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11.08 (토)

  • 흐림동두천 9.8℃
  • 흐림강릉 12.2℃
  • 구름많음서울 12.6℃
  • 맑음대전 9.5℃
  • 박무대구 8.4℃
  • 구름조금울산 14.8℃
  • 구름많음광주 12.3℃
  • 구름조금부산 16.6℃
  • 구름많음고창 10.3℃
  • 맑음제주 16.8℃
  • 흐림강화 11.6℃
  • 맑음보은 5.4℃
  • 구름조금금산 5.9℃
  • 구름조금강진군 9.6℃
  • 구름많음경주시 6.7℃
  • 구름많음거제 16.5℃
기상청 제공
thumbnails
우주·항공

[우주AtoZ] 블랙홀 이미징 기술의 발전으로 '아인슈타인의 중력 이론' 검증…"新 우주물리학의 서막”

[뉴스스페이스=이종화 기자] 지난 10월과 11월, 블랙홀 이미징과 중력파 관측의 획기적인 발전이 천체물리학계에 큰 반향을 일으키고 있다. Event Horizon Telescope 공식 발표, Phys.org, ScienceDaily, MPG, SNExplores에 따르면, 이벤트 지평선 망원경(Event Horizon Telescope, EHT)의 최신 고해상도 이미지와 세계 최대 규모 중력파 관측 네트워크(LIGO–Virgo–KAGRA)의 정밀 측정이 아인슈타인의 일반 상대성이론을 정밀 검증하는 동시에, 이론의 한계를 시험하는 새로운 물리학의 문을 열고 있다. 먼저, EHT는 지난해와 올해에 걸쳐 M87와 우리은하 중심에 위치한 궁수자리 A 블랙홀의 그림자(shadow) 영역을 전례 없는 세밀함으로 포착했다. 이 그림자 영역은 블랙홀 주변 강력한 자기장과 고에너지 플라즈마의 상호작용으로 형성되며, 물리학자들이 중력과 입자 물리 현상을 동시에 연구할 수 있는 이상적인 실험장으로 부상하고 있다. 최근 연구에서는 EHT의 이미지를 통해 기존 일반 상대성이론뿐 아니라 암흑물질의 존재 가능성과 특이구조인 웜홀 등 대안 이론에 대한 제약 조건들도 새롭게 강화되었다. 중력파 영역에서도 중요한 진전이 이어졌다. 2025년 1월 14일에 지구에 도달한 두 블랙홀 병합 신호 GW250114는 지금까지 관측된 중력파 신호 중 가장 명확하며, 이 신호는 블랙홀 형성 후 발생하는 ‘링다운(ringdown)’ 현상을 극히 정밀하게 측정할 수 있게 해 일반 상대성이론이 예측하는 회전하는 케르(Kerr) 블랙홀 모델을 강력히 지지한다. 특히, GW241011과 GW241110 사건의 경우 빠른 회전으로 인한 블랙홀의 미세한 변형이 중력파에 남긴 ‘고차 조화파(higher harmonics)’가 처음으로 명확하게 포착되어 아인슈타인의 이론에 대한 정확한 검증과 함께 미지의 초경량 보존 입자 존재 가능성 탐색에도 활용되고 있다.​ 이 같은 블랙홀 연구의 진전은 블랙홀을 단순 천체가 아닌, 양자 중력과 우주의 기초 물리 법칙을 탐구할 수 있는 ‘우주 실험실’로 재탄생시키고 있다. 링다운 신호에서 발견되는 주파수 오버톤은 블랙홀의 ‘음’을 통해 양자화된 시공간 구조 탐색과 새로운 중력 이론 검증의 중요한 모멘텀으로 작용한다. 또한, EHT의 차세대 네트워크 확장 계획들은 관측 해상도와 동적 범위가 현재보다 100배 이상 향상되어 한층 더 희미한 암흑물질 신호 탐지와 블랙홀 주변 환경의 정밀 분석을 가능케 할 전망이다.​ 국내 연구진들도 EHT 협업을 통해 M87 블랙홀의 자기장 급변 현상을 밝혀내는 등 활약하며, 블랙홀 공간의 복잡한 자기장 역학에 대한 기존 정체 모델에 도전하고 있다. 이러한 국제 공동 연구의 성과들은 앞으로 블랙홀과 중력의 진짜 본질을 밝혀내는 데 중요한 밑거름이 될 것이다.​ 결국 블랙홀 이미징과 중력파 관측의 연계된 발전은 아인슈타인의 중력 이론을 전례 없이 정밀하게 시험하는 동시에, 우주를 구성하는 본질적 요소들에 대한 탐구 수준을 비약적으로 향상시키고 있다. 앞으로의 관측들은 우리에게 새로운 우주의 법칙을 제시하거나, 현재 중력 이론을 뛰어넘는 혁신적 과학 패러다임을 가져올 가능성을 열어두고 있다.





많이 본 카드뉴스


영상뉴스(유튜브)

더보기


배너

최근 한달 많이 본 기사




































배너








People

더보기

Visual+

더보기

가장 많이 본 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