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플라이미투더문] "우리는 서로에게 관세를 매긴다"…세계경제 뒤흔든 '관세폭탄', 인간관계도 동일

  • 등록 2025.09.12 06:00:00
크게보기

쿠자의 플라이미투더문 ⑪

 

2025년 세계 경제의 주요 키워드라 한다면 단연코 “관세” 일 것이다.

 

힘 있는 자로 대변되는 미국 트럼프 정부의 비상식적 관세 폭탄은 세계 경제를 뒤흔들고 있는데, 여기서 각국의 대응이 참 다채롭다.

 

말하지 않아도 알아채는 초코파이 식 대응으로 깜짝 선물까지 준비했던 일본, 네가 먼저 다가와 주길 은근히 기다리지만 절대 먼저 손 내밀지 않는 도도한 중국, 손은 내밀었지만 받아주지 않자 질투심 유발 전략으로 돌아선 인도 등 저마다의 전략으로 대응하는 것이 상당히 흥미롭다.

 

그런데 곰곰이 생각해보니 내가 지금 처한 상황을 알아 달라고 하소연하며 서로 맞춰 가는 모습이 마치 우리 삶 속의 인간 관계와 닮아 있다.

 

◆ 관계의 상호 관세

 

국가별 수출입 품목은 수요와 공급의 원칙에 따라 결정된다. 사람 간의 만남에 있어서도 역시 다양한 목적에 따라 내가 필요로 하는 것을 줄 수 있는 사람을 만나거나 나를 필요로 하는 사람과 소통하게 된다.

 

이러한 관계에 있어서도 흑자와 적자가 존재하는데, 늘 도움만 받는 고마운 사람이 있는 반면 자기가 필요할 때만 연락하는 얌체 같은 사람도 있다. 그렇게 관계가 지속되다 보면 서로의 마음속에는 자연스레 “상호 관세”가 합의된다.

 

얼마전 결혼을 앞 둔 회사 후배가 누구까지 청첩장을 줘야 할지에 대해 심각하게 고민하는 것을 본 적이 있다. 아마도 그녀는 상호 관세율에 따라서 우호국에게만 청첩장을 전달했을 것이고, 이 기회를 통해 다시 한번 상호 관세율을 조정했을지도 모른다.

 

◆ 상처만 남는 보복 관세

 

얼마 전 6살 딸아이가 동갑내기 친구와 말씨름을 하고 있었다.

 

“난 사탕 두개 먹어야지”
“그럼 난 100개 먹을껀데”
“그럼 난 백천개 먹을꺼야.”

 

책임지지 못할 말을 무분별하게 남발하는 유치뽕짝 신경전에 나도 모르게 웃음이 새어 나왔지만, 이런 신경전을 “미중 보복관세 전쟁” 이라는 경제 이슈로 접했을 때 필자는 웃을 수 없었다. 보복에 보보복에 보보보복 관세를 신나게 매기던 두 어린이는 최근 다시 잘 지내는 것 같아 보이면서도 앙금은 남아 있는 듯하다.

살다 보면 특히나 부부관계에 있어 이러한 보복 관세의 현상을 자주 관찰할 수 있는데, 한번 시작하면 눈덩이처럼 불어나 버린 서러움이 폭발하여 국가 봉쇄의 위기를 맞이할 때가 있다. 이럴 땐 곰곰이 내가 수출할 수 있는 품목이 무엇인지, 수입하고자 하는 품목이 무엇인지 파악하고 서로의 관세율이 얼마로 책정되어 있는지 알아차리려는 노력이 필요하다.

 

◆ 평화의 시장 개방

 

그렇다면 인간 관계에서의 관세율과 관세품목을 안다는 것은 무슨 의미가 있을까?
이것은 더 나은 관계로 나아가기 위한 첫 걸음일 것이다. 협상을 통해 서로에게 도움이 되는 win-win의 관계를 찾아가듯, 서로의 불편하고 서운한 부분은 배제하고 좋은 관계에 도움이 되는 부분을 강화해야 한다.

 

“A 씨에게 도움을 준다는 것이 나에게 어떠한 의미일까요?”
“B 상사의 인정은 내 삶에 어떠한 의미가 있는 것일까요?”
“만약 내가 C 상사라면 나에게 어떤 말을 해 줄 수 있을까요?”

 

이러한 코칭 적 접근의 질문들은 나의 인간 관계에 있어서의 관세를 파악할 수 있는 좋은 도구가 될 것이며, 이를 통해 당신은 완연한 시장 개방의 쾌감을 누리게 될 것이다.

 

* 칼럼니스트 ‘쿠자’는 소통 전문가를 꿈꾸며 신문방송학을 전공하였고, KBS 라디오 DJ를 거쳐, 외국계 대기업의 인사업무를 담당하며 역량을 키워왔습니다. 다양한 강의와 공연을 통해 소통의 경험을 쌓아온 쿠자는 현재 사물과 현상의 본질을 파악하는 능력과 더불어 코칭이라는 깨달음을 통해 의미 있는 소통 전문가가 되고자 합니다.

김문균 기자 newsspace@naver.com
저작권자 © 뉴스스페이스(NewsSpace)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서울시 서초구 사평대로 140 코웰빌딩 B1, 318호 | 대표전화 : 0505-546-0505 | 팩스 : 0505-548-0505 제호 : 뉴스스페이스(NewsSpace) | 등록번호 : 서울 아 54727 | 등록일 : 2023-03-07 | 발행일 : 2023-03-07 | 발행·편집인 : 이현주 | 청소년보호책임자 : 김정영 Copyright © 2024 뉴스스페이스(NewsSpace).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