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스페이스=윤슬 기자] 콜롬비아 해군이 일론 머스크의 위성 인터넷 서비스 ‘스타링크’가 장착된 무인 마약 잠수정을 최초로 압수했다. 이번 사건은 남미 마약 카르텔과 국제 법집행 당국 간의 기술 군비경쟁이 본격화됐음을 상징적으로 보여준다. 압수된 선박은 최대 1.5톤의 코카인을 실을 수 있는 첨단 반잠수정으로, 현지 최대 마약 조직인 ‘걸프 클랜(Clan del Golfo)’이 신기술을 시험 운항한 것으로 추정된다. 첨단 IT로 무장한 ‘나르코 잠수정’, 해상 밀수 판도 바꾼다 InSight Crime 보고서와 AFP통신 등의 보도에 따르면, 콜롬비아 해군은 7월 2일(현지시간) 카리브해 산타마르타 인근 해역에서 스타링크 안테나와 원격 조종 시스템이 장착된 무인 반잠수정을 압수했다고 공식 발표했다. 내부에는 마약이 실려 있지 않았으나, 해군은 “범죄조직이 실전 투입 전 시험 운항을 한 것으로 보인다”고 밝혔다. 압수된 선박은 최대 800마일(약 1300km) 작전 반경을 갖추고, 수면 위에는 공기 흡입구와 통신 장비만 노출되는 저피탐 설계가 적용됐다. 스타링크 위성 인터넷을 통해 실시간 원격 조종과 감시, 항로제어가 가능하며, 내부에는 항로·장애물 감시용
[뉴스스페이스=윤슬 기자] NASA의 심우주 탐사선 뉴호라이즌스(New Horizons)가 지구에서 약 7억 킬로미터(약 4억3800만 마일) 떨어진 카이퍼 벨트에서 별의 위치(항성 시차)를 이용한 자율 항법 시스템의 세계 첫 성공적 시연에 성공했다고 NewsBytes, Daily Galaxy, UNN 등의 해외매체들이 보도했다. 이번 실험은 지상 추적 시스템의 한계를 넘어, 미래 성간(星間) 임무에 필수적인 자율 항법 기술의 개념 증명이라는 점에서 우주 탐사의 패러다임 전환을 예고한다. ‘별의 위치로 내 위치를 찾는다’…항성 시차 활용한 항법 실증 국제 천문학자팀은 뉴호라이즌스의 독특한 관측 지점을 활용해, 지구에서 4.2광년 떨어진 프록시마 센타우리(Proxima Centauri)와 7.86광년 떨어진 울프 359(Wolf 359) 두 별을 촬영했다. 우주선의 시점에서 이 별들은 지구에서 볼 때와 다른 위치에 나타났는데, 이는 항성 시차(stellar parallax) 현상 때문이다. 연구진은 이 별들의 이동량과 태양계 주변의 3차원 모델을 결합해, 뉴호라이즌스의 위치를 약 660만km(410만 마일) 오차로 계산하는 데 성공했다. 이는 뉴욕에서 LA까지
[뉴스스페이스=윤슬 기자] 미국 정치권이 일론 머스크 테슬라 CEO의 ‘아메리카당(America Party)’ 창당 움직임으로 들썩이고 있다. Newsweek, Economic Times, India Today, CBS News 등의 매체들은 머스크가 7월 4일(현지시간) 미국 독립기념일을 맞아 자신의 SNS 엑스(X)에서 신당 창당 찬반을 묻는 온라인 투표를 진행하며, “양당(혹은 단일당) 체제에서 벗어날 때”라며 제3당 결성 의지를 공식화했다고 보도했다. 특히 “상원 2~3석, 하원 8~10석만 확보해도 캐스팅보트로 미국 의회를 좌우할 수 있다”고 강조했다. 머스크, 트럼프와 결별…“‘빅, 뷰티풀 빌’ 통과 땐 창당” 머스크의 신당 구상은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과의 정책 갈등에서 비롯됐다. 트럼프가 추진한 ‘하나의 크고 아름다운 법안(One Big Beautiful Bill, OBBBA)’이 의회를 통과하며 10년간 3조3000억 달러(약 4560조원) 재정적자 확대가 예상되자, 머스크는 “양당 모두 국가 재정을 파탄내는 ‘유니파티’”라며 강하게 비판했다. 머스크는 “이 법안이 통과되면 아메리카당을 바로 만들겠다”고 공언했고, 실제로 법안 통과 직후 신당
