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뉴스스페이스=김문균 기자] 덴마크가 약 400년간 이어온 편지 배달 서비스를 공식 종료한다. 인터넷과 스마트폰을 통한 디지털 통신이 보편화되면서 2000년 연간 14억 통이던 우편물 사용량이 2024년에는 2억 건 미만으로 약 90% 이상 감소한 결과다.
덴마크 포스트노르 공식 발표, OECD 디지털 정부 평가, 맥킨지 보고서, 한국 과학기술정보통신부 우정사업본부 통계와 함께 영국 BBC방송 보도 따르면, 덴마크 국영 우편국 포스트노르드(PostNord)가 2025년 12월 30일을 기점으로 약 400년간 이어온 편지 배달 서비스를 공식 종료한다고 밝혔다. 이에 따라 1500개가 넘는 우체통도 단계적으로 철거되고, 우편 사업 부문의 4600여명 직원 중 약 1500명이 구조조정 대상에 포함될 계획이다.
다만 소포 및 물류 사업은 계속 확대하며, 인력 700명은 해당 부문으로 재배치한다.
덴마크는 OECD의 2023년 국제 디지털 정부 평가에서 한국에 이어 2위를 차지하며, 빠른 전자 정부 디지털 전환을 이뤄낸 국가다. 이 같은 빠른 디지털전환 속도가 결국 편지 수요 급감의 주요 원인으로 꼽힌다.
한편 정부가 우편 시장을 민간에 개방하고 면세 제도를 폐지하면서 우표 가격이 29덴마크 크로네(약 6300원)까지 올라 우편 발송 감소에 추가 부담이 됐다. 이후 편지 배달은 민간 배송 전문회사에 위임될 예정이다.
전 세계적으로 우편물 감소와 우편 사업의 어려움은 구조적인 문제로 자리하고 있다. 맥킨지의 2019년 보고서에 따르면 2000년대 초와 비교해 독일과 스위스는 약 40%, 미국은 46%, 영국 등은 50~70% 수준으로 우편물 양이 급감했다. 독일 ‘도이체 포스트’는 대규모 인력 감축 계획을 발표했고, 영국 ‘로열 메일’ 역시 비용 절감을 위해 우편 배달 빈도를 줄이고 있다.
한국 또한 2023년 우편사업 적자가 2000억원대를 넘어설 것으로 전망되며, 우편 수지 악화와 우체국 연금자산 고갈(2027년 예상)이라는 중대한 재정 문제에 직면하고 있다.
한국 우정사업본부 통계에 따르면 2023년 국내 우편물 접수 건수는 약 2.63억 통으로, 전년 대비 8.4% 감소세가 이어지고 있다. 특히 일반통상 우편물은 9.3% 줄어든 2.08억 통, 특수통상 우편물도 1.6% 감소하는 등 디지털 통신 확산, 민간 택배 증가, 대량 우편 발송 축소가 원인이다.
게다가 우체국 택배 점유율과 물량도 2019년 이후 지속적으로 하락하며 우체국 우편사업 수익성 악화 압박이 커지고 있다.
덴마크 사례는 우편 산업의 디지털 전환이 전 세계적으로 불가피한 상황임을 시사한다. 특히 디지털 정부 서비스의 강력한 도입과 민간 시장 개방, 인력 구조조정이 동반된 우편서비스 혁신이 요구되고 있다. 덴마크 포스트노르는 400년 전 크리스티안 4세 국왕의 명령으로 시작된 전통적인 우편 배달업을 마감하고, 21세기 전자상거래 물류 중심으로 사업 모델을 전환할 예정이다.
이 같은 변곡점은 한국 우편시장에도 시사하는 바가 크다. 디지털화와 민간 택배 서비스 확대, 우편요금 동결 및 인건비 상승으로 인해 우편 사업 적자는 심화되고 있으며, 장기적이고 포괄적인 수익 구조 개선과 디지털 전환 전략이 절실한 시점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