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스페이스=이종화 기자] 글로벌 전기차 시장을 선도하는 테슬라(Tesla)가 미국 로스앤젤레스(LA) 중심가에 전기차 충전소와 식당, 엔터테인먼트를 결합한 첫 번째 복합형 EV 휴게소 ‘테슬라 다이너(Tesla Diner)’를 2025년 7월 21일(현지시간) 개장했다. Quartz, The Verge, Bloomberg 등의 매체 보도에 따르면, 해당 공간은 전기차 오너들을 위한 맞춤형 라이프스타일 거점으로, 충전과 식사, 휴식, 볼거리까지 한 번에 제공하는 ‘멀티 유틸리티 공간’으로 기획됐다. 이 시설은 하루 24시간, 주 7일 운영되며, LA 현지 오픈 직후부터 대기 줄이 수백 미터에 달할 정도로 큰 관심을 받고 있다. 오픈 개요 및 공간 구성 위치는 미국 캘리포니아주 LA 할리우드 중심지(Santa Monica Boulevard)에 있으며, 연면적은 약 2023㎡(약 612평) 규모에 달한다. 연중무휴 24시간 운영한다. 주요 시설로는 슈퍼차저 80기, 대형 야외 스크린 2개(영화·엔터 콘텐츠 상영), 복고풍 식당(Diner) 매장(버거, 핫도그, 와플 등 경량식 판매), 테슬라 굿즈 숍 (모자, 모델카, 티셔츠 등), 팝콘 로봇 '옵티머스(Opt
[뉴스스페이스=이종화 기자] 중국의 건설 현장에 세계 최대의 에어돔이 등장했다. 중국 산둥성 지난(济南) 홍루 1905 재개발 현장에 50m 높이, 159m 길이, 108m 폭, 총 2만㎡ 규모로 세계 최대 인플레이션 ‘에어돔’이 바로 그것. 이 거대한 구조물은 인근 주거지, 학교, 100년 역사의 교회를 비롯한 도심 밀집지 내 민원의 핵심인 ‘건설 미세먼지’와 ‘소음’ 문제를 혁신적으로 해결하고자 고안됐다고 Dezeen, DOMUS, The Realty Today, Parametric Architecture 등의 매체들이 보도했다. 실제로 에어돔이 미세먼지와 소음을 획기적으로 줄이면서 도시형 건설 현장에서의 환경오염 해결 수단으로 주목받고 있다. 개발사 측이 제시한 실측 데이터를 비롯해, 실제 인근 주민들의 체감 반응도 긍정적으로 나타나며 과학적·사회적 효과 모두 입증되고 있다. 에어돔의 혁신적 구조와 성능 PVDF(폴리비닐리덴 플루오라이드) 코팅 폴리에스터 특수 소재를 사용해 강풍(최대 12등급), 최대 0.5m 적설량, 폭우 등 악천후도 거뜬히 견딘다. 자외선을 90% 차단하며, 준불연(B1) 인증도 확보했다. 지지 구조 없이 ‘공기만’으로 유지가능하다
[뉴스스페이스=이종화 기자] 2025년 트래블앤레저(Travel+Leisure) 및 Eagle Dumpster Rental 등 여러 조사 기관에 의해 '세계에서 가장 깨끗한 도시'로 싱가포르가 선정됐다. 싱가포르가 독보적인 자리를 지킨 주요 배경에는 엄격한 청결법, 높은 벌금 제도, 혁신적인 쓰레기 관리 시스템이 있다. 실제로 싱가포르의 1인당 연평균 쓰레기 발생량은 709파운드(약 322kg)로 주요 선진 도시 중 낮은 수준이다. 이는 로마(1444파운드), 도쿄(약 758파운드), 프라하(676파운드) 등과 대조된다. 트래블앤레저(Travel+Leisure)와 Eagle Dumpster Rental 분석에 따르면, 도시별 평가의 기준은 ▲1인당 쓰레기 배출량 ▲시민의 공공청결 만족도 ▲첨단 쓰레기 처리·재활용 시스템 도입률 등이었다. 이 점수에서 싱가포르와 스위스, 일본, 북유럽 국가들이 모든 항목을 고득점으로 통과했다. 환경 전문가들은 “싱가포르는 처벌 강화에만 의존하지 않고, 효율적 수거 시스템, 시민 참여형 캠페인, 최신 기술 도입까지 통합 관리체계를 구축했다”고 분석한다. 현지 시민들의 쓰레기 처리 불만도는 거의 없으며, 도시 전체가 ‘청결’을 공
