식품의약품안전처와 식품안전정보원이 밝힌 국내 건강기능식품 분야 1위는 한국인삼공사로 나타났다. 2위~5위는 노바렉스, 콜마비앤에이치, 종근당건강, hy(에치와이) 순이었다. 6위~10위는 코스맥스바이오, 코스맥스엔비티, 서흥, 네추럴웨이, 알피바이오로 나타났다.
식품의약품안전처와 식품안전정보원이 밝힌 국내 식품첨가물 분야 1위는 한화솔루션으로 나타났다. 유통분야가 아닌 산업쪽 분야기업이 원천기술로 원재료를 공급하기 때문인 것으로 분석된다. 2위~5위는 LG화학, 대상, 백광산업, OCI(오씨아이) 순이었다. 6위~10위는 엠에스씨, 한솔케미칼, 젤텍, 삼양화인테크놀로지, 삼양사로 나타났다.
[뉴스스페이스=김혜주 기자] 2024 파리 올림픽에서 포상금을 가장 많이 지급하는 국가는 홍콩으로 나타났다. 7월 31일(현지 시각) 미국의 경제 전문 매체 CNBC는 각국의 올림픽 위원회와 스포츠 협회, 각종 보고서를 통해 국가별로 추산한 포상금 현황을 발표했다. 1위는 76만8000달러(10억6000만원)를 받는 것으로 조사된 홍콩이다. 2위는 싱가포르 74만5000달러(10억2800만원), 3위는 인도네시아 30만달러(4억1418만원)로 파악됐다. 이어 이스라엘이 27만1000달러(3억7400만원) 4위, 카자흐스탄은 25만달러(3억4000만원)로 5위 순이다. 6위~8위는 말레이시아21만6000달러(약 2억9700만원), 스페인10만2000달러(약 1억4000만원), 프랑스 8만7000달러(약 1억2000만원) 순이다. 한국은 4만5000달러(약 6200만원)로 9위에 올랐고, 미국이 3만8000달러(약 5200만원)로 10위였다. 홍콩은 파리 올림픽을 앞두고 포상금을 지난 도쿄 올림픽 때보다 20% 인상하기도 했다. 은메달과 동메달은 각각 300만 홍콩달러(약 5억2700만원)와 150만 홍콩달러(약 2억6300만원)를 받는다. CNBC는 한국의 평
[뉴스스페이스=김희선 기자] 지난 7월 한국인이 가장 많이 사용한 배달 앱은 배달의민족으로 월간 사용자 수가 2251만명이었다. 그 뒤로 쿠팡이츠 810만명, 요기요 589만명, 땡겨요 101만명, 배달특급 38만명 순이었다. 앱/리테일 분석 서비스 와이즈앱·리테일·굿즈가 배달 앱 사용자 수를 조사해 발표했다. 와이즈앱·리테일·굿즈가 한국인 스마트폰 사용자(Android+iOS)를 표본 조사한 결과, 24년 7월 배달의민족 앱 월간 사용자 수는 지난달 대비 3.7% 상승한 2251만명으로 앱 출시 이후 역대 최대 사용자 수를 기록했다. 위 조사는 앱/리테일 분석 서비스 와이즈앱·리테일·굿즈가 한국인 안드로이드와 iOS 스마트폰 사용자 표본 조사로 실시했다.
식품의약품안전처와 식품안전정보원이 밝힌 국내 축산물 분야 1위는 서울우유협동조합으로 나타났다. 2위~5위는 하림, 매일유업, 롯데웰푸드, 빙그레 순이었다. 6위~10위는 남양유업, 씨제이제일제당(CJ제일제당), 동원에프앤비, 농협 목우촌, 도드람푸드로 나타났다.
[뉴스스페이스=김희선 기자] 2023년 국내 식품산업 생산실적이 2022년에 이어 2년 연속 100조원을 돌파했다. 이른바 K푸드를 주도한 라면과 김치의 수출이 전년대비 각각 24.4%와 45.7% 증가하며 역대 최고치를 기록한 것으로 나타났다. 1일 식품의약품안전처와 식품안전정보원에 따르면 지난해 국내 식품산업 생산실적은 전년대비 3.5% 증가한 108조4875억원을 기록했다. 2022년 104조 8190억원에 이어 2년 연속 100조원 돌파다. 2023년 식품산업 생산실적은 국내 총생산(GDP) 2236조3294억원 대비 4.9%, 국내 제조업 총생산(GDP) 546조6640억원 대비 19.8%를 차지했다. 식품산업 생산실적은 식품, 축산물, 건강기능식품으로 나뉘는데 지난해 69조9308억원이 생산된 식품 부문에서는 즉석섭취·편의식품류, 소스류, 빵류의 생산이 많았다. 특히 도시락같은 즉석섭취식품 생산액이 급증했는데 해외여행 기내식 섭취가 큰폭으로 증가한 영향이란 설명이다. 기내식 납품업체인 대한항공씨앤디서비스와 게이트고메코리아의 생산액은 전년대비 각각 155.1%와 114.2% 증가했다. 주요 수출 품목은 라면과 즉석섭취·편의식품류, 조미김 등으로 집계
식품의약품안전처와 식품안전정보원이 밝힌 국내 가공식품 분야 1위는 CJ제일제당(씨제이제일제당)으로 나타났다. 2위~5위는 롯데칠성음료, 농심, 오뚜기, 하이트진로 순이었다. 6위~10위는 롯데웰푸드, 삼양사, 대상, 삼양식품, 동서식품으로 나타났다.
