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뉴스스페이스=최동현 기자] 소비자가 농산물 1만원어치를 구매할 때 유통 단계에서 발생하는 비용이 약 49.2%에 달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즉, 소비자가 낸 1만원 가격 중 절반 가까운 4920원이 유통업체 몫으로 돌아가는 셈이다. 이는 2013년 45.0% 대비 4.2%포인트, 1999년 38.7%와 비교하면 10%포인트 이상 상승한 수치다.
최근 한국농수산식품유통공사(aT)의 2023년 농산물 유통비용률 통계에 따르면, 쌀 등 식량 작물은 상대적으로 낮은 35.9%인 반면, 조미 채소류인 대파와 양파는 60.8%, 엽근 채소류인 배추와 무는 64.3%의 유통비용률을 기록했다.
특히 월동무(78.1%), 양파(72.4%), 고구마(70.4%) 등 일부 품목은 유통비용이 70%를 넘어서며, 생산자가 소비자가격에서 얻는 몫이 매우 제한적임을 보여준다.
이처럼 유통비용이 높은 배경에는 인건비 상승과 복잡한 유통구조, 그리고 유통업체들의 이윤 확대가 주요 요인으로 지적된다.
실제로 2023년 유통이윤은 14.6%로 10년 전보다 1.2%포인트 증가하였는데, 농산물 유통과 관련된 세금이 없고, 도매·소매업체의 시장지배력이 크기 때문에 생산자가 유통과정에서 불리한 위치에 놓여 있다는 분석도 있다. 한국은행은 도매·소매업체의 영향력으로 농가 판매가격 상승률이 소비자가격 상승률보다 낮다고 평가했다.
국제적으로도 농산물 유통비용은 국가별 시장 구조와 유통 환경에 따라 차이가 있지만, 한국과 같이 높은 유통비용이 농가 소득과 소비자 물가에 부담을 주는 사례는 주목받고 있다. 일부 선진국은 온라인 직거래 확대, 도매시장 개혁, 투명한 가격 정보 제공 등을 통해 유통비용 절감에 나서고 있다.
이에 따라 한국 정부는 농산물 유통구조의 불합리성을 개선하기 위한 다양한 정책을 추진하는 중이다. 온라인 도매시장 활성화, 도매시장에서 정가·수의매매 허용, 판매자 참여 기준 완화 등 유통단계 간 경쟁을 촉진하고 투명성을 높이기 위한 조치들이 포함된다.
또한 가격 비교 앱 개발과 이를 통한 정보 비대칭 해소로 생산자와 소비자가 모두 체감할 수 있는 유통구조 혁신을 추진 중이다. 이재명 대통령도 최근 추석을 앞두고 “불합리한 유통 구조 개혁에 속도를 내달라”고 주문했다.
결국 국내 농산물 소비자가격의 절반 가까이를 차지하는 유통비용 문제는 농민 소득 보호와 소비자 물가 안정, 궁극적으로 농산물 시장 효율성 제고를 위해 시급한 정책적 대응이 필요한 상황임을 시사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