테슬라 옵티머스에 삼성전기 ‘카메라의 눈’ 공급…머스크·이재용의 '미래동맹' 전기차·xAI 넘어 피지컬AI까지 '확장'

  • 등록 2025.08.04 16:56:43
크게보기

 

[뉴스스페이스=조일섭 기자] 삼성전기가 테슬라와 손잡으며 차세대 인공지능(AI) 로봇 시장의 중심무대에 본격 진입했다. 테슬라가 개발 중인 휴머노이드 로봇 ‘옵티머스’에 삼성전기가 첨단 카메라 모듈을 공급하기로 결정한 것이다. 이로써 삼성전자는 AI6 반도체 공급, 삼성전기는 ‘로봇의 눈’을 책임지며, 삼성그룹 전체가 테슬라의 미래 성장 실험장에 깊이 관여하게 됐다.

 

테슬라 로봇, 삼성전기의 기술을 장착하다


테슬라 옵티머스는 2022년 1세대(젠1)를 시작으로 현재 3세대까지 진화한 첨단 피지컬 AI 기반 휴머노이드다. 테슬라는 아직 외부 판매를 진행하지 않고 있지만, 이미 자체 공장 등에 배치해 실사용 테스트와 성능 개선에 집중하고 있다. 일론 머스크 테슬라 CEO는 “2025년 말부터 옵티머스 수천 대를 생산하고, 4년 이내 연간 100만 대에 이를 것”이라는 초대형 생산 계획까지 공식적으로 밝혔다.

 

이 거대한 프로젝트에서 ‘환경을 보고 인식하는 눈’ 역할의 카메라 모듈은 삼성전기가 소니 이미지센서 기반 렌즈·구동부 등의 강점을 더해 직접 모듈화해 공급한다. 삼성전기는 이로써 테슬라 전기차에 이어 로봇까지 협업영역을 넓혀, 글로벌 로봇 카메라 시장 넘버원 전략을 현실화하고 있다.

 

또한, 최근 실적 설명회에서 “글로벌 리딩 휴머노이드 로봇 거래선용 개발과제 확보로, 로봇 시장 기술 리더십을 공고히 하겠다”고 밝힌 바 있는데, 바로 테슬라가 이 ‘리딩 파트너’로 드러난 것이다.

 

시장 전망: 피지컬 AI 시대와 숫자로 본 성장성


기존의 휴머노이드는 단순 자동화나 중노동 대체 정도로 취급됐으나, AI ‘두뇌’가 탑재되며 의료, 가정, 산업 전방위로 확산 중이다. 엔비디아의 젠슨 황 CEO는 차세대 트렌드로 피지컬 AI를 꼽았고, 골드만삭스는 글로벌 휴머노이드 로봇 시장이 2030년 25만6000대에서 2035년이면 138만대로 5배 이상 급성장할 것이라 예측했다.

 

삼성전기와 삼성전자의 동반 진출은 이 거대한 피지컬 AI 시장의 한국 기업 영향력을 드높인다는 점에서 의미가 크다. 삼성전자가 22조8000억원 규모의 ‘AI6’ 칩을 테슬라에 수주(2025년 기준), 로봇의 ‘두뇌’이자 자율주행차량의 핵심을 잡았고, 삼성전기는 ‘눈’을 책임지며 하드웨어 혁신의 양축을 이루고 있다.

 

테슬라와 비전 AI: 차별화된 파트너십


테슬라는 경쟁사와 달리 라이다(LiDAR)와 레이더(RADAR)를 배제하고 카메라 중심의 비전 AI만으로 로봇 인식능력을 고도화하고 있다. 테슬라는 AI의 시작·끝은 카메라란 철학을 명확히 고수하고 있으며, 삼성전기가 연이어 핵심 모듈 납품처로 선정된 배경이다. 이 파트너십은 단순 공급 계약을 넘어 카메라 업계 글로벌 위상까지 올려줄 전망이다.

 

업계 파장과 한국 산업의 위상


삼성전기가 세계 로봇시장 선두 테슬라와의 협력을 확대하면서, 국내 부품업계 전반에도 기술력과 브랜드 파워 ‘퀀텀점프’ 효과가 기대된다. 삼성전기는 “모빌리티·로봇·AI에서 성장 기회를 찾겠다”는 전략을 현실로 끌어왔으며, 미래 AI 기반 신시장 개척의 전환점이 될 것으로 평가된다.

 

빅테크분야 한 업계 전문가는 “카메라·센서·AI칩 부문의 ‘코리아 벨트’가 쟁점 기술로 자리매김한 결정적 계기”라고 분석했다. 향후 삼성의 추가 투자와 협력 확대, 그리고 AI·로봇 생태계 확장 속도도 함께 주목받고 있다.

 

글로벌 진출과 미래 비전


테슬라 옵티머스는 올해 연말을 시작으로 대량생산에 돌입하며, 2030년대 중반까지 생산량 수백만 대 시대를 예고하고 있다. 삼성전자와 삼성전기의 연속적 대규모 공급계약은 “로봇의 두뇌와 눈”이라는 가장 근본 요소에서 한국 기술의 글로벌 영향력 확대를 의미한다.

 

이로써 삼성–테슬라 미래 동맹은 전기차·자율주행을 넘어 피지컬 AI 혁명의 심장부까지 확장됐으며, 한국산 하드웨어와 글로벌 혁신기업의 만남이 첨단 산업 지형을 새롭게 바꾸고 있다.

조일섭 기자 macgufin@empas.com
저작권자 © 뉴스스페이스(NewsSpace)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93건의 관련기사 더보기





서울시 서초구 사평대로 140 코웰빌딩 B1, 318호 | 대표전화 : 0505-546-0505 | 팩스 : 0505-548-0505 제호 : 뉴스스페이스(NewsSpace) | 등록번호 : 서울 아 54727 | 등록일 : 2023-03-07 | 발행일 : 2023-03-07 | 발행·편집인 : 이현주 | 청소년보호책임자 : 김정영 Copyright © 2024 뉴스스페이스(NewsSpace).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