[뉴스스페이스=조일섭 기자] 글로벌 화학 기업 순위에서 한국기업 중 최고 기록인 LG화학이 4위로 평가했다. 국내 기업이 C&EN이 발표하는 화학기업 순위에서 ‘TOP 5’ 안에 든 것은 이번이 처음이다. 8월 1일 업계에 따르면, 미국화학학회가 발행하는 화학산업 전문 매체 ‘C&EN’이 발표한 올해 50대 화학 기업 순위(2024 Global Top 50)에서 LG화학은 지난해보다 3계단 상승한 4위를 기록했다. LG화학의 직전 최고 순위는 2021년 7위였다. C&EN은 매년 화학 기업 매출과 영업이익, 증감률 등을 종합적으로 분석해 화학 기업 순위를 발표한다. 사업확장, 인수합병 등 해당 분야의 실적을 기반으로 각 기업 성과를 평가한다. 아시아 기업 중에서는 중국의 시노펙(2위)에 이어 두 번째다. 일본 기업 중 가장 높은 순위는 15위를 차지한 미쓰비시 케미컬 그룹이다. 대만의 포모사플라스틱이 9위에 랭크, TOP10안에 진입했다. TOP10 에는 미국기업 3곳, 중국기업 2곳, 독일·한국·사우디아라비아·대만·영국이 각각 1곳씩 포함됐다. 올해 1위는 지난해에 이어 독일 바스프(BASF)가 차지했다. BASF는 2023년 745억
[뉴스스페이스=이종화 기자] 올해 건설회사 시공능력평가에서 삼성물산이 11년 연속 1위를 차지했다. 현대건설과 대우건설은 2·3위를 유지했다. 7월 31일 국토교통부가 공개한 '2024년도 건설업체 시공능력평가' 결과에 따르면, 올해 1위는 시공능력 평가액 31조8536억원을 기록한 삼성물산이다. 삼성물산은 2014년부터 11년 연속 1위 자리를 지켰다. 지난해(20조7296억원)보다 평가액이 10조원 넘게 늘었다. 지난해 영업이익 1조340억원을 올린 삼성물산은 경영 평가액이 크게 증가했고, 반도체 공장 등 해외 공사 실적 호조로 실적평가액도 늘었다. 이어 현대건설(17조9436억원) 2위, 대우건설(11조7087억원) 3위를 기록했다. 현대엔지니어링(9조9809억원)은 지난해와 같은 4위를 유지했다. 시공능력 평가란 발주자가 적절한 건설업체를 선정할 수 있도록 건설공사 실적과 경영 상태, 기술 능력, 신인도 등을 종합적으로 평가하는 제도다. 올해 평가는 전국 8만5642개 건설업체 가운데 85.2%에 해당하는 7만3004개를 대상으로 조사를 진행했다. 매년 7월 말 결과를 공시한다. 평가 결과는 공사 발주자가 입찰 자격을 제한하거나 시공사를 선정할 때 활
[뉴스스페이스=김혜주 기자] 한국에서 다단계영업을 하는 기업들의 전체 매출액은 4조9606억원으로 전년(5조4166억원)보다 8.4% 줄었다. 1위는 한국암웨이가 차지한 가운데 애터미, 피엠인터내셔널코리아, 뉴스킨코리아, 유니시티코리아가 2위~5위를 차지했다. 6위~10위는 한국허벌라이프, 유사나헬스사이언스코리아, 매나테크코리아, 시너지월드와이드코리아, 비아블 등 순이다. 한국암웨이 등 상위 10개사의 지난해 총매출액은 3조8787억원으로 집계됐다. 전체 시장 매출의 약 78%에 해당하는 수준이다. 공정거래위원회는 이런 내용의 ‘2023년도 다단계 판매업자 주요정보’를 발표했다. 조사 대상은 작년 영업실적이 있고 4월말 기준 정상 영업중인 사업자 112개사다. 다단계판매업자 수는 2018년 130개를 기록한 이후 2022년까지 감소 추세를 보였지만 지난해 1개 업체가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지난해 중 11개 업체가 시장에 신규 진입하고 10개 업체가 폐업한 결과다. 지역별로 보면 81개 업체가 서울에 위치하고 있었다. 13개 업체는 경기도에 소재하는 등 전체 83.9% 업체가 수도권에 본사를 두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시장 전체 매출액은 줄었지만 판매원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