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스페이스=김시민 기자] "어떻게 “이런 사진이 어떻게 가능했는지 궁금하다" "인공지능(AI)이나 포토샵을 사용한 거 아냐?" "천체 사진 중에 가장 아름답다" '경이롭다, 놀랍다, 믿을 수 없다' 등 다양한 반응이 쏟아진 사진 한 장이 화제다. 미국 항공우주국(NASA)은 27일(현지시간) 초승달, 대성당, 산봉우리가 삼중 정렬로 겹친 이탈리아 사진작가 바레리오 미나토의 사진을 올해 가장 뛰어난 천체사진 중 하나로 선정해 공개했다. 이 사진은 이탈리아 사진작가 바레리오 미나토의 작품이다. 그는 이 사진은 멋진 광경을 담아내기 위해 한자리서 6년을 기다렸다. 바레리오 미나토는 지난 15일 오후 6시 52분경 이탈리아 피에몬테에서 ‘역대급’이라고 찬사를 받는 이 천체 사진을 찍는 데 성공했다. 그가 찍은 사진에는 수 페르가 대성당과 몬비소 산, 그리고 지고 있는 초승달이 정확하게 삼중 정렬을 이룬 모습이 담겼다. 바레리오 미나토는 이탈리아 현지 언론과 인터뷰에서 "2017년에 이 사진을 찍어야겠다고 생각했고 그 이후로 대성당과 산과 함께 달을 같은 장면에 담겠다는 집념이 생겼다. 완벽한 사진을 찍는 데 6년이 걸렸다"고 밝혔다. 또 "기술만이 우리를 놀라게
[뉴스스페이스=김시민 기자] 우주분야 민간기업들이 우주항공분야 전문인재 양성을 위해 팔을 걷어붙였다. 한화에어로스페이스가 방산·첨단항공엔진·유지보수정비(MRO) 등 사업 경쟁력 강화를 위해 우수 인재에 확보에 나선다. 한화에어로스페이스는 12월 15일부터 2024년 1월 8일까지 제조, 생산기술, R&D, 경영지원 등 전 직군에서 세 자릿수 규모의 '2024년 1분기 경력사원 공개채용' 서류 접수를 진행한다. 한화에어로스페이스가 2024년 1분기 경력사원 공개채용 서류 접수를 전직군을 대상으로 내년 1월 8일까지 진행한다. 채용 규모는 세 자릿수인 000명 규모로 최종 합격자는 서류 심사와 실무진 면접, 임원 면접 등을 거쳐 최종 확정된다. 한화에어로는 지난 9월에도 하반기 신입사원 공개채용을 통해 세 자릿수 규모의 인력을 충원했다. 당시 ▲연구개발(R&D) ▲제조·생산기술 ▲물류·자재관리 ▲품질관리·기술 ▲사업관리 ▲경영지원 등 주요 직무에서 채용이 이뤄졌다. 이렇게 대규모 채용에 연이어 나서고 있는 것은 첨단과학기술의 집결이 필요한 우주산업 특성상 다양한 분야의
[뉴스스페이스=김시민 기자] 올해 마지막이자 최대의 우주쇼가 한반도의 밤하늘에서 펼쳐진다. 12월 14일과 15일 쌍둥이자리 인근에서 한 시간에 150개 이상의 별똥별이 내려오는 유성우가 쏟아지기 때문이다. 11일 충주고구려천문과학관에 따르면, 오는 14일과 15일 밤 전국에서 ‘쌍둥이자리 유성우’를 맨눈으로 볼 수 있다. 유성우는 별똥별이 10개 이상 관측되는 것을 말한다. 혜성과 소행성에서 나온 부스러기가 궤도를 따라 돌다가 지구 중력에 의해 끌려 들어오면 대기 마찰로 인해 별똥별로 보인다. 쌍둥이자리 유성우는 1월 사분의자리 유성우, 8월 페르세우스자리 유성우와 함께 3대 유성우로 불린다. 지구에서 볼 때 황도 12궁 중 하나인 쌍둥이자리에서 가장 잘 보인다고 해서 별자리를 딴 이름이 붙었다. 이 유성우는 시간당 100개 이상의 별똥별을 뿌린다. 올해 국제유성기구(IMO)가 예상한 관측 가능한 최대 유성 수는 150여 개다. 실제로 한 사람이 볼 수 있는 별똥별은 이보다 적다. 쌍둥이자리 유성우는 소행성 파에톤 궤도에 떨어져 나온 부스러기들에서 기원한 것으로 알려졌다. 지름이 약 6㎞인 파에톤은 1.4년을 주기로 태양을 공전한다.
