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슈&논란] ‘반얀트리 해운대 부산’ 화재 참사…뇌물과 인허가 비리, 시행사 내분까지 '사면초가'

  • 등록 2025.07.12 22:27:33
크게보기

2025년 2월 부산 ‘반얀트리 해운대 부산’ 리조트 화재로 6명 사망, 27명 부상
공정률 91% 미만 상태에서 3000만원 뇌물 등으로 허위 감리보고서 제출, 사용승인
시행사 회장은 혐의 부인, 간부들은 인정하며 내부 책임 공방
경찰, 시행사·시공사·공무원 등 29명 입건, 8명 구속, 44명 불구속
안전관리 부실, 인허가 비리, 경제적 손실 우려 등 복합적 구조적 문제 드러나

 

[뉴스스페이스=이종화 기자] 부산 기장군 ‘반얀트리 해운대 부산’ 리조트 신축 공사장에서 2월 발생한 대형 화재는 단순 산업재해를 넘어, 인허가 비리와 뇌물 제공, 그리고 시행사 내부의 책임 공방까지 얽힌 복합적 사회문제로 번지고 있다.

 

6명 사망·27명 부상…대형 참사로 드러난 안전관리 부실

 

2025년 2월 14일 오전 10시 51분, 부산 기장군 오시리아 관광단지 내 반얀트리 해운대 부산 공사 현장에서 화재가 발생해 작업자 6명이 숨지고 27명이 연기 흡입 등 부상을 입었다. 당시 현장에는 780여명의 하청업체 근로자들이 근무 중이었다. 경찰과 소방당국의 합동 감식 결과, 화재는 B동 1층 배관 관리실(PT룸)에서 용접 작업 중 튄 불티가 가연성 단열재에 옮겨붙으면서 시작된 것으로 밝혀졌다.

 

특히, 현장에는 화재 감시자와 안전관리자가 부재했고, 불티 비산 방지 덮개와 방화포 등 기본적인 안전장치조차 갖춰져 있지 않아 인명 피해가 더욱 컸던 것으로 드러났다. 자동화재신고장치 역시 설치되지 않은 상태였다.

 

 

준공률 91% 미만에도 허위 감리보고서…뇌물·로비로 인허가 통과


경찰 수사에 따르면, 시행사와 시공사는 공정률이 85~91%에 불과한 상태에서 준공 승인을 받기 위해 감리업체를 회유·압박하거나, 3000여만원의 뇌물을 제공해 허위 감리보고서를 기장군청과 소방당국에 제출한 것으로 밝혀졌다.

 

실제로 소방시설이 미비해 사용 승인이 불가능한 상황임에도, 감리업체 소방담당자에게 1억원을 주겠다는 확약서까지 작성하고, 현금 3000만원을 전달했다는 진술이 확보됐다.

 

이밖에도 시행사 측은 기장군청 고위 공무원에게 골프 접대, 소방서 간부에게 고급호텔 식사권(장당 15만원, 총 124장 중 57장 사용)을 제공하는 등 각종 로비를 벌인 사실이 드러났다. 경찰은 시행사, 시공사 대표와 기장군청·소방 공무원 등 29명을 입건해 조사 중이며, 관련 혐의로 8명이 구속, 44명이 불구속 입건됐다.

 

 

시행사 내부 ‘책임 공방’…회장은 부인, 간부들은 인정


최근 부산지법 동부지원에서 열린 공판준비절차에서 시행사 루펜티스(주) 김대명 회장은 뇌물 공여 등 모든 혐의를 전면 부인한 반면, 본부장과 이사는 뇌물 수수 사실을 인정하며 “김 회장의 지시였다”고 주장해 내부 갈등이 표면화됐다. 김 회장 측은 오히려 본부장에게 책임을 전가하는 등 피고인들 간 진술이 엇갈리고 있다.

 

반얀트리 해운대 부산 리조트의 공식 시행사인 루펜티스(주)는 부산 오시리아 관광단지 내에서 반얀트리 브랜드의 고급 리조트 개발을 주도했다. 

 

 

경제적 손실 우려가 불법행위로…프로젝트파이낸싱 압박


시행사와 시공사는 준공 지연시 하루 2억9000만원의 지체상금과 3250억원 규모의 프로젝트파이낸싱 대출 회수 등 막대한 경제적 손실을 우려해 불법 로비와 허위 서류 제출에 나선 것으로 조사됐다.

 

이로 인해 미완공 상태(공정률 91%)에서 2024년 12월 19일 사용승인을 받았다.

 

전문가 “인허가·안전관리 법제도 개선 시급”


경찰과 전문가들은 “현장 확인 없는 서류심사만으로 준공승인이 가능한 현행 건축법 등 관련 제도의 허점이 대형 참사로 이어졌다”며, 소방시설 완공검사 등 인허가 과정에서의 실질적 현장 확인 의무화와 법·제도 개선이 시급하다고 지적했다.

이종화 기자 macgufin@empas.com
저작권자 © 뉴스스페이스(NewsSpace)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92건의 관련기사 더보기





서울시 서초구 사평대로 140 코웰빌딩 B1, 318호 | 대표전화 : 0505-546-0505 | 팩스 : 0505-548-0505 제호 : 뉴스스페이스(NewsSpace) | 등록번호 : 서울 아 54727 | 등록일 : 2023-03-07 | 발행일 : 2023-03-07 | 발행·편집인 : 이현주 | 청소년보호책임자 : 김정영 Copyright © 2024 뉴스스페이스(NewsSpace).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