[뉴스스페이스=이종화 기자] 아프가니스탄 수도 카불이 세계 첫 ‘현대식 대도시 완전 물 고갈’ 재앙의 문턱에 서 있다는 경고가 유엔과 국제기구, 머시코어스(Mercy Corps)를 비롯해 Down To Earth, KabulNow, ecowatch 등의 미디어들을 통 연달아 나오고 있다. 2025년 7월 기준 카불의 인구는 600만명을 돌파했지만, 심각한 물 부족 사태에 시달리고 있다. 유엔 인간거주프로그램(UN-Habitat)은 최근 "전례 없는 대재앙"으로 사태를 묘사하며, "즉각적이고 대규모의 개입이 없다면 2030년까지 카불 대부분의 지하수원이 완전히 고갈될 것"이라고 경고했다. 대수층 30m↓, 연간 4400만㎥ ‘빨대질’… ‘보충 능력 2배’ 지하수 초과 추출 카불의 수자원 위기는 뛰는 수요와 급속한 인구팽창, 그리고 기후 위기, 정책 실패가 결합된 복합 재난이다. 최근 10년간, 카불의 3대 대수층은 최대 25~30m나 하락했고, 현재 매년 자연적으로 재충전될 수 있는 양보다 4400만㎥, 즉 2배 가까운 지하수를 더 뽑아 쓰고 있다. 지하수 보충의 90% 이상이 힌두쿠시 산맥의 만년설과 빙하 해빙에 의존되지만, 최근 5년간 겨울 눈·강수량은 평
[뉴스스페이스=이종화 기자] 아폴로 11호 달 착륙 56주년을 맞은 2025년 7월 20일(현지시간), 교황 레오 14세가 이탈리아 카스텔 간돌포에 위치한 바티칸 천문대를 방문했다. 이어 올해 95세를 맞은 우주비행사 버즈 올드린에게 전화를 걸었다. 이번 행보는 신앙과 과학, 인류의 도전이 교차하는 상징적 순간으로 ABC News, Indiatimes, Philstar.com,barrons.com 등 해외 주요 언론들이 일제히 보도했다. 첫 팝 콘택트, 신앙과 과학의 만남 교황은 여름 별장에서의 삼종기도(Angelus) 이후, 천문학자와 학생들이 참여하는 전통 여름 프로그램 현장을 찾아 수십 년간 빛나는 연구를 이어온 망원경 등 주요 천문 장비를 직접 살펴봤다. 이 자리에서 교황은 “56년 전 인류의 달 착륙 성취는 인간 창의성의 증거이자, 창조의 신비·위대함을 되새기게 한다”는 소회를 자신의 X(구 트위터) 계정에 남겼다. 뒤이어 진행된 버즈 올드린과의 통화에서 교황은 “인류의 역사적 업적, 인간 정신의 한계를 넘고자 했던 순간”을 회상하고 그와 가족·협력자들에게 교황청의 축복을 전했다. 올드린 역시 자신의 소셜미디어를 통해 “오늘 교황 레오 14세로부터
[뉴스스페이스=이종화 기자] "엔비디아 빠져도, 중국 AI는 결코 멈추지 않는다." 글로벌 반도체 산업을 선도하는 엔비디아의 젠슨 황(Jensen Huang) CEO가 중국을 찾아 의미심장한 메시지를 던졌다. “중국에서 엔비디아가 없어도, 화웨이와 같은 혁신 기업들이 자체 해법을 찾아낼 것”이라는 그의 발언은 미·중 기술 패권 여부를 넘어, 향후 글로벌 AI·반도체 경쟁 구도 전반에 중대한 시사점을 던지고 있다. “엔비디아 없으면 화웨이가 길을 낼 것”…자립 가능한 中 AI에 대한 낙관 젠슨 황 CEO는 7월 20일 중국 관영 매체 CCTV ‘페이스 투 페이스’ 프로그램에 출연해 "중국의 AI 시장은 엔비디아가 있든 없든 발전할 것"이라고 강조했다. 그는 특히 "화웨이는 규모와 인재, 기술력에서 매우 강력한 회사"라며 "AI 분야에서도 두각을 나타낼 것"이라고 평가했다. 이는 중국이 미국의 반도체 수출 규제를 받는 상황에서도 자체적인 공급망을 바탕으로 AI 기술을 자립할 수 있다는 메시지로 해석된다. 실제로 황 CEO는 "중국 개발자들은 자원의 제약 속에서도 놀라운 기술적 창의성과 적응력을 보여주고 있다"고 강조했다. 그는 중국 AI 스타트업 딥시크(Deep
[뉴스스페이스=이종화 기자] 여름이 시작되면, 도시와 자연 모두가 매미의 울음소리에 잠긴다. 매미는 7월 20일 초복 무렵에 등장한다. 매미가 운다는 것은 여름이 왔다는 것이다. 식물로는 등나무 꽃이 피기 시작하면 여름이 온것이다. 섭씨 20도정도에서 꽃을 피우기 때문이다. “여름이 뜨거워서 매미가 우는 것이 아니라, 매미가 울어서 여름이 뜨거운 것이다.” 안도현 시인의 시구처럼, 매미는 계절의 신호탄이자 인간관계와 인내, 생명의 신비를 상징하는 여름철 대표 곤충이다. 매미의 생애, 땅속 7년·지상 7일의 기적 국내 매미의 평균 생활사(Life Cycle)는 대개 5~7년으로 알려져 있다. 알에서 깨어난 유충(약충)은 땅속에서 나무뿌리 즙을 빨아먹으며 수년을 보낸 뒤, 음력 초복 무렵 온도가 20℃를 넘어서면 지상으로 올라와 성충(어른벌레)으로 우화(탈피)한다. 이후 수컷 매미만이 짝짓기를 위해 일제히 울기 시작하며, 산란·교미 후 많게는 4주, 짧게는 7~10일 만에 인생을 마감한다. 실제로, 미국과 일본 등 일부 종은 13년 또는 17년 동안 지하에서 유충 생활을 하는 것으로 기록됐다. 사랑(짝짓기)의 절규, 그리고 80~120dB의 소리폭탄 매미 수컷은
