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주AtoZ] 스페이스X 달 착륙선 개발 지연에 美 NASA, 아르테미스 계약철회 시사…"중국과 경쟁 가속·대통령 임기 내 도달"

  • 등록 2025.10.21 06:44:52
크게보기

 

[뉴스스페이스=김시민 기자] 미국 스페이스X가 NASA의 인류 달 착륙 계획인 아르테미스 III 임무에서 사용할 달 착륙선 개발에 속도를 내지 못하면서 미 교통부 장관 겸 NASA 임시 국장인 숀 더피가 이와 관련해 스페이스X와의 계약을 재검토하고 다른 우주 기업들에게도 기회를 열겠다고 2025년 10월 20일(현지시간) 밝혔다.

 

더피 장관은 CNBC 인터뷰에서 "우리는 한 기업만 기다리지 않을 것"이라며 "중국과 벌이고 있는 두 번째 우주 경쟁에서 승리할 수 있도록 계약을 다시 할 것"이라고 말했다.​

 

스페이스X는 2021년 NASA와 약 29억 달러 규모의 계약을 맺고, '스타십'이라는 초대형 우주선을 이용해 아르테미스 III 임무에서 우주비행사들을 달에 착륙시키는 역할을 맡았다. 그러나 올해 1월부터 3월까지 이루어진 스타십의 여러 차례 시험비행 실패와 몇 차례의 연속된 개발 지연으로 인해 NASA의 2027년 착륙 임무 일정에 차질이 우려되는 상황이다.​

 

스타십의 최근 시험비행은 크게 성공적이었으나, 아직 지구 궤도 진입 및 미세중력 환경에서의 연료 이송 같은 필수 기술적 단계가 완료되지 않은 상태다. 이에 NASA는 아르테미스 II 임무의 달 궤도 비행이 원래 계획된 2026년 4월보다 더 빠른 2026년 2월 초에 가능할 것으로 보고 있으며, 아르테미스 III에서는 달 착륙을 2027년에서 2028년으로 조정하고 있다.​

 

더피 장관은 스페이스X와 경쟁 가능한 우주 기업으로 제프 베조스가 이끄는 블루오리진(Blue Origin)을 지목하며, 블루오리진 역시 아르테미스 V 임무에서 사용할 달 착륙선 계약을 체결해 2029년 인류 달 착륙을 목표로 개발 중임을 강조했다. NASA는 이번 계약 재개방으로 블루오리진 같은 다른 기업들과 경쟁을 유도, 개발 속도를 높이고 우주 강국 중국과의 경쟁에서 우위를 점한다는 계획이다.​

 

한편, 미·중 간 우주 경쟁은 2030년대 인류의 달과 화성 진출을 목표로 가속화되고 있다. 중국은 2030년까지 우주인을 달에 착륙시키고 영구적인 기지를 세우겠다는 야심 찬 계획을 추진 중이다. 이에 맞서 미국은 아르테미스 프로그램을 통해 2020년대 후반까지 달 복귀를 실현하려 하나, 스페이스X 스타십 개발의 잇따른 어려움과 지연은 계획 수립에 큰 부담으로 작용하고 있다.​

 

더피 장관은 "우리는 중국과 경쟁하고 있으며, 대통령과 함께 이 임기 내에 달에 도달하는 것을 원한다"며 "필요시 계약을 다시 열어 목표를 반드시 달성하겠다"고 강조했다. 이로써 스페이스X가 유인 우주선 개발에서 지체될 경우, NASA는 다른 민간 기업을 통해 임무 실행을 마련할 가능성이 커졌다.​

 

이번 결정은 미국의 우주 산업뿐 아니라 글로벌 우주시장에 중대한 변화를 예고한다. 한편, 스타십은 올해 11번째 시험비행에서 성공을 거두며 기술적 진전을 보였으나, 3차례의 연이어진 실패로 인한 불확실성이 걸림돌로 작용하는 상태다. 이 때문에 NASA는 재빠른 대안을 찾으며 우주 탐사 경쟁에서 뒤처지지 않으려는 움직임을 적극적으로 보이고 있다.​

김시민 기자 newsspace@naver.com
저작권자 © 뉴스스페이스(NewsSpace)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93건의 관련기사 더보기





서울시 서초구 사평대로 140 코웰빌딩 B1, 318호 | 대표전화 : 0505-546-0505 | 팩스 : 0505-548-0505 제호 : 뉴스스페이스(NewsSpace) | 등록번호 : 서울 아 54727 | 등록일 : 2023-03-07 | 발행일 : 2023-03-07 발행·편집인 : 이현주 | 청소년보호책임자 : 김정영 | 법률자문 : 이수동 변호사(법률사무소 이수) Copyright © 2024 뉴스스페이스(NewsSpace).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