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스페이스=이은주 기자] 2025년 미국 전역에서 가장 ‘재정적으로 곤란한 주’ 1위는 놀랍게도 텍사스가 차지했다. 글로벌 경제전문 사이트 WalletHub의 최신 분석에 따르면, 텍사스는 전체 50개 주 중에서 부채 패턴, 신용 점수, 연체 및 파산 등 핵심 재정 건강 지표 전반에서 최악의 성적을 기록했다고 Business Insider, CNBC 등의 매체들이 보도했다. 텍사스 주민들 중 무려 7.1%가 ‘곤란한 계좌’(유예 또는 상환 연기된 계좌)를 보유하고 있고, 2025년 1분기 기준 평균 신용 점수는 전국에서 9번째로 낮다. 특히 비즈니스가 아닌 개인 파산 신청 증가율은 2024년 3월 대비 22% 급증하며 6위에 올랐다. WalletHub 분석가 칩 루포는 “텍사스는 2025년 1분기 기준, 전국 9번째로 낮은 주민 신용 점수, 1인당 유예/연기 계좌 3위라는 점에서 타주 대비 심각한 재정 곤경을 겪고 있다”고 평가했다. 미국 남부를 휩쓴 ‘금융스트레스 팬데믹’ 이같은 상황은 텍사스만의 문제가 아니다. 상위 10개 재정 곤란 주 중 8곳이 남부에 몰려 있고, 상위 5위에는 플로리다, 루이지애나, 네바다, 사우스캐롤라이나가 포함됐다. 가장 재정
[뉴스스페이스=이은주 기자] 일론 머스크가 이끄는 혁신 AI 기업 xAI가 사우디아라비아 현지의 첨단 데이터센터 인프라를 임차하는 대형 계약을 본격 추진하면서 글로벌 인공지능 인프라 시장의 '게임 체인저'로 주목받고 있다. 머스크와 사우디 실권자 무함마드 빈 살만 왕세자가 직접 'AI 동맹' 물밑 협상을 주도하면서, 사우디를 세계적인 AI 인프라 허브로 도약시키려는 전략이 총력전 양상으로 전개되고 있다. xAI, 사우디에서 데이터센터 임차 추진…‘휴메인’ 등 대형 AI 인프라 협상 가동 블룸버그, 로이터, 경제지 등 다수 외신에 따르면, xAI는 사우디 국부펀드(PIF)와 빈 살만 왕세자가 직접 의장으로 있는 AI 기업 ‘휴메인(Humain)’과 대규모 데이터센터 용량 임차를 논의 중이다. 이번 협상에서 휴메인은 향후 10년 내 총 6.6GW(기가와트) 데이터센터 전력용량을 목표로 스케일업을 추진 중이며, 1단계로 50MW(메가와트)급시설(총 1만8000개 엔비디아 최첨단 GB300 블랙웰 AI 칩이 탑재)에서 시작해 2025~2034년 단계적으로 확장할 계획이다. 특히 이번 xAI-휴메인 협상은 즉각적 단기 수요뿐 아니라 “AI 트레이닝·추론의 글로벌 허브
[뉴스스페이스=이은주 기자]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코카콜라가 미국에서 옥수수 시럽 대신 진짜 사탕수수 설탕(REAL Cane Sugar)을 사용하기로 합의했다"고 자신의 트루스 소셜 계정에서 7월 16일(현지시각) 전격 발표했다고 NBC News, NewYork Times가 보도했다. 트럼프 대통령은 “코카콜라 관계자들에게 감사하며, 이 변화는 매우 좋은 조치가 될 것”이라며 “그냥 더 낫다!”라고 덧붙였다. 하지만 코카콜라 측은 트럼프 대통령의 발표 직후 공식적으로 사실을 확인하지 않고, “트럼프 대통령의 코카콜라 브랜드에 대한 열정에 감사드린다. 새로운 혁신 제품에 대한 자세한 내용은 곧 공유하겠다”는 다소 원론적인 입장만 표명했다. 즉, 기존 제품 전체의 원재료 전환에 대한 명확한 확인이나 부정은 없었다. '멕시코식 코크' 전환 주장과 현실 이번 논란의 핵심은 미국 코카콜라에 쓰이는 감미료에서 비롯됐다. 미국 코카콜라는 1980년대 이후 원가절감과 정부의 옥수수 보조금 영향으로 고과당 옥수수 시럽(HFCS)을 주요 감미료로 사용해왔다. 반면, 멕시코산 코카콜라는 전통적으로 사탕수수 설탕을 사용하며 더 깔끔하고 산뜻한 맛으로 미국 내 마니아층을