[뉴스스페이스=윤슬 기자] 일론 머스크 테슬라 CEO가 7월 3일(현지시간) X(옛 트위터)에서 한국어로 “나는 깨어 있다”는 답글을 남기며 국내외 IT·경제계의 이목을 집중시켰다. 머스크가 한국어로 직접 SNS 댓글을 단 것은 이번이 처음이다. 이 한마디는 단순한 팬서비스를 넘어, 글로벌 AI 패권 경쟁과 한국 시장에 대한 그의 전략적 관심을 상징적으로 드러냈다는 평가가 나온다. AI 경쟁 밈에 한국어로 응답…“나는 깨어 있다”의 의미 사건의 발단은 머스크가 올린 AI 업계 경쟁 구도를 풍자한 밈(meme) 이미지였다. 이 이미지는 미국 드라마 ‘퍼슨 오브 인터레스트’의 한 장면을 패러디한 것으로, 미국 AI 스타트업 앤트로픽(Anthropic), 커서(Cursor), 그리고 머스크가 이끄는 xAI가 차례로 뒤에서 총을 겨누고 있다. 이들 모두를 더 멀리서 겨누는 존재는 범용 인공지능(AGI)으로, AI 기업 간 경쟁이 치열하지만 결국 더 거대한 기술적 위협(AGI)이 있다는 점을 은유적으로 보여준다. 한국인 유저 ‘테슬라조아(TeslaZoa)’가 이 밈을 인용해 “일론, 일어남”이라는 게시글을 올리자, 머스크는 한국어로 “나는 깨어 있다”고 답했다. 국내
[뉴스스페이스=윤슬 기자] 글로벌 기후감시의 ‘눈’이 사라졌다. 2024년 3월 아마존 창립자 제프 베조스의 후원으로 8800만 달러(약 1200억원)가 투입된 메탄 감시 위성 ‘메탄샛(MethaneSAT)’이 우주에서 교신 두절되며 임무를 사실상 종료했다고 Engadget, New Scientist, MethaneSAT 공식 사이트가 밝혔다. 이 위성은 전 세계 석유·가스 생산지의 메탄 배출을 고정밀로 감시하며, 배출량 데이터를 무료로 실시간 공개해온 ‘기후 투명성’의 상징이었다. 그러나 위성의 침묵과 함께, 글로벌 석유·가스 업계의 ‘수혜자’가 확대될 것이라는 우려가 커지고 있다. MethaneSAT는 태양 활동 극대기(11년 주기)로 인한 전자장치 혼란, 추진기 고장, 반복적 대기 모드 진입 등 복합적 기술 문제를 겪다 2025년 6월 20일 교신이 두절됐다. 소프트웨어 패치 등으로 일부 문제를 해결했으나, 7월 1일 전원까지 완전히 상실하며 복구 불가 판정을 받았다. 메탄샛 위성의 침묵, 누가 웃는가? 가장 큰 수혜자는 글로벌 석유·가스 메이저와 신흥국 국영기업이 꼽힌다. 이들은 메탄 배출 실태를 외부에 드러내지 않고, 규제·시장 제약을 회피할 수 있
[뉴스스페이스=윤슬 기자] 일론 머스크가 이끄는 인공지능(AI) 기업 xAI가 최근 100억 달러(약 13조6000억원) 규모의 대규모 자금 조달에 성공했다고 CNBC, Cointelegraph, Bloomberg 등의 해외 매체들이 일제히 보도했다. 이번 투자 유치에는 채권 및 대출(50억 달러)과 전략적 지분 투자(50억 달러)가 포함됐으며, 모건스탠리가 주도했다. 조달 자금은 AI 모델 고도화, 데이터센터 확장, 슈퍼컴퓨터 인프라 구축 등 xAI의 공격적 성장 전략에 투입된다. 콜로서스 슈퍼컴퓨터, 세계 최대 GPU 클러스터로 확장 xAI는 지난해 미국 테네시주 멤피스에 ‘콜로서스(Colossus)’ 슈퍼컴퓨터 데이터센터를 구축했다. 이 시설은 초기 10만개의 엔비디아 GPU로 가동을 시작했으나, 2025년 5월 머스크는 CNBC 인터뷰에서 “콜로서스에 이미 20만개 GPU를 설치 완료했고, 향후 100만 개까지 확장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이를 위해 올해 초 멤피스 인근 100만 평방피트(약 9만3000㎡) 부지를 8000만 달러에 추가 매입했다. 콜로서스는 현재 AI 훈련용 슈퍼컴퓨터로서 세계 최대 규모로 자리매김 중이다. 자금 조달 구조와 투자자
[뉴스스페이스=윤슬 기자] 네이버 대표 출신의 한성숙 중소벤처기업부 장관 후보자가 신고한 재산이 440억원에 달하는 것으로 드러나, 역대 장관 중 ‘최고 부자’ 타이틀을 차지할 전망이다. 이는 1993년 문민정부 출범 이후 장관급 인사 중 최대 규모로, IT업계의 유리천장을 깬 여성 리더의 ‘자산 파워’가 새삼 주목받고 있다. 신고 재산 182억…스톡옵션·RSU 포함시 440억원대 한 후보자는 국회에 제출한 인사청문 요청안에서 본인 명의 재산 182억1419만원을 신고했다. 여기에 모친의 재산(5억9843만원)까지 더하면 총 188억1262만원이다. 이 가운데 공식 재산 신고에 포함되지 않은 네이버 스톡옵션(254억4000만원)과 양도제한조건부주식(RSU, 4억3996만원)을 합산하면, 총 재산은 440억9415만원에 이른다. 이 같은 규모는 노무현 정부 당시 진대제 전 정보통신부 장관(2006년, 165억8000만원)보다도 크게 앞선 수치다. 네이버·테슬라 등 빅테크 주식 ‘집중 투자’ 한 후보자가 보유한 주식 자산(약 40억7808만원)의 절반 이상은 네이버 주식(23억원)이며, 테슬라(10억3423만원), 애플(2억4668만원), 팔란티어(1억1113만
