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간사회학] 카텔란의 금 변기 '아메리카', 143억원 시작가로 소더비 경매... "금값 급등 속 예술가치·물질가치의 기묘한 교차"

  • 등록 2025.11.01 16:59:45
크게보기

 

[뉴스스페이스=이종화 기자] 이탈리아 현대미술의 거장 마우리치오 카텔란(Maurizio Cattelan)의 18캐럿 순금 변기 조각품 '아메리카(America)'가 세계 경매 시장에 다시 등장한다.

 

CNN, 뉴욕타임스, BBC, ARTnews에 따르면, 뉴욕 소더비는 2025년 11월 18일 이 작품을 약 1000만 달러(한화 143억원)의 시작가에 내놓을 예정이며, 이는 변기에 포함된 순금 무게(약 101.2kg, 223파운드)의 시세를 기준으로 한 역사상 최초의 경매 시작가 산정 방식이다. 약 1000만 달러는 최근 금 시세 급등을 반영한 금괴 가격과 맞먹는 수준이다.​

 

'아메리카'는 2016년 처음 제작되어 뉴욕 구겐하임 미술관에 설치된 후 공공이 직접 사용하는 예술작품으로 세계적인 주목을 받았다. 당시 방문객들은 3분 예약을 통해 이 황금 변기를 사용할 수 있었으며, 10만명 이상의 인파가 몰려 예술과 일상이라는 경계를 허무는 독특한 체험의 장을 제공했다.

 

그러나 2019년, 같은 작품의 또 다른 에디션이 영국 블레넘 궁전에서 도난당하면서 미술품 절도 범죄로도 악명 높아졌다. 절도범들은 변기를 훔친 뒤 궁전 내 침수와 구조적 피해까지 초래했고, 변기는 회수되지 않은 채 금괴로 녹여졌다고 추정된다.​

 

이번 경매 출품작은 2017년 마리안 굿맨 갤러리를 통해 개인 콜렉터에게 판매된 유일한 생존작이다. 소더비는 새로 문을 연 브로이어 빌딩 본사 내 화장실에 이 변기를 설치해 11월 8일부터 관람객에게 공개하지만 이번에는 사용을 금지, 관람만 가능하도록 했다. 소더비 현대미술 수석 데이비드 갤퍼린은 "예술 작품 위에 앉히고 싶지 않다"고 말했다.​

 

금 가격은 2025년 들어 약 50% 상승하며 3분기 금 수요는 1313메트릭톤으로 사상 최고치를 기록, 금 가격 급등 현상이 이어지고 있다. 이에 경매 시작가가 변기의 순금 가치를 자동 반영하는 가격 책정 방식은 작품의 예술적 가치를 넘어 시장과 원자재 가격 간 연계성을 드러내는 전례 없는 시도로 평가받는다. 이로써 작품은 순금 변기의 물질적 가치와 카텔란 특유의 아이러니한 메시지를 동시에 상징한다.​

 

카텔란의 이 작품은 2019년 덕트테이프 바나나 작품 '코미디언(Comedian)'이 소더비 경매에서 최고 예상가를 4배 넘는 620만 달러에 낙찰된 데 이은 입지 강화 사례다. '아메리카'가 예상가를 넘어서면, 카텔란이 2016년 선보였던 히틀러 조각상 '힘(Him)'의 경매가 1720만 달러 기록을 갱신할 가능성도 주목받는다.​

 

예술계 관계자들은 "이번 경매가 단순 호화품 판매를 넘어 현대미술이 가지고 있는 예술성과 시장 가치 간의 복잡한 관계, 그리고 현 사회의 물질주의와 예술의 역할에 대한 논의를 촉발시킬 것"으로 전망했다. 전시와 경매를 통해 '아메리카'는 예술시장의 경계와 관객의 인식을 동시에 시험하는 대표적 아이콘으로 자리매김하고 있다.​

이종화 기자 macgufin@empas.com
저작권자 © 뉴스스페이스(NewsSpace)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46건의 관련기사 더보기





서울시 서초구 사평대로 140 코웰빌딩 B1, 318호 | 대표전화 : 0505-546-0505 | 팩스 : 0505-548-0505 제호 : 뉴스스페이스(NewsSpace) | 등록번호 : 서울 아 54727 | 등록일 : 2023-03-07 | 발행일 : 2023-03-07 발행·편집인 : 이현주 | 청소년보호책임자 : 김정영 | 법률자문 : 이수동 변호사(법률사무소 이수) Copyright © 2024 뉴스스페이스(NewsSpace).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