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뉴스스페이스=최동현 기자] DL건설이 한국수력원자력에서 발주한 ‘홍천양수발전소 1·2호기 토건공사’를 수주했다고 25일 밝혔다.
DL건설은 대우건설 및 효성 컨소시엄의 일원으로, 한국수력원자력이 발주한 홍천양수발전소 1·2호기 토건공사를 약 1846억 원(VAT 포함) 규모로 수주했다. DL건설이 참여한 지분은 30%에 달한다.
홍천양수발전소는 강원도 홍천군 화촌면 풍천리에 위치하며, 총 시설용량 600MW(300MW×2기)의 순양수식 발전소로 2032년 12월 준공 예정이다. 건설 범위는 상·하부댐, 발전수로, 지하 발전소, 각종 터널, 상부지 진입도로 등을 포괄한다. 구체적으로, 상부댐은 높이 92.4m·길이 564.2m, 하부댐은 높이 66.5m·길이 320.0m로 설계됐다.
양수발전은 ‘물 배터리’라 불리우며, 심야 등 저수요 시간대 잉여전력으로 물을 상부댐에 저장한 후, 전력 수요가 급증할 때 낙하시켜 전력을 생산한다. 국내 7개소(16기)에 총 4700MW의 저장용량이 운용 중이며, 전력망 안정화와 재생에너지의 간헐성 보완에서 중추적 기능을 수행한다. 대규모 정전 시에는 자체기동 발전으로 타 발전소에 최초 전력 공급이 가능하다.
전 세계적으로 300여기, 총 95GW 이상의 양수발전설비가 운용 중이며, 2024년 기준 글로벌 양수 발전소 시장 규모는 1468억8000만 달러로 평가된다. 시장은 2032년까지 연평균 5.8% 성장할 전망이다.
국내에서는 제11차 전력수급기본계획에 따라 2030년 이후 신규 양수발전소 7.0GW(총 16조9000억원 사업비)를 순차적으로 개발 중이다. 최근 경북 영양(1000MW), 봉화(500MW) 발전소 등도 2036년까지 3조5000억원을 투입해 건설된다.
DL건설 관계자는 “홍천양수발전소 건설사업은 재생에너지 확대와 전력망 안정화라는 시대적 과제에 부합하는 중추 인프라”라며 “컨소시엄 구성원으로 차질 없는 공사 수행과 안전관리로 국가 에너지 인프라 확충에 기여할 것”이라고 말했다.
업계에서는 세계적으로 늘어나는 전기 수요와 인공지능, 데이터센터의 에너지 수요까지 감안할 때 ‘양수 발전소’가 장기적인 에너지 저장·탈탄소화의 핵심 축으로 평가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