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빅테크칼럼] 이더리움, 양자 내성과 AI 통합 선도…"블록체인의 미래인프라 진화 선언"

  • 등록 2025.09.18 15:44:04
크게보기

 

[뉴스스페이스=이은주 기자] 2025년 9월 17일(현지시간), 이더리움(Ethereum)이 공동 창립자 비탈릭 부테린(Vitalik Buterin)의 일본 오사카 EDCON 2025 발표를 통해 지금까지의 개발 중 가장 포괄적인 로드맵을 공개했다.

 

Blockworks, CoinDesk, AmbCrypto, CoinTelegraph, OneSafe, ChainCatcher, Ainveset에 따르면, 이번 로드맵은 양자 내성(Quantum Resistance)을 네트워크의 핵심 전략으로 삼는 동시에, 인공지능(AI) 결제 및 협업을 위한 전담 AI 팀 출범으로 블록체인의 미래 지향적 전환을 본격화한다.

 

단기 확장 및 레이어 1 개선


부테린은 탈중앙화 원칙을 유지하면서도 이더리움의 레이어 1 처리 성능을 획기적으로 높이기로 했다. 이미 2025년 7월, 이더리움 블록의 가스 한도는 25% 증가한 4500만 단위까지 확장됐으며, 네트워크 처리 속도는 초당 약 18건으로 기존 대비 20% 이상 향상됐다.

 

이러한 증가 움직임은 검증자 47% 이상이 지지하는 ‘가스 펌프’ 캠페인에 힘입은 것이다. 또한 제로 지식 증명 기반 ZK-EVM(Zero-Knowledge Ethereum Virtual Machine) 도입으로 거래 검증 속도 및 프라이버시가 크게 강화될 예정이다. 프라이버시 향상은 쓰기 보호(제로 지식 증명, 믹스넷 등)와 읽기 보호(신뢰 실행 환경, 프라이빗 정보 검색)로 구분돼 데이터 누출을 최소화할 계획이다.

 

AI 통합과 ERC-8004 표준

 

이더리움 재단은 새로 출범한 dAI 팀을 통해 AI 에이전트 간 신뢰 없는(Trustless) 협업을 가능하게 하는 ERC-8004 표준 개발에 박차를 가하고 있다. 이 표준은 글로벌 신원 등록소, 평판 등록소, 검증 등록소 세 축으로 구성돼 AI 에이전트들이 서로를 발견하고 검증하며 자율적으로 거래를 수행할 수 있도록 설계됐다.

 

MetaMask AI, 오픈AI와의 공동 연구를 통해 개발 중이며, 오는 11월 부에노스아이레스 Devconnect 컨퍼런스에서 최종 발표될 예정이다. 이를 통해 이더리움은 AI 에이전트 경제의 표준 결제 레이어로 자리매김을 노린다.

 

장기 양자 내성 전략


양자컴퓨팅이 현실화할 경우 기존 암호체계가 취약해질 것을 대비해 이더리움은 ‘Lean Ethereum’ 프레임워크를 중심으로 포스트 양자 암호기술 연구를 강화하고 있다. 이 접근법은 프로토콜의 복잡성을 줄이고, 수학적 공식 검증, 양자내성 서명법 도입, 그리고 해싱과 제로 지식 증명을 포함한 암호 원시 요소 교체를 목표로 한다.

 

이더리움 재단 연구원 저스틴 드레이크가 2025년 7월 제안한 이 프레임워크는 미래형 TPS와 안전성, 그리고 탈중앙화의 조화를 강조하며, 이미 업계 전반에서 ‘지금 수확, 미래 해독’ 공격을 경계하는 가운데 이더리움은 선제적 보안 강화에 심혈을 기울이고 있다. 3조 8천억 달러 규모 디지털 자산 시장 전반에서 관련 기술들이 속속 도입 중이다.

 

시장과 규제 환경

 

이더리움은 9월 17일 약 4504달러 선에서 거래되며 4500달러 지지선을 견고히 해, 강한 시장 신뢰를 보여주고 있다. 일본을 비롯한 주요 국가에서 규제 명확성이 확대되고, 기관 투자자들의 진입이 늘면서 이러한 로드맵은 기술적 진화뿐 아니라 생태계 확장에도 긍정적 영향을 끼칠 전망이다.

 

이더리움의 이번 로드맵은 블록체인이 단순한 금융 플랫폼을 넘어 AI 경제와 양자 컴퓨팅 시대까지 대비하는 미래형 인프라로 진화함을 상징한다. 시장 선도자로서 기술 안전성과 혁신성을 동시에 확보하겠다는 의지가 반영된 한편, 글로벌 디지털 경제에서 지속가능한 경쟁력을 갖추겠다는 전략적 선언으로 평가받는다.

이은주 기자 newsspace@naver.com
저작권자 © 뉴스스페이스(NewsSpace)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75건의 관련기사 더보기





서울시 서초구 사평대로 140 코웰빌딩 B1, 318호 | 대표전화 : 0505-546-0505 | 팩스 : 0505-548-0505 제호 : 뉴스스페이스(NewsSpace) | 등록번호 : 서울 아 54727 | 등록일 : 2023-03-07 | 발행일 : 2023-03-07 | 발행·편집인 : 이현주 | 청소년보호책임자 : 김정영 Copyright © 2024 뉴스스페이스(NewsSpace).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