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스페이스=김혜주 기자] 2026년 영국 고등교육 평가기관 QS(Quacquarelli Symonds)가 발표한 아시아 대학 순위에서 한국 대학들은 상위 10위권 진입에 실패하며 아시아 학계의 경쟁 심화를 보여주고 있다. 이번 평가는 11월 4일 고려대 안암캠퍼스에서 개최된 '아시아태평양 지역의 기술과 협력' 고등교육 서밋 행사에서 발표됐다.
한국 대학 순위 및 추이
올해 QS 아시아대학 평가에서 국내 대학 중 가장 높은 순위를 기록한 곳은 연세대로 11위에 올랐다. 그 뒤를 이어 고려대가 12위, 성균관대 16위, 서울대 17위, 포항공대(POSTECH) 18위, 한양대 20위 등으로 집계됐다.
한편, 연세대는 지난해보다 2계단 하락했고, 한양대도 1계단 떨어진 반면, 고려대와 서울대는 각각 1계단 상승, 포항공대는 4계단이라는 큰 폭의 상승을 기록했다. 전체 평가 대상 한국 대학 103곳 가운데, 올해 순위가 상승한 곳은 31곳, 유지한 곳은 14곳, 하락한 곳은 53곳이며 나머지 5곳은 올해 처음 평가를 받았다.
아시아 대학 상위권 판도
QS 2026 아시아대학 평가 최상위권은 홍콩, 중국, 싱가포르 대학이 독점했다. 홍콩대(University of Hong Kong)가 1위에 올랐고, 2위는 베이징대(북경대, Peking University), 3위는 싱가포르 난양기술대(Nanyang Technological University)가 차지했다.
이어서 싱가포르국립대(National University of Singapore, 4위), 중국 푸단대(Fudan University, 5위), 홍콩과학기술대(6위), 홍콩시립대·홍콩 중문대학(공동 7위), 중국 칭화대(9위), 홍콩이공대(10위) 등이다.
일본의 도쿄대가 전년보다 5계단이나 하락하며 26위에 머물렀다.
평가·시사점 및 한국대학 혁신 기조
QS는 "한국 대학은 계속해서 고등교육의 탁월함을 입증하고 있다"고 평가했다. 실제로 서울 외에도 포항, 울산, 대전, 광주 등지의 대학들이 두각을 보이며 국내 고등교육의 지평을 넓혔다.
이날 행사에 참석한 박인규 과학기술정보통신부 과학기술혁신본부장은 "모든 혁신은 대학에서 시작한다고 생각한다"며 "AI 인프라와 미래 기술을 위한 투자를 늘리고 신진 학자를 아낌없이 지원하겠다"고 밝혔다.
부정행위 사례·평가 배제
한편, 한국과학기술원(KAIST)은 교수진의 부적절한 설문조사 참여 유도(상품권 제공) 행위가 적발돼 올해 발표된 QS 아시아대학 평가에서 제외되는 불명예를 안았다.











































