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스페이스=김희선 기자] 국내 아이스크림 시장에 돌풍을 일으킨 중국산 '메롱바'가 유해 식용색소 사용 논란에 휩싸였다. GS25에서 2025년 9월 출시한 이후 두 달 만에 500만개 이상이 팔려 국민간식 월드콘·메로나를 제치고 매출 1위에 올랐다. 딸기메롱바 후속 라인까지 잇달아 흥행하며 어린이와 학부모들 사이에서 선풍적 인기를 끌고 있지만, 빠른 판매 성장 이면에는 심각한 안전성 우려가 도사리고 있다는 지적이 커지고 있다.
핵심 논란은 메롱바에 함유된 타르계 합성착색료다. 원재료명에는 황색 4호(타트라진, Tartrazine, E102)와 청색 1호(Blue No.1), 딸기메롱바의 적색 40호 등이 포함된 것으로 확인된다. 유럽연합(EU)는 황색 4호를 천식 유발 가능 물질로 특정해 어린이의 건강에 경고 라벨 부착을 의무화하고 있으며, 청색 1호 역시 아동의 주의력결핍과다행동장애(ADHD) 연관성이 있어 섭취 제한을 권고한다. 미국에서는 2027년을 기점으로 주요 합성 타르 색소 8종을 식품에서 단계적으로 퇴출할 계획이다. 이 중에는 황색 4호와 청색 1호, 적색 40호가 모두 포함돼 있다.
이러한 성분 규제를 무색하게 국내에서는 명확한 금지조항 없이 허용 기준치 내 사용만 관리되고 있다. 그나마 국내 제조 식품업계에선 유해성 논란 탓에 대부분 타르계 색소 사용을 자제하고 있지만, 중국산 수입 제품과 GS25 등 유통사들은 눈에 띄는 매출과 단기 수익을 앞세워 버젓이 판매를 이어가는 실정이다.
실제로 메롱바의 돌풍에 힘입어 GS25 전체 아이스크림 매출이 60% 가까이 상승했고, 바 형태 제품 매출은 같은 기간 140% 폭증한 것으로 집계됐다.
소비자 불안과 사회적 비판이 확산되자 식품의약품안전처는 타르계 색소의 안전성 기준·허용 범위 등을 재점검하겠다고 밝혔다. 각국 전문가들은 타트라진 합성색소가 고용량 섭취 시 알레르기·과민반응, 천식 유발 위험, 면역계 악화 또는 발암 가능성을 보이는 것으로 보고 있지만, 인체 위해성에 대한 결정적 근거는 부족하다며 섭취 제한을 선제 권고 중이다.
GS25를 비롯한 국내 유통망이 수익만을 좇아 글로벌 추세에 역행하는 유해논란 제품 판매를 방치하며 소비자 신뢰를 저해한다는 지적이 거세다.
중국 제조업체 역시 자국 내 관리보다 규제가 느슨한 해외 시장으로 논란 많은 제품을 밀어넣는 '불량식품 수출' 행태로 비난을 받고 있다.
유통업계 관계자는 "중국의 먹거리에 대한 안전불감증과 한국 규제당국의 느슨한 관리로 인해 소비자들만 건강이 위협받고 있다"면서 "이번 사례도 국내 아이스크림 유통사와 수입업체의 무책임한 영업관행이 소비자 안전보다 이익을 앞세운 대표적 사례로 남을 것"이라고 지적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