자연스러운 대화까지 가능해져 피해가 크게 증가하는 추세다. 실제로 미국 연방거래위원회(FTC)에 따르면 2023년 미국 내 로맨스 스캠 피해액은 약 11억4000만 달러(약 1조5800억원)에 이르며, 1인당 평균 손실액은 2000달러(약 277만원)를 넘어 모든 사기 유형 중 가장 피해액이 크다. 이는 전년 대비 피해 규모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