머스크 “6월 오스틴서 테슬라 로보택시 시범운행…xAI, 100만개 GPU 데이터센터 추진"

  • 등록 2025.05.21 21:34:11
크게보기

 

[뉴스스페이스=이종화 기자] 테슬라가 자율주행 로보택시 상용화에 한 걸음 더 다가섰다.

 

일론 머스크 테슬라 CEO는 5월 20일(현지시간) 미국 매체 CNBC와의 인터뷰에서 “6월 말까지 미국 텍사스 오스틴에서 테슬라 로보택시 시범 서비스를 시작할 것”이라고 공식 발표했다.

 

동시에 인공지능(AI) 기업 xAI는 미국 테네시주 멤피스에 100만 개 GPU(그래픽처리장치)를 탑재한 초대형 데이터센터 건립을 추진 중이라고 밝혔다.

 

테슬라, 오스틴에서 ‘로보택시’ 10대 시범 운행…수천 대로 확대 예정

 

머스크는 “오스틴 시내 특정 안전구역에서 모델 Y 차량 10대로 로보택시 시범 서비스를 시작하고, 초기 운행이 성공적으로 진행되면 수천 대 규모로 빠르게 확대할 것”이라고 설명했다.

 

이번에 투입되는 차량은 테슬라 SUV 모델 Y 기반에 완전 자율주행 소프트웨어 ‘FSD 언슈퍼바이즈드(FSD Unsupervised)’ 버전이 탑재된다. 차량 내에는 안전요원이 탑승하지 않으며, 테슬라 직원이 원격으로 실시간 모니터링하는 방식이다.

 

머스크는 “도입 초기는 제한된 지역(지오펜싱)에서 운행하며, 모든 시스템이 문제없이 작동한다는 것이 확인되면 빠르게 규모를 늘리는 것이 현명하다”고 밝혔다. 그는 또 “올해 말까지 미국 내 수십만~백만 대의 테슬라 차량이 자율주행을 할 수 있을 것”이라고 자신감을 내비쳤다.

 

 

저가형 EV 대신 로보택시·로봇에 집중 "전략 수정"


최근 테슬라는 저가형 전기차 개발을 잠정 중단하고, 로보택시와 휴머노이드 로봇 ‘옵티머스’에 집중하는 전략으로 선회했다. 머스크는 “장기적으로 테슬라의 가치는 자율주행과 옵티머스에 달려 있다”며 “FSD(완전자율주행) 소프트웨어를 타 완성차 업체에 라이선싱하는 방안도 논의 중”이라고 밝혔다.

 

경쟁사 구글 웨이모와 차별화…“카메라+AI가 최적”


머스크는 “테슬라의 카메라 기반 비전 시스템과 AI가 도로 주행에 가장 적합하다”며, 라이다(LiDAR)나 레이더 등 고가 센서 없이도 완전자율주행이 가능하다고 강조했다. 경쟁사인 구글 웨이모는 이미 미국 주요 도시에서 무인 택시 상용 서비스를 운영 중이며, 주당 25만건의 유료 운행을 기록하고 있다.

 

머스크는 “테슬라의 접근법이 웨이모보다 훨씬 범용적이고 확장성이 높다”고 주장했다.

 

 

xAI, 100만개 GPU 데이터센터로 AI 초격차 노린다


머스크가 이끄는 AI 기업 xAI는 미국 테네시주 멤피스에 100만개 GPU를 탑재한 초대형 데이터센터 구축을 추진 중이다. xAI는 이미 10만개 GPU로 구성된 ‘콜로서스’ 슈퍼컴퓨터를 운영 중이며, 이번 멤피스 프로젝트는 이를 10배 이상 확장하는 계획이다.

 

데이터센터에는 테슬라의 ‘메가팩’ 에너지 저장 시스템이 도입돼, 대규모 AI 연산과 친환경 에너지 효율을 동시에 추구한다.

 

이번 로보택시 시범 운행은 테슬라의 미래 전략에 있어 중대한 분기점으로 평가된다. 테슬라 주가는 발표 직후 소폭 상승했다.

 

빅테크 업계에서는 “자율주행 상용화의 실질적 시험대”라는 평가가 나온다. 다만, 미국 도로교통안전국(NHTSA) 등 규제 당국의 안전성 검증과 현지 법규 준수, 그리고 기술적 완성도 확보라는 과제가 남아 있다.

 

머스크의 ‘로보택시-초대형 AI 데이터센터’ 투트랙 전략이 자율주행차와 AI 산업의 패러다임을 어떻게 바꿀지 주목된다.

이종화 기자 macgufin@empas.com
저작권자 © 뉴스스페이스(NewsSpace)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93건의 관련기사 더보기





서울시 서초구 사평대로 140 코웰빌딩 B1, 318호 | 대표전화 : 0505-546-0505 | 팩스 : 0505-548-0505 제호 : 뉴스스페이스(NewsSpace) | 등록번호 : 서울 아 54727 | 등록일 : 2023-03-07 | 발행일 : 2023-03-07 | 발행·편집인 : 이현주 | 청소년보호책임자 : 김정영 Copyright © 2024 뉴스스페이스(NewsSpace).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