[뉴스스페이스=이종화 기자] <더 록(The Rock)>이란 영화로 인해 잘 알려진 알카트라즈섬이 또다시 미국 최대의 정치 이슈 중심에 섰다. axios, latimes, americanbazaaronline의 보도에 따르면,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이 2025년 7월 알카트라즈 교도소 재개장을 공식 지시하면서, 법무장관 팸 본디와 내무장관 더그 버검이 샌프란시스코만의 상징적 섬을 직접 방문했다. 이들은 미국 역사상 가장 악명 높은 수감자들을 거쳐 간 ‘더 록(The Rock)’을 미래 슈퍼맥스 교도소로 재탄생시킬 방안을 집중적으로 점검했다. 현재 국립공원으로 변신한 이 섬이 다시 교도소로 환생할지 주목받고 있다. 세 가지 플랜, 천문학적 숫자와 냉철한 비판 복수의 외신에 따르면 행정부는 아래와 같은 세 가지 방안을 두고 치밀한 비용 시뮬레이션과 정책 타당성 검토에 돌입했다. 1안은 기존 건물 완전 철거 후 ‘슈퍼맥스’를 신축하는 것이다. 전면 철거 후 최첨단 교도소 신설시 현재 20억 달러 이상 관광수입이 상실되며, 환경·문화재법 개정도 필요하다. 2안은 섬 일부만 활용하는 소규모 대안이다. 기존 시설 일부 활용하고, 부분 신축할 경우 약 10억 달
[뉴스스페이스=이종화 기자] 일론 머스크가 이끄는 인공지능(AI) 기업 xAI가 2025년 7월 중순, 미시시피주 사우스헤이븐 소재 114에이커(약 46만㎡) 규모의 전 듀크 에너지 천연가스 발전소를 공식 인수했다. CNBC, Magnolia State Live, Futureteknow, Tom's Hardware 등의 매체들의 보도에 따르면, 이 부지는 와이오밍 소재 MZX Tech LLC(주소지는 xAI의 팔로알토 본사와 동일)를 통해 소유권이 이전됐으며, 등기부상의 매입가는 단 10달러, 그러나 이 거래는 AI 인프라 확장이라는 전략적 가치와 지역 경제에 미치는 파급효과가 막대하다는 평가라고 전했다. 현장에는 xAI·테슬라 관계자들 ‘상주’…“공사- 설비 반입 활발, 후방 데이터센터와 1마일 거리” 멤피스 지역 언론은 해당 부지에서 xAI 로고가 새겨진 장비 및 테슬라 사이버트럭(캘리포니아 번호판)이 다수 목격됐으며, 건설·설치 인력과 장비가 빈번하게 출입 중임을 확인했다. 익명의 xAI 고위 임원 브렌트 메이요는 “구체적 계획 공개는 어렵지만, 회사가 부지에서 활동 중임을 인정한다”고 언급했다. 이 발전소는 xAI가 멤피스에서 추진 중인 ‘콜로서스 슈
[뉴스스페이스=이종화 기자] 아마존이 혁신을 향한 집념을 다시 한 번 증명했다. Business Insider, Fortune, Ainvest 등의 매체들은 최근 발표된 정책을 바탕으로 아마존의 스마트홈 부문 특히 링(Ring), 블링크(Blink), 키(Key), 사이드워크(Sidewalk) 등 RBKS 조직에 소속된 직원들은 승진 신청 시 자신의 업무에 어떻게 인공지능(AI)을 활용했는지를 구체적으로 기술하고, 실질적 성과와 영향력을 입증해야 한다고 보도했다. RBKS의 AI 증명 의무화: 실제 사례와 변곡점 2025년 4월, 2년 만에 아마존으로 복귀한 제이미 시미노프 링 창업자는 복귀 직후 RBKS 전체 승진 요건에 AI 활용 증명을 과감히 도입한다는 방침을 밝혔다. 구체적으로, 모든 승진 지원서에는 AI 도구 활용 내역, 추진했던 구체적 AI 프로젝트, 생성형 AI 혹은 기타 AI 기술로 고객 경험 및 운영 효율성에 미친 영향, 그리고 계량화된 성과 지표 등이 반드시 포함돼야 한다. 특히 관리자·리더급은 기존 인력을 유지하거나 오히려 감축하면서 AI로 어떻게 생산성을 높였는지 즉 '적은 자원으로 더 많은 성과'를 어떻게 냈는지까지 증명해야 한다. 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