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뉴스스페이스=조일섭 기자] 2024년 9월 13일, MBK파트너스와 영풍이 공개매수를 단행하며 고려아연 경영권 분쟁의 막이 올랐다. 1년간 양측은 총 24건의 민·형사, 가처분 신청, 주총결의 무효 등 각종 소송을 벌이며 치열한 법정 싸움을 이어왔다.
2025년 6월 말 기준 별도총차입금은 3조7454억원으로 1년 전 7329억원 대비 5배 급증, 부채비율도 22.5%에서 69.2%(연결 기준 36.5%→88.9%)로 뛰며 재무건전성이 크게 악화됐다. 영업이익률 역시 8.8%에서 6.8%로 하락하는 등 불확실성이 가중됐다. 임직원 설문조사 결과, 59.6%가 고용 불안을 호소하며 이직 고려 경험을 밝혔다.
전략광물 수출 및 신사업 실적으로 '반격'
이러한 격렬한 분쟁 속에서도, 고려아연은 실적 중심 경영과 신사업 성과로 방어에 나서고 있다. 2025년 상반기 연결 기준 매출은 7조6582억원, 영업이익은 5300억원으로 전년 동기 대비 각각 40.9%, 16.9%나 증가하며 역대 최대 반기 실적을 거두었다. '트로이카 드라이브'(신재생에너지·이차전지 소재·자원순환) 신사업들도 일제히 흑자 전환 혹은 이익 증가세를 보이고 있어, MBK·영풍이 강하게 비판했던 사업들이 경영권 안정의 핵심 변수로 평가받고 있다.
전략광물 수출 역시 글로벌 공급망 격변기 속 전국적인 주목을 받고 있다. 고려아연은 2025년 6월과 8월 각각 안티모니 20톤을 미국에 수출했으며, 올해 총 100톤, 내년 240톤 이상 미국 등으로 확대한다는 계획이다. 지난달 말에는 대통령 방미 경제사절단으로 참여해 세계 최대 방위산업체 록히드마틴과 게르마늄 공급 MOU를 체결, 2028년 상반기 상업 생산 목표로 1400억원을 투입해 새로운 게르마늄 공장 건설에 착수했다.
지배구조-주주가치 강화…AA+ 신용등급 수성
1년간의 분쟁을 거치며 고려아연은 이사회내 사외이사 비율을 68%로 높였다. 5개 이사회 위원회를 모두 사외이사 중심 체제로 전환하고 집중투표제 도입, 자사주 공개매수 및 소각을 추진해 올해 상반기 주주환원율 113.1%를 실현했다. 한국신용평가는 2025년 6월 고려아연의 신용등급을 AA+로 유지, 우수한 이익창출력과 전략광물 중심의 다각화된 사업 구조를 인정했다.
내년 3월…이사회 구성 '분수령'
현재 이사회는 19명 중 15명이 활동 중으로, 최윤범 회장 측 11명, MBK·영풍 측 4명 구도다. 내년 3월 정기주총에서는 6명 임기가 만료돼, MBK·영풍 측이 이사회 과반 확보를 시도할 경우 경영권 향방이 결정될 전망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