[뉴스스페이스=윤슬 기자] 애플이 2026년 말 출시를 목표로 하는 스마트안경 프로젝트가 업계의 뜨거운 관심사로 떠오르고 있다. Indian Express, Reuters, Bloomberg등의 해외매체 보도에 따르면, 이 제품은 기존 메타(Meta)의 레이밴 스마트글라스와 경쟁할 차세대 웨어러블 기기로, 인공지능(AI)과 음성 비서 ‘시리(Siri)’ 통합, 다중 카메라 및 마이크, 스피커 탑재가 특징이다. 애플은 이 신제품을 통해 웨어러블 시장에서 새로운 강자로 부상하려는 전략을 구사 중이다. 제품 개발 현황과 로드맵 애플은 현재 최소 7개의 비전(Vision) 및 스마트안경 프로젝트를 진행 중이며, 이 중 5개는 개발 일정이 확정됐다. 2025년에는 M5 칩을 탑재한 ‘Apple Vision Pro’ 1세대 리프레시 모델이 출시되며, 2027년에는 첫 스마트안경 제품이 대량 생산에 들어갈 예정이다. 특히 2027년 출시 예정인 스마트안경은 디스플레이 없이 음성 제어와 제스처 인식 기능을 갖추고, 사진·영상 촬영과 AI 기반 환경 인식 기능을 제공한다. 이는 사용자가 특정 상황에서 에어팟이나 아이폰 카메라를 대체할 수 있을 정도로 고도화된 기능이다. 애플
[뉴스스페이스=윤슬 기자] 2025년 6월 미·캐나다 항공업계가 대규모 사이버 공격에 연이어 노출되면서 업계 전반에 비상이 걸렸다. Airways, The Register, BleepingComputer, CNN등의 해외매체들은 이번 공격의 배후로 악명 높은 사이버범죄 조직 ‘스캐터드 스파이더(Scattered Spider, UNC3944, Muddled Libra)’가 지목되고 있다고 보도했다. 이 조직은 최근까지 리테일, 보험, 카지노 등 다양한 산업을 연쇄적으로 노렸으나, 최근 들어 항공·운송업계로 표적을 전환한 것으로 보인다. 하와이안항공, IT시스템 일부 마비…운항은 정상 하와이안항공은 2025년 6월 23일 IT시스템 일부가 마비되는 ‘사이버보안 사건’을 인지하고, 26일 공식적으로 이를 공표했다. 항공사 측은 “운항 및 승객 안전에는 영향이 없으며, 모든 항공편은 정상적으로 운항 중”이라고 밝히면서도, 즉각적으로 연방 당국과 외부 사이버보안 전문가를 투입해 조사 및 복구에 나섰다. SEC(미국 증권거래위원회)에 제출된 공시에 따르면, 하와이안항공은 사건 발생 즉시 시스템 보호 조치를 취했고, ‘질서 있는 복구’를 추진 중이다. FAA(연방항공청)
[뉴스스페이스=윤슬 기자] 2025년 6월,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이 "매우 부유한 인수자 그룹"이 틱톡(TikTok) 미국 사업 인수를 추진 중임을 공식화하면서, 미·중 기술패권 경쟁의 상징인 틱톡 매각 드라마가 새로운 국면을 맞았다. BBC, CNN, Axios의 보도에 따르면, 트럼프는 "중국 정부의 승인도 필요할 것"이라며 시진핑 주석이 이를 허락할 것으로 본다고 언급했다. 실제로 중국 외교부는 최근 "기업의 매각 여부는 시장 원칙에 따라 기업이 자율적으로 결정할 문제"라며 이전보다 유연한 태도를 보였다. 미·중 갈등의 최전선에 선 틱톡…국가안보 vs. 표현의 자유 틱톡 매각 압박의 본질은 미국 정부의 국가안보 우려다. 2024년 4월 미 의회가 통과시킨 '외국 적성국 통제 애플리케이션 보호법'은 바이트댄스(ByteDance)가 9개월 내 틱톡 미국 사업을 매각하지 않으면 미국 내 서비스 금지(앱스토어 퇴출) 조치를 명시했다. 미 정부는 틱톡이 중국 정부에 미국인 데이터 접근을 허용할 수 있다는 점, 알고리즘을 통한 여론 조작 가능성 등을 우려한다. 틱톡과 바이트댄스는 "미국인 데이터가 중국에 넘어간 적 없다"며, 매각·금지 조치가 헌법상 표현의 자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