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뉴스스페이스=조일섭 기자] 이재명 더불어민주당 대통령 후보가 1호 공약으로 내세운 100조원 규모 ‘AI 국부펀드’ 조성이 구체적 실행 논의에 들어갔다.
민주당 선거대책위 디지털특별위원회는 26일 챗GPT 개발사 오픈AI 고위진과 서울에서 회동을 갖고, 차기 정부와의 전략적 협력 방안, 한국형 AI 생태계 조성, 대규모 데이터센터 등 인프라 투자 방안을 논의했다.
오픈AI, 한국에 먼저 손 내밀다…“AI 인프라·데이터센터 협력 논의”
이번 회동은 오픈AI가 먼저 요청해 성사됐다. 오픈AI 제이슨 권 최고전략책임자(CSO)는 “한국은 삼성전자, SK하이닉스 등 세계적 반도체 인프라, 서울대 등 인재 양성 기관, 네이버·카카오·크래프톤 등 글로벌 경쟁력을 갖춘 IT·콘텐츠 기업, 그리고 활발한 스타트업 생태계를 보유한 ‘풀스택’ AI 강국”이라고 평가했다.
권 CSO는 “한국 내 데이터센터 구축, 로컬 AI 모델 운영, 스타트업 투자 등 다양한 협력안을 논의 중”이라며 “한 달 내 서울에 첫 오피스를 개소할 예정”이라고 밝혔다.
오픈AI는 최근 아랍에미리트(UAE)와 대규모 AI 데이터센터 ‘스타게이트’ 프로젝트를 추진한 데 이어, 한국에서도 현지 맞춤형 AI 모델 개발, 데이터 주권, 인프라 구축, 스타트업 투자 등 포괄적 협력을 모색하고 있다. 오픈AI는 “한국형 AI 생태계 조성에 적극 협력하겠다”고 강조했다.

이재명, “AI 고속도로·국부펀드로 세계 3대 AI 강국 도약”
이재명 후보는 ‘AI 3강 도약’을 1호 공약으로 내세우고, 100조원 규모 국부펀드 조성, AI 데이터센터 건설, 고성능 GPU 5만개 이상 확보, 국가 AI 데이터 클러스터 조성, ‘모두의 AI’ 프로젝트, AI 융복합 산업 활성화 등을 구체적 실행 방안으로 제시했다.
이 후보는 “AI를 국가 성장의 핵심 동력으로 삼아 모든 국민이 AI를 일상에서 활용할 수 있는 ‘AI 고속도로’를 구축하겠다”고 밝혔다.
임문영 민주당 선대위 디지털특별위원장은 “에너지와 통신 인프라가 뒷받침되는 데이터센터 중심의 AI 산업 생태계를 국가적으로 육성하겠다”고 강조했다. 민주당은 오픈AI와의 협력으로 국부펀드에 글로벌 AI 자본과 기술을 유치하고, 국내 기업·스타트업과의 연계 투자, AI 인재 양성 등 ‘AI 풀스택’ 생태계 조성을 추진할 계획이다.
삼성·SK·네이버·카카오 등 국내 기업과 ‘AI 동맹’ 기대
오픈AI는 한국 시장의 매력으로 반도체(삼성전자·SK하이닉스), 빅테크(네이버·카카오), 게임(크래프톤), 금융(산업은행), 스타트업(솔트룩스, 코난테크놀로지, 와이즈넛, 폴라리스AI) 등 다양한 산업의 기술력과 인프라를 꼽았다.
실제로 오픈AI는 이미 국내 주요 기업들과 협업을 진행 중이며, AI 반도체 공동 개발, 데이터센터 구축, 스타트업 투자 등에서 추가 협력 가능성을 열어뒀다.
AI 업계는 오픈AI의 한국 진출과 대규모 국부펀드 추진이 국내 AI 산업 생태계에 ‘지각변동’을 일으킬 것으로 전망하고 있다.
한편, 오픈AI의 본격적 진출이 국내 기업의 ‘소버린 AI’(주권형 AI) 전략과 충돌할 수 있다는 우려도 제기된다.
이재명 후보의 ‘AI 국부펀드’와 오픈AI의 전략적 협력이 구체화되면서, 한국이 글로벌 AI 패권 경쟁에서 ‘게임 체인저’로 부상할지 주목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