[뉴스스페이스=이은주 기자] 미국 정부의 대규모 인공지능(AI) 활용에 심각한 보안 허점을 드러낸 충격 사건이 벌어졌다. 테크크런치와 포춘의 보도에 따르면, 정부 효율성 부서(DOGE, Department of Government Efficiency) 소속 직원 마르코 엘레즈(Marko Elez)가 2025년 7월 13일(현지시간), GitHub 퍼블릭 저장소에 실수로 xAI API 키를 노출한 것이 결정적으로 밝혀지면서 파장이 커지고 있다. "agent.py"에 담긴 금단의 열쇠…52개 LLM까지 사각지대 드러나 엘레즈는 'agent.py'라는 파이썬 스크립트를 GitHub에 커밋하면서, xAI가 개발한 그로크(Grok) 최신 버전(grok-4-0709, 2025년 7월 9일 생성 포함)을 비롯해 최소 52개의 대형 언어 모델(LLM)에 접근 가능한 비공개 API 키를 코드에 포함시켰다. 해당 유출은 공개 저장소의 비밀정보 노출 감지에 특화된 GitGuardian에 의해 실시간으로 포착되어 경고가 전해졌지만, 이미 키는 외부에 노출된 상태였다. 더욱이, 저장소 삭제 후에도 API 키는 비활성화되지 않아 수일간 접근이 가능했다. '반복되는' xAI 보안 실수
[뉴스스페이스=이은주 기자] 미 국방부(펜타곤)가 인공지능(AI) 패권 경쟁의 최전선에 나섰다. Bloomberg, Defense News, CNN 등의 보도에 따르면, 미국 7월 14일(현지시간) 국방부의 주도로 구글(알파벳), 오픈AI, 앤트로픽, 일론 머스크의 xAI 등 전 세계 AI 시장을 선도하는 4개 기업에 각 최대 2억 달러(약 2710억원) 규모의 ‘에이전틱 AI’ 공급 계약이 일괄 체결됐다. 국방 AI의 대전환…4대 AI 기업에 ‘에이전틱 AI’ 미션 발주 이번 계약을 통해 4개 기업은 ‘중대한 국가안보 과제’ 해결을 위한 군사 응용 분야에 AI 기술을 공급한다. 구체적으로는 최신 대형언어모델(LLM), 고도화된 에이전틱 AI 워크플로우, 클라우드 인프라 등 상용화된 AI 역량이 전투작전, 정보 분석, 캠페인 기획, 행정 자동화 등 국방 분야 전반으로 확장 적용될 예정이다. 실제로 펜타곤은 “상업적으로 입증된 AI 솔루션 도입을 통해 군사현장과 정보, 경영, 인사 등 전역(全域)의 혁신을 가속화하겠다”고 공식 입장을 밝혔다. 8억 달러 규모 ‘AI 전장’…기존 국방기술사 제치고 상업 AI 대거 진입 이번 AI 미션은 단일 회사당 최대 2억 달
[뉴스스페이스=이은주 기자] 미국 공화당 대선후보인 도널드 트럼프 전 대통령에 대한 두 번째 암살 시도가 발생한 가운데, 일론 머스크 테슬라 최고경영자(CEO)가 조 바이든 대통령이나 카멀라 해리스 민주당 대선 후보를 죽이려 한 사람은 없다는 게 이상하다는 글을 올렸다가 논란이 되자 삭제했다. 16일(현지시간) CNN 등 외신에 따르면 머스크는 이같은 내용의 글을 X(옛 트위터)에 올린 후 논란이 되자 삭제한 일을 두고 파문이 확산되고 있다. 머스크는 한 누리꾼의 '왜 사람들이 트럼프를 죽이고 싶어 하느냐'는 질문에 답하는 과정에서 "아무도 바이든과 해리스를 암살하려고는 하지 않는다"고 말했다. 여기에 의문을 제기하듯 골똘히 생각하는 모습의 이모티콘을 남기기도 했습니다. 해당 글은 논란이 됐고, 머스크는 결국 '농담'이었다는 취지로 해명하며 글을 삭제했다. 머스크는 "내가 어떤 말을 하고 그들이 웃었다고 해서 그것이 꼭 X에서도 재미있는 게시글이 되지 않는다는 것을 배웠다"며 "사람들이 맥락을 모르는 상태에서 전달된 텍스트는 농담도 재미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고 말했다. 백악관은 머스크의 발언에 대해 "무책임한 것"이라고 비판했다. 앤드루 베이츠 백악관 부
