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뉴스스페이스=김희선 기자] 패스트푸드 업계의 상징인 맥도날드가 2027년까지 인공지능(AI) 역량 강화에 사상 최대 규모의 투자를 예고하며, 인도를 데이터 거버넌스 및 엔지니어링 운영의 글로벌 핵심 허브로 삼겠다고 공식 발표했다.
Channel News Asia, Times of India, Fidelity, DigitalDefynd 등의 매체들에 따르면, 2025년 8월 1일(현지시간) 인도 하이데라바드에서 열린 행사에서 맥도날드 글로벌 비즈니스 서비스 운영 책임자 데샨트 카일라(Deshant Kaila)는 "AI 투자 규모의 정확한 수치는 아직 초기 단계라 산정하기 어렵지만, 향후 2년간 투자를 두 배로 늘리겠다"고 밝혔다. 이번 계획은 직원 수 확대보다는 기술 개발과 AI 관련 도구 인프라 구축에 방점이 찍혔다.
인도 현지화 AI 모델, 전 세계 패스트푸드의 미래 제시
현재 맥도날드는 인도 400개 매장에서 AI 기반 주문 검증 기술을 시범 도입 중이며, 2년 내 전 세계 4만3000개 매장으로 확산될 전망이다. 해당 AI 시스템은 고객에게 전달되기 전 주문 품목이 정확히 맞는지 컴퓨터 비전으로 점검해 오류를 최소화하고, 서비스 속도 및 고객 만족도를 대폭 개선했다.
실제로 AI 기반 주문 검증 도입 매장에서는 96%의 주문 정확도와 2.1%의 영업이익률 증가, 연간 매장당 7만5000달러의 추가 매출 성과를 기록했다는 분석도 나왔다.
AI가 뒤바꾼 맥도날드의 영업·공급망·고객 전략
맥도날드는 AI를 매장 운영은 물론 매출 예측, 동적 가격 책정, 고객 맞춤 메뉴 추천, 공급망 관리, 주방 기기 예측 유지보수에 이르기까지 전방위적으로 투입 중이다. AI 기반 메뉴 시스템은 한 주문마다 120가지 이상의 데이터 포인트(날씨, 교통, 충성도 등)를 실시간 분석하며, 실재고 상황에 따라 치킨이 부족하면 소고기 메뉴를, 빵이 남으면 디저트류를 자동 추천한다.
이런 '실시간 메뉴 최적화'를 통해 식재료 폐기 12% 감축, 디저트 판매 10%p 상승, 매장당 연 30% 고객 재방문 증가 등 구체적 효과가 나타났다. 또한 예측 유지보수 센서 운영 덕분에 장비 고장률이 60% 감소해 연간 3500만 달러 이상 절감 효과를 봤다.
세계 1억7500만 충성도 회원, AI 개인화 마케팅서도 '기염'
맥도날드는 AI 주도로 글로벌 충성도 회원(2025년 7월 기준 1억7500만명)을 2027년까지 2억5000만명으로 늘리겠다는 목표도 내놨다. 기존의 정적(Static) 마케팅 캠페인 대비 2배 이상 높은 38%의 응답률을 기록한 AI 개인화 추천·모바일앱 경험 덕분이다. 이러한 마케팅 강화로 연간 로열티 매출이 300억달러에 육박할 것이란 전망도 업계에 나온다.
AI 도입의 자본·인력 현실, 도전과제도 '산적'
혁신의 기회만큼 도전과제도 만만치 않다. 매장 한 곳당 AI 구축에 3만8000~6만달러(약 4900만~7800만원)라는 상당한 비용, 생산직 인력 AI 적응훈련, 데이터 보안 및 개인정보 이슈 대응 부담도 커졌다. 실제 맥도날드의 2024년 자본지출(설비·IT 등)은 전년 대비 17% 증가한 27억7000만달러로 집계됐다.
패스트푸드 업계에 던지는 전략적 인사이트
맥도날드는 AI를 통해 단순한 '햄버거 가게'에서 '데이터·디지털 퍼스트 기업'으로 변신 중이다. 현장 업무자동화와 고객 경험 혁신, 공급망의 가시성 제고 등 전방위 변화로 패스트푸드를 넘어 세계 외식산업의 표준을 재정의하고 있다는 평가가 나온다. 인도를 전진기지로 삼아 글로벌 AI 네트워크를 구축하는 방식은 국내외 대형 유통·외식기업의 혁신 경쟁에도 불씨가 될 전망이다.
시장분석 전문매체 MarketPulse는 "AI 기술이 패스트푸드의 지형을 바꾼다. 데이터 기반 실시간 의사결정과 운영 최적화는 패스트푸드 산업 전체의 이익 구조 변혁으로 이어진다"고 평가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