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빅테크칼럼] 8월 25일 리눅스 탄생 34주년…"1만239줄의 취미 코드에서 3400만 줄 글로벌 인프라로”

  • 등록 2025.08.26 14:35:39
크게보기

 

[뉴스스페이스=이종화 기자] 1991년 8월 25일, 핀란드의 21세 컴퓨터 과학도 리누스 토르발스는 comp.os.minix 뉴스그룹에 “그냥 취미일 뿐, GNU처럼 크고 전문적이지 않을 것”이라며 새로운 운영체계 개발 소식을 전했다.

 

34년이 흐른 지금, 리눅스는 전 세계 IT 인프라의 핵심으로 등극했다. 초기 0.01 버전의 1만239줄짜리 코드는 이제 3400만줄이 넘는 커널로 성장했고, 2만5000명 이상의 개발자들이 글로벌 오픈소스 혁신의 주역이 되었다.

 

슈퍼컴퓨터와 클라우드, 글로벌 IT의 표준

 

CyberPress, GBHackers, HowToGeek, SUSE, StatCounter, TOP500 Project, SQMagazine, LinuxInsider 등의 보도와 자료에 따르면, 2025년 기준 세계 상위 500대 슈퍼컴퓨터의 100%가 리눅스 기반 운영체제로 작동하고 있다. 이는 2017년 이후 깨지지 않는 기록이다.

 

미국의 프론티어, 유럽의 LUMI, 중국의 Sunway TaihuLight 등 주요 슈퍼컴퓨터 모두 최적화된 리눅스 배포판으로 운영되며, 이는 고성능 컴퓨팅(HPC) 영역에서 벤더 종속과 비용 절감, 그리고 커뮤니티 기반의 혁신이 실시간으로 이뤄진 덕분이다.

 

클라우드 시장 역시 리눅스가 독점하다시피 한다. Q2 2025 기준, 글로벌 클라우드 워크로드의 49.2%는 리눅스 기반이다. AWS의 EC2 인스턴스는 83.5%, 마이크로소프트 애저는 61.8%, 구글 클라우드 VM은 91.6%가 리눅스 기반 OS로 구동된다. 컨테이너 오케스트레이션 시장에서 Kubernetes의 96% 이상이 리눅스에서 살아 움직인다.

 

모바일과 IoT, 눈에 보이지 않는 리눅스의 확장


안드로이드도 리눅스 커널 기반으로, 2025년 기준 30억대 이상 기기가 돌아간다. 글로벌 스마트폰 시장 72%가 안드로이드로 움직이며, 리눅스 기반 OS 누적 점유율은 80%에 달한다.

 

스마트TV, 라우터, 스마트워치, 냉장고 등 일상 기기의 내장 시스템 68%도 리눅스 기반이다. 자동차, 산업용 제어기, 사물인터넷(IoT)까지 임베디드 리눅스 시장은 53억 달러 규모로 성장하고 있다.

 

시장 성장과 기업 도입, 그리고 미래

 

2025년 엔터프라이즈 리눅스 시장 규모는 144억 달러로 전망된다. 더 넓게 보면, 리눅스 운영체제 시장 전체는 2024년 109억4000만 달러에서 2034년 412억7000만 달러로 연평균 14.2%씩 성장세를 이어갈 것으로 예측된다. 포춘500 기업 중 72.6%가 핵심 워크로드를 리눅스에서 처리한다. 공공 IT 프로젝트의 48.9%가 리눅스를 채택했고, 교육 시스템 31개국에서 리눅스 랩톱이 필수로 지정됐다.

 

개발자 사이의 리눅스 활용률은 78.5%에 달하며, 데스크톱 점유율도 꾸준히 상승 중이다. 스탯카운터(StatCounter)에 따르면 2025년 8월 기준 데스크톱 시장점유율은 3.9~4.1%, 미국은 5%를 넘었다. IoT와 자동차, 의료 등 신사업 분야로 도입이 확산되고 있다.

 

리눅스 전문가 구인 공고는 1년간 31% 증가했으며, 산업계는 리눅스를 “대안보다 10배 더 안전한 시스템”으로 평가한다. 커널에는 매 릴리즈마다 1만줄 이상의 신규 코드를 반영하는 등, 세계에서 가장 활발히 발전 중인 OS임을 입증한다.

 

오픈소스 협업이 만든 혁신적 파워


리누스 토르발스가 취미로 시작한 작은 프로젝트는 수십억명을 떠받치는 ‘보이지 않는 인프라’로 성장했다. 앞으로 인공지능, 엣지 컴퓨팅, 컨테이너화 등 신기술 영역에서 리눅스의 영향력은 더욱 커질 전망이다.

이종화 기자 macgufin@empas.com
저작권자 © 뉴스스페이스(NewsSpace)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81건의 관련기사 더보기





서울시 서초구 사평대로 140 코웰빌딩 B1, 318호 | 대표전화 : 0505-546-0505 | 팩스 : 0505-548-0505 제호 : 뉴스스페이스(NewsSpace) | 등록번호 : 서울 아 54727 | 등록일 : 2023-03-07 | 발행일 : 2023-03-07 | 발행·편집인 : 이현주 | 청소년보호책임자 : 김정영 Copyright © 2024 뉴스스페이스(NewsSpace).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