[뉴스스페이스=이은주 기자] 국민가수 임영웅이 성수동에 떴다. 임영웅은 5일 자신의 인스타그램에 가을을 담은 여러 장의 사진을 게재했다. 이날 공개한 사진들은 임영웅이 일명 핫플레이스로 주목받는 성수동에서 일상을 즐기는 모습이 담겼다. 여자친구와 데이트하는 남친룩을 보여주는 느낌이다. 한껏 가을 냄새가 물씬 나는 임영웅의 의상에 팬들도 환호했다. 네티즌들은 "요긴 어디인가요? 가방 너무 예뻐요. 색다른 느낌", "와우 멋지다. 우리의 히어로, 실물 영접하고 싶네요", "모델이 멋지니 뭘 입어도 어디에 있어도 빛이 나고 화보가 따로 없네" 등 반응을 보였다. 한편, 임영웅은 최근 자신의 공연 실황을 담은 영화 '임영웅ㅣ아임 히어로 더 스타디움'으로 영웅시대(팬클럽 명칭)를 비롯한 관객과 만나고 있다. 영화관입장권 통합전산망에 따르면 지난달 28일 개봉한 이 영화는 7일까지 누적 관객수 22만5425명으로, 누적 매출액 65억원을 기록하고 있다.
[뉴스스페이스=이은주 기자] 1998년 9월 4일은 미국을 넘어 전세계의 인터넷 시장을 장악하고 있는 구글이 창립된 날이다. '구글'은 10의 100제곱을 뜻하는 수학 용어 '구골(googol)'에서 유래됐다. '정보를 체계화해서 모두가 이용하게 하자'는 의미를 담고 있다. 올해로 25주년을 맞은 구글의 출생비밀에 관한 갑론을박인 주제가 있다. 바로 구글의 진짜 생일은 언제인가. 매년 이맘때가 되면 "정말 오늘이 구글의 생일 맞아?"라는 똑같은 질문이 제기된다. 구글의 회사 공식 기록에는 창립일이 1998년 9월 4일로 돼 있다. 구글은 1998년 스탠퍼드대학 박사과정 중이던 래리 페이지와 세르게이 브린이 설립했다. 바로 1998년 9월 4일 미 캘리포니아주에 법인 ‘구글(Google)’ 설립을 위한 서류가 제출됐기 때문이다. 그러나 구글의 사업이 상당한 궤도로 진입한 뒤인 2003년에는 9월 8일을 생일로 기념했고, 그 이듬해에는 9월 7일을 생일이라고 발표했다. 그런데 도메인 등록은 9월 17일이다. 또 2005년에는 9월 26일을 창립 기념일로 정했다가 2006년부터 9월 27일을 공식 생일로 지켜왔다. 9월 27일은 구글 역사에서 의미있는 성과가 나온
[뉴스스페이스=이은주 기자] 세계문화유산으로 지정된 선릉(성종대왕릉)이 훼손돼 경찰이 수사에 나섰다. 14일 경찰에 따르면, 서울 강남경찰서는 이날 오전 11시 14분경 '누군가 선릉에 침입해 봉분에 있는 흙을 파헤쳐 지름 약 10㎝, 깊이 약 10㎝의 구멍을 낸 것으로 훼손했다'는 신고를 받고 용의자를 추적 중이다. 경찰은 이날 새벽 2시 30분경 한 여성이 선릉에 침입해 범행을 저지른 것으로 보고 수사를 벌이고 있다. 용의자는 성종대왕릉 봉분 아랫부분에 흙을 약 주먹 크기 정도 파헤친 것으로 확인됐다. 국가유산청 관계자는 "용의자는 전통담장과 철골담장 사이 틈새로 침입해 주먹만 한 양의 흙을 떠간 것으로 파악했다"며 "왕릉의 외곽 순찰을 더욱 강화할 방침이다"고 밝혔다. 선릉은 조선 9대 왕인 성종(1457~1494)과 그의 세 번째 왕비 정현왕후 윤씨(1462~1530)가 묻힌 능으로 2009년 6월 유네스코 세계문화유산에 등재됐다. 한편 이날 오후 서울 강남경찰서는 선릉에 침입해 성종이 묻힌 봉분(무덤에 쌓은 둥근 흙더미)을 훼손한 50대 여성 A씨를 문화재보호법 위반과 건조물 침입 혐의로 체포했다. 경찰은 이를 바탕으로 동선을 추적해 오후 5시 4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