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뉴스스페이스=김혜주 기자] 2025년 6월 19일(현지시간), 미국 식품의약국(FDA)이 길리어드 사이언스(Gilead Sciences)의 신개념 HIV(인간면역결핍바이러스) 예방 주사제 ‘예즈투고(Yeztugo, 성분명: 레나카파비르·Lenacapavir)’를 공식 승인했다.
Gilead Sciences 공식자료와 CNBC, New York Times, Reuters등의 보도에 따르면, 이번 FDA 결정으로 HIV 감염 위험군을 위한 예방 옵션에 대전환이 예고되며, ‘에이즈 종식’에 대한 기대감이 세계적으로 고조되고 있다.
‘예즈투고’란?…연 2회 주사로 99.9% 예방, 세계 첫 장기 지속형 PrEP 주사제
예즈투고는 HIV-1 캡시드 억제제로, 기존 경구용 예방약(PrEP)과 달리 연 2회(6개월마다 1회) 피하주사만으로 HIV 감염 예방 효과를 누릴 수 있다. 이는 미국에서 승인된 PrEP(노출 전 예방요법) 중 최초이자 유일한 ‘연 2회 투여’ 옵션이다.
기존 PrEP는 매일 복용(트루바다, 데스코비 등) 또는 2개월마다 주사(아프리카버 등) 형태로, 복용 순응도와 사회적 낙인, 접근성 한계가 컸다.
애틀랜타 에모리대 에이즈연구센터장 카를로스 델 리오 박사는 “반년마다 한 번 맞는 주사는 복용 순응도와 사회적 낙인 등 기존 PrEP의 주요 장벽을 크게 해소할 것”이라고 평가했다.
임상 효과“99.9% 예방, 기존 약 대비 월등”
길리어드와 미국 CDC, 애틀랜타 에모리대 에이즈연구센터 등 다수의 임상시험 결과, 사하라 이남 아프리카 여성 대상 임상에서 기존 경구 PrEP(트루바다) 대비 HIV 감염 100% 감소를 나타냈다. 또 글로벌 다국가 임상(2179명 중 2명 감염)에서 99.9% 예방 효과가 확인됐다.
특히, “매일 약을 챙겨먹기 어려운 환경, 사회적 낙인에 시달리는 고위험군(청소년, 여성, 성소수자, 저소득층 등)에서 복용 순응도와 예방 효과가 크게 개선될 것”이라는 전문가 평가가 이어진다.(출처: Gilead Sciences Press Release, Emory University, CDC, The Lancet HIV, 2025.6.19~20)

가격과 보급의 한계…“연 3900만원, 보험적용이 관건”
CNBC, 뉴욕타임스 등 미국 주요 언론에 따르면, 예즈투고(레나카파비르) 연간 약가는 2만8218달러(한화 약 3900만원, 보험 미적용시)에 달한다. 기존 경구 PrEP(트루바다 등)는 연 2만4000달러(약 3300만원) 수준이었다.
길리어드는 “보험사·정부와 협력해 보험 적용 확대에 최선을 다할 것”이라고 밝혔으나, 고가의 약가가 저소득층·취약계층 보급의 최대 장애물로 지적된다.
전문가 평가와 전망…“에이즈 종식, 실질적 전환점”
카를로스 델 리오 Emory대 에이즈연구센터장은 “반년마다 한 번 맞는 주사는 복용 순응도와 사회적 낙인 등 기존 PrEP의 주요 장벽을 크게 해소할 것"이라며 "HIV 예방의 ‘게임체인저’가 될 수 있다"고 강조했다.
UNAIDS(유엔에이즈계획) 등 국제기구는 “아프리카, 아시아 등 고위험군 국가에서의 보급이 확대될 경우, 2030년대 ‘에이즈 종식’ 목표 달성에 결정적 기여를 할 것”으로 전망했다.
한계와 과제…“접근성·가격·사회적 인식 개선 필요”
보험 적용이 안 될 경우, 저소득·고위험군의 접근성 한계, 여전히 HIV 예방약 사용에 대한 편견·차별 존재, 미국 외 개발도상국, 저소득국가 보급 확대를 위한 국제적 협력 필요등은 남은 과제도 있다.
하지만 예즈투고의 FDA 승인은 HIV 예방의 패러다임을 바꿀 ‘게임체인저’로 평가받는다. 연 2회 주사로 99.9% 예방 효과, 복용 순응도 혁신, 사회적 낙인 해소 등 긍정적 효과가 기대된다. 다만, 고가의 약가와 보험 적용, 글로벌 보급 확대 등 해결해야 할 과제도 적지 않다.
에이즈 종식의 실질적 전환점이 될지, 향후 정책·사회적 대응이 주목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