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10.13 (월)

  • 흐림동두천 15.1℃
  • 흐림강릉 15.7℃
  • 흐림서울 16.5℃
  • 흐림대전 19.4℃
  • 흐림대구 19.1℃
  • 흐림울산 19.5℃
  • 흐림광주 22.1℃
  • 흐림부산 21.7℃
  • 구름많음고창 23.2℃
  • 맑음제주 26.3℃
  • 흐림강화 15.4℃
  • 흐림보은 18.0℃
  • 구름많음금산 19.7℃
  • 흐림강진군 23.0℃
  • 흐림경주시 18.6℃
  • 흐림거제 21.8℃
기상청 제공

공간·건축

[랭킹연구소] "의료비·교육비 무상" 세계에서 가장 행복한 나라 TOP10 덴마크·스웨덴·스위스 順…한국은?

'삶의 질' 1위, 의료비 없는 덴마크…북유럽 국가들 상위권 포진
덴마크·스웨덴·스위스·노르웨이·캐나다·핀란드·독일·호주·네덜란드·뉴질랜드 TOP10
조사국 89개국 중 한국은 25위

 

[뉴스스페이스=이종화 기자] 가장 행복한 나라, 국민들의 '삶의 질'이 가장 좋은 나라는 어디일까.


미국 순위조사 전문매체 US뉴스앤드월드리포트(U.S. News and World Report)는 최근 '삶의 질이 가장 좋은 국가' 순위에서 덴마크가 1위를 차지했다고 발표했다.

 

US뉴스앤드월드리포트와 글로벌 마케팅·커뮤니케이션 회사 WPP, 펜실베이니아대학교 와튼스쿨은 지난 3월 22일부터 5월 23일까지 전 세계 약 1만7000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 삶의 질을 기준으로 89개국의 순위를 매겼다.

 

 

조사 결과 덴마크는 가장 높은 점수를 받으며 지난해 4위에서 올해 1위로 뛰어올랐다. 덴마크 외에도 스웨덴과 노르웨이, 핀란드 등 북유럽 국가들이 순위권에 이름을 올렸다. 한국은 25위를 기록했다.

 

평가 항목은 ▲고용 안정 ▲물가 안정 ▲경제적 안정 ▲가족 친화적 ▲소득 평등 ▲정치적 안정 ▲안전 ▲발달한 공교육 시스템 및 공공 의료 시스템 등이다.

 

이 보고서 내용을 보도한 CNBC는 “덴마크 국민들은 세계에서 가장 높은 수준의 세금을 납부하지만 대부분의 의료 서비스가 무료이고, 양육비도 보조된다”면서 “대학생은 학비를 전혀 내지 않으며 공부하는 동안 생활비를 위한 보조금을 받고, 노인들은 연금과 함께 간병 도우미를 제공받는다”고 전했다.

 

 

전 세계 이주민을 위한 온라인 글로벌 커뮤니티 인터네이션스(InterNations)가 지난 7월 실시한 국외 거주 내부자 설문조사에서도 덴마크는 이민자들이 직업, 경력 기회, 일과 삶의 균형 등에 대해 가장 만족하는 국가로 선정됐다.

 

스웨덴은 삶의 질이 가장 좋은 국가 2위를 차지했다. 이어 ▲스위스 ▲노르웨이 ▲캐나다 ▲핀란드 ▲독일 ▲호주 ▲네덜란드 ▲뉴질랜드가 10위권에 포함됐다.

 

한국은 해당 순위에서 25위에 이름을 올렸다. 아시아 국가 중에서는 일본(14위), 싱가포르(24위)에 이어 세 번째로 높은 순위다.

 

 

덴마크는 UN 산하 자문기관인 지속가능발전해법네트워크(SDSN)가 지난 3월 발표한 ‘2023년도 세계행복지수 보고서’에서도 핀란드에 이어 2위로 선정된 바 있다. 한국은 당시 19위를 기록했다.

 

같은 시기에 유엔 산하 유엔개발계획(UNDP)이 각국 주민의 삶의 질을 평가한 ‘인간개발지수’(HDI) 순위에서 덴마크는 스위스, 노르웨이 등에 이어 5위에 올랐다. HDI는 국가별로 기대수명과 기대교육연수, 평균교육연수, 1인당 국민소득(GNI) 등 4가지 객관 지표를 바탕으로 매겨진다.

 

한편 UNDP는 "지난해 세계 HDI 지수가 모든 평가지표에서 코로나 유행 이전인 2019년 이전 수준을 넘어설 것으로 예측했다"면서 "하지만 선진국과 저개발국 사이에는 여전한 격차가 존재한다"고 지적했다.

배너
배너
배너

관련기사

93건의 관련기사 더보기


[랭킹연구소] 한국 부자 2400명 해외로·21조원 금융자산 유출…백만장자 순유출국 TOP4, 영국·중국·인도·한국

[뉴스스페이스=김혜주 기자] 한국의 부자들이 급속도로 해외로 이주하며 2025년에는 약 2400명의 백만장자가 한국을 떠날 전망이다. 닛케이, 블룸버그, 헨리 앤 파트너스 보고서(2025)​에 따르면, 이는 3년 전 400명에 비해 6배나 증가한 수치로, 영국, 중국, 인도에 이어 세계 4위의 백만장자 순유출국으로 기록된다. 이에 따른 금융자산 유출액은 약 152억 달러(한화 약 21조3000억원)에 달할 것으로 예상된다. 이러한 대규모 이주의 배경에는 한국의 높은 상속세, 불리한 사업 및 거주 환경, 정치·경제적 불확실성 등이 주요 원인으로 꼽힌다.​ 한국 부자들의 해외 이주의 주된 원인 부자들은 한국을 떠나는 이유로 ‘세계 최고 수준의 상속세율’을 가장 크게 지적한다. 한국의 상속세는 최대주주 할증까지 포함하면 최대 60%에 달해 OECD 국가 중 가장 높으며, OECD 내 14개국은 아예 상속세가 없는 상황과 대조된다. 이 외에도 낮은 세금, 호의적인 사업 환경, 양질의 거주 여건을 이유로 들고 있다. KB경영연구소가 10억원 이상 자산가 4000명을 대상으로 실시한 설문조사에서 26.8%가 ‘해외 투자이민을 고려해봤다’고 답한 점이 이를 방증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