[뉴스스페이스=김시민 기자] 전세계 우주탐사 수장들이 인천 송도에 모여 글로벌 우주탐사에 대해 논의한다. 과학기술정보통신부와 한국항공우주연구원은 7∼8일 인천 송도 경원재 앰배서더에서 '2023년 국제우주탐사협의체(ISECG) 고위급(SAM) 회의'를 개최한다고 밝혔다. 국제우주탐사협의체는 우주기관 간 우주탐사 관련 상호 교류와 협력 촉진을 위해 마련된 국제협의체다. 한국은 항공우주연구원이 2007년 설립회원으로 가입했고, 한국에서 협의체 회의가 열리는 건 이번이 처음이다. 이번 회의에는 최병일 과기정통부 우주협력전문관과 김성훈 항우연 부원장이 대한민국 대표로 참석한다. 미국 항공우주청(NASA)의 우주탐사시스템본부장 짐 프리(Jim Free), 유럽우주청(ESA)의 유·무인탐사본부장 다니엘 노이엔슈반더(Daniel Neuenschwander)를 비롯해 캐나다, 일본, 이태리, 프랑스, 독일, 영국, 룩셈부르크 등 전세계 26개국 우주탐사 수장들이 한 자리에 모여 글로벌 우주탐사에 대해 논의한다. 이번 연례 회의를 통해 각국의 우주탐사 현황과 계획을 공유한다. 또, 지난 1년간의 ISECG 활동 현황을 보고 받고, 앞으로의
[뉴스스페이스=김시민 기자] 국내 최초 '순수 우리 기술'로 개발한 민간주도의 상용 지구관측 위성이 자체 발사에 성공했다. 한화시스템(대표 어성철)은 자체 개발·제작한 '소형 SAR 위성'을 제주도 남쪽 해상에서 4일 오후 2시 정각에 성공적으로 발사했다고 4일 밝혔다. SAR(합성개구레이다, Synthetic Aperture Radar)은 공중에서 지상 및 해양에 레이다파를 순차적으로 쏜 후 레이다파가 굴곡면에 반사되어 돌아오는 미세한 시간차를 선착순으로 합성해 지상 지형도를 만들어 내는 레이다 시스템이다. 주∙야간 및 악천후에도 영상 정보 획득 가능해 에너지 탐사, 자원 모니터링, 재해·재난 감시, 기후·환경 감시, 건설·인프라, 안보 분야 및 분쟁지역에서 활용도가 높다. 한화시스템 '소형 SAR 위성' 발사는 해외 의존도가 높았던 위성 제조·발사 분야의 국내 기술력을 증명해낸 것으로, 우주 강국들이 기술패권을 유지하기 위해 해외수출을 통제해왔던 분야에서 국내 첫 국산화를 이뤄냈다는 점에서 의미가 크다. 발사체는 정부가 앞서 개발한 고체 발사체 및
[뉴스스페이스=김시민 기자] 한국의 첫 군사정찰위성이 우주궤도에 안착해 지상국과 첫 교신에도 성공했다. 미국 밴덴버그 우주군기지에서 2일 새벽 발사된 정찰위성이 발사에 성공한 것. 대한민국 군의 정찰위성 1호기를 탑재한 미국 우주기업 스페이스Ⅹ의 발사체 '팰컨9'은 한국시간 2일 오전 3시 19분(현지시간 1일 오전 10시 19분) 캘리포니아 소재 밴덴버그 기지에서 발사됐다. 국방부와 스페이스Ⅹ에 따르면 팰컨9이 발사되고 2분 22초 후에 1단 추진체가 분리돼 떨어져 나갔고, 이어 약 20초 후에 페어링(위성보호덮개)이 분리됐다. 발사 14분 뒤인 3시 33분에는 2단 추진체에서 분리된 정찰위성 1호기가 목표로 설정했던 우주궤도에 정상 진입했다. 우주궤도에 안착한 정찰위성 1호기는 오전 4시 37분께 해외 지상국과 처음으로 교신했다. 이어 오전 9시 47분 국내 지상국과의 첫 교신에 성공했다. 정찰위성 1호기의 궤도 안착과 정상 교신을 완전 확인한 우리 군은 앞으로 영상 초점을 맞추는 검보정 작업 등 운용 시험 평가를 거쳐 내년 상반기까지 정찰위성 1호기를 전력화하게 된다. 정찰위성 1호기는 고도 400∼600㎞에서 지구를 도는 저궤도
[뉴스스페이스=김시민 기자] 미국 항공우주국(NASA)이 추진한 '광통신'(Deep Space Optical Communications·DSOC)이 우주에서 첫 시연을 성공적으로 수행했다. 24일(현지시간) CNN에 따르면, NASA는 지구에서 1600만㎞ 떨어진 우주에서 발사된 첫 광통신 레이저가 이달 14일 미국 캘리포니아 공과대학 팔로마 천문대에 있는 헤일 망원경으로 전송됐다고 밝혔다. 레이저 발사 지점과 헤일 망원경 사이의 거리는 지구와 달 사이에 비해 40배나 멀다. NASA는 지난달 13일 금속 성분으로 이뤄진 소행성 ‘프시케’를 탐사할 우주선을 발사하면서 초기 2년간 광통신을 실험하겠다고 밝혔다. 레이저를 이용한 광통신은 기존 무선 통신보다 데이터 전송 속도와 용량을 10∼100배 늘릴 수 있어 고화질 사진과 동영상 등 대용량 데이터도 송수신할 수 있다. NASA 우주기술임무국의 기술 시연 책임자인 트루디 코르테스는 성명에서 "첫 번째 빛(first light)의 성공은 인류의 거대한 차기 도약인 '인류의 화성 파견'을 지원함에 있어 과학 정보, 고화질 이미지, 스트
