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주의약·환경감시·통신기술 한눈에"…누리호 4차 발사, 우주 실험실 13기로 도약

  • 등록 2025.11.17 14:41:47
크게보기

 

[뉴스스페이스=김시민 기자] 한국형 발사체 누리호가 오는 11월 27일 새벽 1시경, 네 번째 비행을 위해 전남 고흥 나로우주센터에서 발사된다. 이번 누리호 4차 발사에는 차세대 중형 위성 3호와 큐브 위성 12기, 총 13기가 탑재된다. 이 위성들은 우주 과학 연구, 우주의약, 통신, 우주 교통 관리, 환경 감시 등 다양한 임무 수행을 통해 국내 우주 기술의 발전과 민간 우주산업 성장의 중요한 전환점이 될 것으로 기대된다.

 

주요 탑재체인 차세대 중형 위성 3호는 약 520kg급으로, 태양동기궤도 600km 고도에서 1년 이상 임무를 수행한다. 이 위성은 바이오캐비닛, ROKIS, IAMMAP 등 우주과학 실험 장비를 싣고, 우주에서 3차원 바이오 프린팅, 줄기세포 배양의 가능성을 실증하며, 오로라와 대기광 관측, 전리층 플라즈마와 자기장 변화를 정밀 관측한다. 특히, 태양빛 영향이 적어 오로라 관측에 최적화된 새벽 1시 전후 발사 시각이 결정됐다.​

 

12기의 큐브 위성들은 우주의약, 부품·전력·인프라 검증, 우주 교통 관리, 통신 및 항법 기술, 환경 및 지구 관측 분야로 분류된다. 예를 들어, 스페이스린텍의 비천(BEE-1000)은 미세중력 환경에서 면역 항암제 단백질 결정화를 시도해 우주 바이오 실험 가능성을 타진한다.

 

국산소자부품 우주검증 플랫폼 1호는 한국항공우주연구원의 국산 전자 소자의 신뢰성 시험 위성이다. 인하대학교의 인하 로샛은 말아서 펼치는 롤러블 태양전지를 실험하여 초소형 위성 전력 한계 극복을 목표로 한다.

 

우주 교통 관리와 추진 기술 검증도 활발하여, 우주로테크의 코스믹은 임무 종료 후 자체 궤도 이탈 시스템을 시험해 우주 쓰레기 문제 해결에 기여하며, 카이스트의 케이-히어로는 국산 소형 전기 추진기를 탑재해 군집 위성의 민첩 기동 능력을 확보하려 한다. 서울대 쌍둥이 위성 스누글라이트-III는 편대비행과 상대 위치 추적 실험을 수행하며 군집 위성 운용 핵심 기술을 개발 중이다.

 

통신 분야에서는 한국전자통신연구원(ETRI)의 에트리샛이 통신 음영 지역 저궤도 IoT 서비스 기술 실험을 진행해 차세대 통신망 구축을 겨냥한다. 환경 관측 분야에서는 세종대학교 스파이론이 적외선 센서로 해양 플라스틱 관측에 나서며, 큐브 위성 퍼셋01은 제주 해역 해양 쓰레기 모니터링과 큐브 위성 기술 시험을 병행한다. 코스모웍스의 잭-003, 잭-004, 한컴인스페이스의 세종4호는 고해상도 광학·다분광 지구 관측 임무를 수행한다.​

 

이번 누리호 4차 발사는 정부 주도에서 민간 중심으로 전환하는 첫 사례로, 위성 탑재부터 최종 조립, 발사에 이르기까지 국내 우주 기술과 민간 우주산업 역량을 집약한 점에서 큰 의미를 가진다. 특히, 총 탑재 중량은 태양동기궤도 기준 2.2톤 수준으로, 역대 누리호 발사 중 가장 많은 위성을 싣는다.

 

발사 후 주탑재 위성은 807초 만에 분리되고, 827초부터 큐브 위성들이 20초 간격으로 차례로 사출된다. 이로써 국내 우주과학과 산업기술 검증, 미래형 우주 환경 구축에 중요한 이정표가 세워질 전망이다.​

김시민 기자 newsspace@naver.com
저작권자 © 뉴스스페이스(NewsSpace)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25건의 관련기사 더보기





서울시 서초구 사평대로 140 코웰빌딩 B1, 318호 | 대표전화 : 0505-546-0505 | 팩스 : 0505-548-0505 제호 : 뉴스스페이스(NewsSpace) | 등록번호 : 서울 아 54727 | 등록일 : 2023-03-07 | 발행일 : 2023-03-07 발행·편집인 : 이현주 | 청소년보호책임자 : 김정영 | 법률자문 : 이수동 변호사(법률사무소 이수) Copyright © 2024 뉴스스페이스(NewsSpace).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