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슈&논란] 정부 광고, 유튜브 구글·인스타 메타에 집중…"절반만 국내 플랫폼에 줘도 222억원 효과"

  • 등록 2025.09.26 16:15:25
크게보기

 

[뉴스스페이스=김정영 기자] 국내 정부 광고 예산이 구글과 메타 등 해외 빅테크 플랫폼에 집중되는 현상이 심화되면서 국내 미디어 생태계 보호 필요성이 커지고 있다. 지난해 정부 부처가 집행한 인터넷 광고 중 26% 이상이 구글과 메타에 집중됐고, 특히 구글은 단일 매체 기준으로 708억원의 수주액을 기록해 1위를 유지했다.

 

유튜브를 운영하는 구글은 2023년부터 정부 광고 수주액이 674억원에 이르며 국내 주요 지상파 방송사와 종합편성채널을 크게 앞서고 있다. 4년간 구글 광고 수주는 86% 증가한 반면, 국내 방송 7개 주요사 광고 수주는 22% 증가에 그쳤다. 인스타그램을 운영하는 메타의 경우에도 2024년 처음으로 100억원 이상을 수주하며 영향력을 확대했다.

 

정부가 유튜브 등 해외 플랫폼을 홍보 수단으로 선호하는 이유는 조회수 중심의 효과 측정과 비용 효율성 때문이다. 다만, 국내 광고 플랫폼 산업이 위축되고, 광고비가 해외로 유출되는 현상을 우려하는 목소리도 크다.

 

한양대 강형구 교수는 “정부 광고 예산의 절반만 국내 플랫폼으로 돌아오면 산업 연관 효과로 약 222억원의 추가 부가가치를 창출하고, 세수도 23억원가량 증가할 것”이라고 분석했다.

 

또 중앙대 김동후 교수는 “정부 광고는 국내 디지털 플랫폼 경쟁력 확보의 출발점”이라며 공공성과 산업 발전을 동시에 고려한 장기적 제도 지원과 미디어 생태계 구축이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구글은 연간 국내 매출로 3869억원을 신고하고 법인세 173억원을 납부하는 반면, 업계 추정 한국 내 매출은 10조원 이상으로 파악된다. 네이버는 2023년에 10조7377억원 매출에 3902억원 법인세를 납부했다는 점과 비교하면 구글의 법인세 회피 논란이 지속되고 있다.

 

이번 정부 광고 해외 플랫폼 쏠림 현상은 국내 미디어 산업의 지속 가능성에 중대한 과제로 작용하며, 정부 차원의 정책 방안 마련 및 국내 플랫폼 활성화가 시급하다는 지적이 나온다.

김정영 기자 jeongyoungkim.71@gmail.com
저작권자 © 뉴스스페이스(NewsSpace)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93건의 관련기사 더보기





서울시 서초구 사평대로 140 코웰빌딩 B1, 318호 | 대표전화 : 0505-546-0505 | 팩스 : 0505-548-0505 제호 : 뉴스스페이스(NewsSpace) | 등록번호 : 서울 아 54727 | 등록일 : 2023-03-07 | 발행일 : 2023-03-07 발행·편집인 : 이현주 | 청소년보호책임자 : 김정영 | 법률자문 : 이수동 변호사(법률사무소 이수) Copyright © 2024 뉴스스페이스(NewsSpace).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