[뉴스스페이스=김시민 기자] 미국 항공우주국(NASA)과 일본 우주항공연구개발기구(JAXA)이 세계 최초의 나무로 만든 위성을 2024년 여름경 발사할 계획을 밝혔다. 미국 스페이스닷컴은 16일(현지시간) 이들이 2024년 여름 '리그노샛(LignoSat)'이라는 이름의 목제(木製) 위성을 발사할 계획이라고 보도했다. JAXA는 "목련나무로 만든 커피잔 크기의 위성인 리그노샛(LignoSat)이 2024년 여름까지 지구 궤도로 발사될 예정이다"고 지난 6월 이미 밝힌 바 있다. 교토대 연구팀은 일본 최대 건축·목재 회사 스미모토임업과 손잡고 2020년 4월 나무를 사용해 지속가능한 위성을 개발하는 ‘리그노스텔라 스페이스 우드’ 프로젝트를 발표했다. 연구팀이 개발한 목제 인공위성은 가로·세로·높이가 각각 10cm에 불과한 초소형위성(큐브샛)이다. 위성 제작에는 목련나무가 쓰인다. 일본 교토대학교 연구팀은 목련, 체리, 자작나무 등 세 가지 목재 샘플을 국제우주정거장(ISS)에 보냈고, 테스트 결과 목련이 가벼울 뿐만 아니라 제조 과정에서 갈라지거나 부러질 가능성이 작아서 위성 제작에 사용하기로 결정됐다. 인공위성 제작 작업에는 일본 전통 공법 기술을 보유한 시
[뉴스스페이스=김시민 기자] 달 탐사 비행을 위해 6명의 승무원을 1년간 격리하는 실험이 러시아 모스크바에서 시작했다고 현지시간 14일 타스 통신이 보도했다. 타스 통신 보도에 따르면, 러시아과학아카데미 생의학문제연구소(IMBP)는 항공 공학자, 의사, 과학자 등 러시아인 5명과 벨라루스인 1명이 참가하는 '시리우스(SIRIUS)-23' 프로젝트에 돌입했다고 밝혔다. 6명의 승무원은 1년 동안 격리돼 실험과 훈련을 진행한다. 해당 프로젝트가 종료되면 우주공간에서 임신과 출산에 대한 실험도 추진할 계획이다. 승무원들은 생의학문제연구소에서 개발한 특수 장치에서 달 탐사 비행 시뮬레이션과 화물선 도킹, 달 표면 착륙, 탐사장치 원격 조종, 비상사태 대응, 지구로 귀환 등 각종 훈련을 수행할 예정이다. 인간이 제한된 공간에서 장기간 머무는 것과 관련된 생리적, 심리적, 위생적, 미생물학 분야 연구를 진행할 계획이다. 시리우스 프로젝트는 2017년 11월 17일간 첫 번째 격리 실험에 나섰고, 2018∼2019년에도 4개월간 격리 실험을 진행했다. 레나 드윈 '아스가르디아' 우주국가 총리는 타스통신에서 "이후 진행할 격리
[뉴스스페이스=김시민 기자] 일론 머스크가 이끄는 미국 민간 우주기업 스페이스X가 올해 70번째 로켓 발사에 성공했다. 스페이스X는 10월 5일(현지시각) 미 플로리다 케이프커내버럴우주군기지에서 저궤도 통신위성 스타링크 22기를 실은 팰컨9 로켓을 우주로 보냈다. 이로써 스페이스엑스는 올해 들어 로켓 발사 70회를 기록하게 됐다. 이는 지난해 연간 발사 횟수 61회를 뛰어넘는 수치다. 평균 4일에 한 번꼴로 로켓을 발사한 셈이다. 70회 발사 중 67회는 팰컨9, 3회는 팰컨헤비를 통해 이뤄졌다. 팰컨헤비는 팰컨9 로켓 1단계 추진체 3개를 묶은 것이다. 스페이스엑스는 오는 12일 소행성 프시케 탐사 임무를 맡을 프시케 우주선을 팰컨헤비에 실어 발사할 예정이어서 발사 횟수는 더욱 늘어날 전망이다. 올해 발사는 대부분 스타링크 위성을 위한 것이었다. 이날은 올해 44번째 스타링크 발사였다. 최근 머스크는 엑스(옛 트위터)에 "올해 말까지 한 달에 10번 발사할 계획이며, 내년에는 한 달에 12번 발사하는 것을 목표로 하고 있다"고 말했다. 그의 말대로라면 올해 목표로 제시한 연간 100회 발사도 가능할 것으로 보인다. 머스크는 "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