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뉴스스페이스=최동현 기자] 삼성물산 C&T 건설부문이 시니어 거주자를 대상으로 한 홈 AI 컴패니언 로봇 서비스 실증을 시작한다고 3일 발표했다. 이번 프로젝트는 한국로봇산업진흥원이 주관하는 '2025 서비스로봇 실증사업'에 선정되어 삼성물산, 삼성노블카운티, 로보케어가 컨소시엄을 구성해 진행된다.
홈 AI 컴패니언 로봇은 1인 또는 부부 중심 소가구 시니어의 삶의 질 향상을 위해 3대 핵심 서비스를 제공한다. 대화를 통한 감정교류로 정서적 교감을 하는 말동무 역할, 호출응답과 IoT 기기 음성제어, 응급상황 보호자 알림 등 집사 역할, 그리고 복약 알림 및 확인, 웨어러블 기기 연동 만성질환 관리, 인지능력 향상 등 전담 간호사 역할까지 수행한다.
삼성물산은 고령화 시대에 맞춰 시니어들의 정서적 교감과 건강관리를 돕고 삶의 질을 높이기 위해 이번 실증을 준비했다고 설명했다.
이번 실증에는 삼성노블카운티 거주 시니어 20가구와 서울 서초구 래미안 원베일리, 래미안 원펜타스에 거주하는 시니어 20가구 등 총 40가구가 참여한다. 9월부터 12월까지 약 15주간 실제 생활환경에서 로봇을 사용하며 유용성과 개선점을 파악할 예정이다.

홈 AI 컴패니언 로봇은 음성인식 기반으로 작동하며, 복약 알림 등 상세 설정은 연결된 태블릿을 통해 가능하다. 높이 30cm, 폭 21cm, 가로 20cm, 무게 4kg 규모로, 5인치 스크린을 통한 눈동자 감정 표현으로 대화 시 감정교류가 가능하다. 매핑을 통해 집 구조를 정확히 인식하고 전방 카메라로 장애물을 인지해 회피하며, 약 0.5m/s의 이동 속도로 시니어의 평균 보행속도에 맞춰진다.
로보케어는 시니어 로봇 설계 제작, 소프트웨어 개발, 시니어 관련 콘텐츠, 운영 관제까지 10년 이상의 로봇 관련 기술을 보유한 기업이다.
문전일 로보케어 대표이사는 "홈 AI 컴패니언 로봇은 맞춤형 돌봄 서비스를 통해 정서적으로 반려 역할을 하고 안전을 지키며 건강 예방과 관리 등의 서비스를 제공하는 로봇"이라며 "이번 실증을 통해 제품과 서비스 고도화에 반영하고 고객 경험 다양화와 삶의 질을 높여 나가는데 최선을 다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국내 시니어 돌봄 로봇 시장은 2025년 약 5000억원 규모로 추정되며, 연평균 25% 이상 성장할 것으로 전망된다. 정부는 2030년까지 10만대 이상 보급을 목표로 연간 1000억원 이상을 투자하고 있다.
조혜정 삼성물산 DxP본부장은 "공간 크리에이터로서 고령화 시대에 꼭 필요한 서비스는 무엇일지 고민해왔다"며 "이번 실증을 통해 시니어들이 주거공간에서 새로운 일상을 누리도록 돕겠다"고 강조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